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집' 표절 논란

조회 수 6818 추천 수 2 2015.06.30 13:57:04

“기이하다. 부인의 말이 아니다(異哉 非婦人語).” 1590년(선조 23년) 서애 류성룡은 허난설헌(1563~1589)의 시를 읽어보고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류성룡은 난설헌의 남동생 허균에게 “집안의 보배로 간직해서 후세에 전하라”고 일러두었다. 허균은 27살에 요절한 누이의 유고를 모아 최초의 여성문집인 <난설헌집>(사진)을 출간했다(1608년).

시집은 중국대륙까지 열광시켰다. “난설헌의 시는 하늘에서 떨어진 꽃처럼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됐다”(<열조시집>)고 할 정도였다. “당나라 대표시인 이태백을 뒤로 물러나게 한다”(<고금야사>)는 극찬까지 이어졌다. 중국의 편집자들이 난설헌의 시를 앞다퉈 실었다. 가히 ‘허난설헌 열풍’이었다.

 

20150630211815957mqkz.jpg

 

 

그런데 1652년 명나라 전겸익이 편찬한 <열조시집>에 심상찮은 평론이 실렸다. 기녀 출신 여류시인인 유여시(1616~1664)가 표절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유여시는 우선 ‘명나라 문사들이 오랑캐 여인(난설헌)의 솜씨에 놀라 표절 여부를 가리지도 않고 열광하고 있는 한심한 작태’를 꼬집었다. 그러면서 “허난설헌의 시 대부분은 당나라 시인들의 시구를 표절한 것”이라고 비평했다. 그러자 조선에서도 난리가 났다. 난설헌과 동갑내기인 이수광은 <지봉유설>에서 “난설헌의 시 2~3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위작”이라고 폄훼했다. “중국인의 글을 산 채로 집어삼킨 것”(홍만종의 <시화총림>)이라는 무시무시한 표현도 나왔다.

허난설헌에게 이 같은 낙인은 억울할 것이다. 아니 누가 시집을 낸다고 했던가. 허난설헌은 “내 저작물을 모두 불태우라”고 유언했다. 흔적을 남기지 않으려 했는데 동생인 허균이 사후에 펴낸 것을 어쩌랴. 어렸을 때부터 옛 시를 바탕으로 끄적였던 습작이 허균이 엮은 시집에 섞였을 것이다. 허균의 흔적도 알게 모르게 삽입됐을 것이다. 게다가 이미 죽은 몸이라 독자들 앞에서 입장표명을 할 수도 없었다. 당대 표절의 기준도 모호했다. 조선 전기의 문인인 서거정은 “옛 시를 많이 읽으면 마치 자기의 시처럼 생각되는 게 있으니 표절이라 욕할 수 없다”(<동인시화>)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허난설헌의 명성은 바래지 않았다. 1695년(숙종 21년) 청나라 강희제는 사신을 파견하면서 “조선 고금의 시문들과 <동문선>, <난설헌집>, 그리고 최치원·김생·안평대군의 필적을 가져오라”는 특명을 내렸을 정도다. 혹독한 비평 속에서도 허난설헌의 작품은 살아남아 생명력을 발하고 있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815 동화 속 요정 같은 갯민숭이 file 강정실 2015-07-26 6890 2
1814 태양계, 또 다른 지구를 찾았다. file 석송 2015-07-25 8562 2
1813 반려동물 기를땐 언제고… 휴가땐 ‘나몰라라’ file 웹관리자 2015-07-24 6789 2
1812 일본, 전쟁할 수 있는 나라로 탈바꿈 file 신성철 2015-07-16 4459 2
1811 뉴호라이즌스 명왕성 최근접…인류 우주탐사 지평 넓힌 개가 file 웹관리자 2015-07-14 3852 2
1810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 file 강정실 2015-07-13 8624 2
1809 남산에서 동대문, 그 많던 성돌은 어디로 갔을까 file [1] 웹관리자 2015-07-11 5551 2
1808 세모(歲暮) 아침 file [1] 유경순 2022-12-31 288 2
1807 첫째 복날 초복, 초복의 의미는? file [1] 정덕수 2015-07-12 7057 2
1806 꿈의 길 오청사 2023-05-04 303 2
1805 모래더미에 숨겨졌던 제주 소천굴 705m 발견 file 신성철 2015-07-03 4482 2
1804 부부 및 인간관계 증진 세미나 석송 2015-07-02 4671 2
1803 백제 금동대향로 file [1] 웹관리자 2015-07-02 7699 2
1802 헌팅턴비치, 전국 최고의 해변 file 석송 2015-06-30 4192 2
» '난설헌집' 표절 논란 file 강정실 2015-06-30 6818 2
1800 '침묵의 카르텔' 뒤 3대 출판권력 file 석송 2015-06-24 4525 2
1799 홍게의 진격, 캘리포니아 서부 해안가 file 정순옥 2015-06-16 7975 2
1798 덕혜옹주 당의ㆍ저고리…日박물관, 문화재청에 기증 file 웹관리자 2015-06-09 10387 2
1797 메르스 치료와 예방법 file 제봉주 2015-06-05 14306 2
1796 교차로 카메라 ‘번쩍, 번쩍’ file [1] 웹관리자 2015-06-02 1053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