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통해 국내에도 잘 알려진 ‘육식어종’ 피라니아(피라냐)가 강원도 횡성의 한 저수지에서 잡혔다고 연합뉴스가 4일 보도했다. 피라니아가 국내 생태계에서 발견되기는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빨이 사람 이를 닮아 ‘인치어’로도 불린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주변 강이나 호수로 확산될 가능성은 적다고 판단했지만, 횡성군청 등 지방자치단체와 협조해 관리방안을 신속히 마련할 방침이다.

국립생태원은 3∼4일 이틀간 강원도 횡성군 마옥저수지에서 피라니아 3마리와 피라니아와 유사어종인 레드파쿠 1마리를 투망을 이용해 잡았다고 4일 밝혔다.

 


 

fbd7ef5280c442c0804e08bece1ef117.jpg

 

강원도 횡성의 한 저수지에서 아마존에 서식하는 육식어종 피라니아가 발견돼 당국이 정밀 조사에 나섰다.|국립생태원 제공

 

 

생태원은 최근 인터넷에 피라니아와 비슷한 어종이 잡혔다는 글이 올라오자 3일 현장 조사를 벌여 19㎝ 크기의 한 마리를 잡았다. 애초 레드파쿠로 추정했던 생태원은 해당 물고기가 피라니아였다고 최종 확인했다.

이어 이날 오전 추가 현장 조사를 벌여 15㎝ 크기의 피라니아 2마리와 30㎝ 크기의 레드파쿠 1마리를 추가로 잡았다.

생태원은 또 피라니아 또는 레드파쿠로 보이는 어종이 낚시에 4차례 잡혔지만 걷어올리는 도중 날카로운 이빨을 이용해 모두 줄을 끊고 도망갔다고 밝혔다.

피라니아와 레드파쿠는 남미에 주로 서식하는 어종으로 인위적인 유입 외에는 국내에 분포할 가능성이 희박해 누군가 관상용으로 키우다 버린 것으로 추정했다.

생태원은 두 어종 모두 아열대성이어서 국내에서 겨울이 되면 모두 폐사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또 최근 가뭄으로 저수지 수위가 낮아 주변 하천으로 흘러들어 갈 가능성도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올여름 장마로 인한 수위 상승 시 하류로의 확산 가능성이 있어 당국이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포획한 4마리는 모두 죽은 상태로 포르말린 용액에 보존됐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95 손수건 2 박은경 2021-01-17 82 1
794 손수건 1 박은경 2021-01-17 205 1
793 겸손/ 디카시조 file 박은경 2021-01-18 128 1
792 기다림[디카시] file 박은경 2021-01-19 103 1
791 마술사의 손수건 박은경 2021-01-20 154 1
790 손수건/ 5자시 박은경 2021-01-21 127 1
789 코로나 백신 박은경 2021-01-22 156 2
788 코로나 박은경 2021-01-23 109 1
787 색채의 마술사 샤갈 file [2] 웹담당관리자 2021-01-23 174 1
786 할미꽃 file [1] 박은경 2021-01-24 140 1
785 목련꽃 내 임아 [행시조] 박은경 2021-01-25 145 1
784 나의 바램 [2] 박은경 2021-01-26 146 1
783 남편의 사격 연습과 첫 사냥 file [2] 박은경 2021-01-27 158 1
782 사격장에서 박은경 2021-01-27 121 1
781 희망 4 박은경 2021-01-28 107 1
780 희망 3 박은경 2021-01-28 107 1
779 희망 2 박은경 2021-01-28 125 2
778 희망 1 박은경 2021-01-28 109 2
777 하일랜드 산책길 file [3] 정순옥 2021-01-29 165 1
776 2월의 소리 file [2] 정순옥 2021-01-29 20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