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조회 수 3389 추천 수 1 2015.05.19 17:33:52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 부부를 모신 영원(英園·경기 남양주 홍유릉 경내)이 45년 만에 공개됐다는 소식이 들린다.

영친왕이나 이방자(일본명 마사코)나 정략결혼의 희생양이라는 점에서 한 많은 삶을 살았음은 분명하다. 그래도 두 사람의 혼백만은 함께 묻혀 있지 않은가.

이 결혼 때문에 61년간이나 독신으로 살았던 여자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영친왕의 정혼녀 민갑완(1897~1968·사진)이다. 민갑완은 10살 때인 1907년 대한제국 황실의 초간택에서 150여명의 규수 가운데 수망(首望·1순위)으로 뽑혔다. 동래부사 민영돈의 딸이었던 소녀는 영친왕과 생년월일까지 같았다. 간택자리에서 영친왕과 키를 재보고는 '남자가 왜 이리 작냐'고 속으로 투덜거렸단다. 그러나 영친왕이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손에 이끌려 일본유학을 떠나면서 혼사가 이어지지 못했다. 대신 황실은 민갑완 집에 약혼선물로 금반지를 보냈다. 영친왕의 정혼녀가 된 민갑완은 국모가 되기 위한 신부수업에 전념했다. 하지만 그사이 정세가 급변했다.

 

 

khan_20150520094516378.jpeg

 


 
일제가 영친왕과 일본 황족 여성 간의 혼인을 추진했던 것이다. "구라파처럼 일·한 양국 황실에서 혼인의 의를 맺자"는 것이었다. 1918년 1월30일 21살 처녀가 된 민갑완에게 기막힌 일이 벌어졌다. 궁에서 상궁들이 나와 약혼반지를 강탈하다시피 회수해 간 것이다. 민갑완은 "충신은 불사이군(不事二君)이요, 열녀는 불경이부(不更二夫)"라는 편지를 썼다. 물론 편지는 배달되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금년(1918년) 내에 다른 가문으로 시집가지 않으면 중죄를 받을 수도 있다"는 서약서까지 써야 했다. 1920년 4월28일 영친왕의 결혼식이 거행되자 민갑완은 상하이 망명의 길을 택했다. 그렇지만 결코 원망하지 않았다. 우사 김규식 박사가 "아가씨의 원수를 갚으려면 그 자(영친왕)를 죽여야 한다"고 독립운동을 권했다. 하지만 민갑완은 고개를 내저었다. "누구도 원망하지 않으며, 남을 해쳐서까지 행운을찾고 싶지 않다"는 것이었다. 민갑완은 귀국 후에도 가난과 병마, 그리고 잇단 사기극에 시달리다가 끝내 세상을 떠났다.

 

"나는 처녀다. 절대 남의 집에서 죽게 하지 마라. 옛날 선비처럼 남자옷을 입혀달라." 마지막까지 가문과 황실을 지키고자 했던 여인의 유언이었다. 유해는 부산 실로암공원 납골묘에 안치돼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114 문체 웹관리자 2014-09-21 7965  
11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112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76  
111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73  
110 바람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13407 1
109 아름다운 우리말, 비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8032 1
108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45 1
107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106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226 1
105 높임말의 올바른 사용법 강정실 2015-03-21 10668 1
104 우리말, 알아도 틀리게 쓰는 말 '바라/바래' 강정실 2015-03-21 5502 1
103 우리말, '뭐'/'머', 구어적 표현이 표준어가 된 사례 강정실 2015-03-21 7398 1
102 우리말, 아라비아 숫자를 읽고 쓰는 법 강정실 2015-03-21 11395 1
101 우리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강정실 2015-03-21 21361 1
100 우리말, "취직하려면… 입문계가 좋아요? 시럽계가 좋아요?" 강정실 2015-03-21 3511 1
99 우리말, '내거'와 '내꺼' 강정실 2015-03-21 9451 1
98 우리말, 사귀다/피우다… 애매한 소리 '우' 강정실 2015-03-21 8987 1
97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25 1
96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65 1
»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