GYH2014110500110004400_P2.jpg

 

 

 수중문화재의 보고인 충남 태안 마도 해역에서 조선시대 선박으로 추정되는 고선박 발굴작업이 본격 시작된데 이어 인근 해역에서 또다른 고선박이 발견돼 기대를 모으고 있다.

 

AKR20141104166700005_01_i.jpg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3일 오전 11시 개수제(開水祭)를 시작으로 마도 해역에서 조선시대 선박으로 추정되는 마도 4호선에 대한 발굴조사를 본격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AKR20141104166700005_02_i.jpg

 

 

이 곳은 강한 물살과 암초, 짙은 안개 등으로 난파사고가 빈번해 수중문화재의 보고로 불린다. 지난 2007년 태안선을 시작으로 2011년까지 마도 1, 2, 3호선 등 고려 시대 고선박 4척과 3만여 점에 달하는 유물이 잇달아 발굴됐다.

지금까지 출수된 청자와 목간, 도기, 곡물, 젓갈, 선상 생활용품 등은 당시의 사회상과 생활상을 생생하게 전해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AKR20141104166700005_03_i.jpg

 

 

이번에 본격 발굴이 시작되는 마도 4호선은 태안해역에서 다섯 번째로 확인된 고선박으로 23일부터 정밀발굴 조사에 들어간다.

지난해 발견 당시 선체내부에서 분청사기 2점이 출수돼 현재까지 발견된 적이 없는 최초의 조선 시대 선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주변에서는 조선시대 백자의 해상유통 사례를 엿볼수 있는 첫 사례로 111점에 이르는 조선 시대 백자 꾸러미도 발견됐다.

이와 함께 연구소는 또다른 선박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발견, 이번 발굴조사에서 작업을 병행할 방침이다.

 

AKR20141104166700005_04_i.jpg

 

 

연구소는 지난 3월 마도해역에서 해저 지층 속의 이상물체를 탐지하는 3차원 입체영상 지층탐사장비를 이용한 조사를 통해 마도 3호선과 인접한 지점에서 고선박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탐지했다.

이에 따라 연구소는 이번 발굴조사에서 이상물체에 대한 확인 조사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번 정밀발굴조사는 오는 10월 25일까지 진행된다.

 

AKR20141104166700005_05_i.jpg

 


 

문화재청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고대부터 활발한 해상교류를 펼쳤으며 이에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지닌 해양 문화유산이 바닷속에 잠들어 있다"며 "태안지역에서 첫 조선 고선박을 포함해 2007년부터 다섯번째 고선박을 발굴한데 이어 또다른 이상물체가 발견돼 마도 5호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35 박은경 2020-12-15 105 1
734 겨울 추억 1 박은경 2020-12-15 107 1
733 겨울 추억 2 박은경 2020-12-15 115 1
732 12월의 풍경 박은경 2020-12-16 146 1
731 죽타령 [2] 박은경 2020-12-20 148 1
730 솜이불 file [1] 정순옥 2020-12-21 390 1
729 넘 신기해요 ㅎㅎ 박은경 2020-12-22 175 1
728 과일나무 박은경 2020-12-22 149 1
727 송년 즈음에 박은경 2020-12-23 91 1
726 빨간 장갑 file 박은경 2020-12-23 146 1
725 호수 1 박은경 2020-12-24 112 1
724 단시조/ 연지 file 박은경 2020-12-25 92 1
723 호수 5 박은경 2020-12-26 123 1
722 백조의 호수 file 박은경 2020-12-27 156 1
721 겨울 호수 file 박은경 2020-12-28 98 1
720 [디카시] 용무가 급해 file 박은경 2020-12-29 79 1
719 2020년의 겨울밤 file [1] 정순옥 2020-12-29 154 1
718 외로운 겨울 박은경 2020-12-30 109 1
717 세모[歲暮]를 맞아 [2] 박은경 2020-12-31 117 1
716 침묵 속에서 박은경 2020-12-31 1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