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문 옛길 제 모습 찾는다

조회 수 3982 추천 수 1 2015.06.11 10:19:51

                                                                           서울 4소문 중 유일하게 원형 간직

 

f52f4387932a42ce9cc4743b5388f717_99_20150611221806.jpg

 

180m 구간 복원… 12월 완공 예정창의문으로 통하는 옛길의 모습이 1910년대 찍은 사진에 남아 있다. 종로구청 제공

 

 서울의 4소문 중 유일하게 원형을 간직하고 있는 창의문(彰義門)으로 통하는 옛길이 복원된다.

서울 종로구는 ‘창의문 옛길 역사문화로’ 조성사업을 올해 12월 완공을 목표로 이달 중 착공한다고 11일 밝혔다.

한양도성 창의문은 일반인들의 출입이 금지되다가 1993년에야 개방됐다. 최근에는 창의문 근처 청운문학도서관, 윤동주 문학관, 무계원 등과 함께 역사, 문화, 관광명소로 주목 받고 있다.

이번에 복원하게 될 구간은 창의문로 10길로 도로규모는 폭 4~6m, 연장 180m다. 구는 600년 역사의 숨결을 느낄 수 있도록 황토색 및 화강판석 포장재를 사용해 최대한 옛 길 분위기가 나도록 복원할 계획이다.

창의문 옛길이 조성되는 구간은 개방감이 있도록 담장설치는 피하고 주민들에게 주변의 건물 및 주택 등이 옛길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건물개축 및 보수를 유도하게 된다.

종로구는 이번 창의문 옛길 역사문화로 조성사업을 통해 창의문 주변 역사정체성 확보, 도로확장으로 안전한 보행 및 원활한 차량통행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창의문 옛길이 갖고 있는 풍부한 역사와 인왕산과 북악산이 어우러진 경관의 매력을 활용해 그 가치를 높여 한양도성이 201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한발 다가서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이번 창의문 옛길 복원사업을 통해 안전한 보행 및 차량통행과 600년 서울의 역사를 품은 창의문 주변의 역사정체성을 확보하게 됐다”면서 “조성이 완료되면 많은 분들이 이곳을 거닐며 우리 역사의 향기를 느끼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815 옛날 사진 감상 [1] 석송 2015-05-15 7405 1
1814 미국의 10대 아름다운 도시 중의 하나 세도나 [1] 석송 2015-05-15 8580 1
1813 시협·미주문학 25일 합동 월례회·시문학 강좌 웹관리자 2015-05-18 5123  
1812 신정아, 조영남 전시회로 큐레이터 복귀 file 웹관리자 2015-05-19 9084 1
1811 드가 걸작 ‘러시안 댄서들’ LA 나들이 file 웹관리자 2015-06-02 7280 1
1810 교차로 카메라 ‘번쩍, 번쩍’ file [1] 웹관리자 2015-06-02 10539 2
1809 한국 내 메르스(중동 호흡기증후군) 공포 file [1] 웹관리자 2015-06-02 4937 1
1808 쇼팽의 마주르카는 꽃 속에 묻힌 대포와도 같다" file 김평화 2015-06-03 9041 1
1807 “오래 앉아 있는 게 흡연보다 위험 김평화 2015-06-03 4846 1
1806 커피 사랑은 과로의 주범 file 석송 2015-06-04 6959 1
1805 술 때문에… 매일 6명 숨진다 file 제봉주 2015-06-05 12438 1
1804 메르스 치료와 예방법 file 제봉주 2015-06-05 14306 2
1803 ‘황금알’ 낳는 ‘웹소설’ 문학계 ‘지각변동’ file 강정실 2015-06-07 9623 1
1802 파랑새 file 석송 2015-06-08 4142 1
1801 조선시대의 만조천, 용산기지에 흐르고 있다 file 석송 2015-06-08 6646 1
1800 광주서 천오백년전 대규모 마을유적 file 웹관리자 2015-06-09 4779 1
1799 덕혜옹주 당의ㆍ저고리…日박물관, 문화재청에 기증 file 웹관리자 2015-06-09 10387 2
» 창의문 옛길 제 모습 찾는다 file 석송 2015-06-11 3982 1
1797 크눌프 '데미안·수레바퀴 아래서' 번역서 표절 논란 file 웹관리자 2015-06-11 6772 1
1796 단 한 점으로도 전시실을 꽉 채우는 백자 file [1] 웹관리자 2015-06-11 433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