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궈내다? 우려내다.

조회 수 3488 추천 수 1 2015.07.12 09:03:43

2015061901033806345001_b_99_20150619143318.jpg

 


 

 

이것이 자본주의가 사람들에게 오락을 제공하고 돈을 울궈내는 방식이구나.

○○○ 후보가 내세운 영종-강화대교 건설은 10여 년 가까이 울궈먹는 공약이다.

인용문의 ‘울궈내는, 울궈먹는’은 ‘우려내는, 우려먹는’으로 고쳐야 바른 문장이 됩니다. ‘울궈먹다, 울궈내다’는 ‘우리다’의 방언인 ‘울구다’에서 파생된 말로 입말로 많이 쓰이고 있지요.

먼저 ‘우려내다’는 세 가지 뜻을 가지고 있어요. ‘물체를 액체에 담가 성분, 맛, 빛깔 따위가 배어들게 하다’ ‘생각이나 감정을 끄집어내다’ ‘꾀거나 위협하거나 해서 자신에게 필요한 돈이나 물품을 빼내다’인데요. 첫 번째 뜻처럼 소뼈를 고아 진하게 끓인 곰국을 표현할 때는 표준어인 ‘우려내다’가 주로 쓰이는 데 반해 세 번째 뜻처럼 타인에게서 금품을 뜯어내는 것을 표현할 때는 ‘울궈내다 ’가 표준어보다 훨씬 말맛이 살아나지요.

‘우려먹다’는 ‘음식 따위를 우려서 먹다’ ‘이미 썼던 내용을 다시 써먹다’는 뜻인데요. 첫 번째 뜻으로는 ‘우려내다’와 거의 같이 쓰입니다. 두 번째 뜻으로는 같은 소재나 형식을 여러 번 차용한 예능 프로그램이나 예전에 내놓았던 방안들을 짜깁기한 회사의 기획안 등을 논할 때 쓸 수 있어요.

일상에서 어제와 다른 뭔가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가끔 다람쥐 쳇바퀴에서 내려올 수 있는 용기와 함께 그래야 할 때가 언제인지를 아는 지혜가 필요한데요. 그런 용기와 지혜가 생긴다면 이전에 배운 철 지난 지식을 평생 ‘우려먹는’ 일은 없어지겠지요.

허림 시인은 ‘울궈내다’란 시에서 ‘울궈내는 일은 삶의 결박을 푸는 일이다’라고 했는데요. 그 결박을 풀어야 할 사람은 바로 나 자신이겠지요. 일과 여가의 균형을 통해 때맞춰 마중물을 부어줄 수 있을 때 발전적인 아이디어도 잘 ‘우려낼’ 수 있을 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34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35 2
33 구한말 돈으로 관직 거래한 문서 '임치표' 확인 file 강정실 2015-11-10 2494 2
32 국사편찬위, 내달 업데이트 완료…2억4천만자 '대기록' file 웹관리자 2015-11-11 2189 2
31 풍납토성 '1700년의 비밀' 풀리나?…내년부터 발굴 file 웹관리자 2015-11-11 2968 1
30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6 1
29 세종의 아들들이 거쳐간 妓女 초요갱… 불나방처럼 달려든 사내들 file 웹관리자 2015-11-17 3831 1
28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있는 곳(파리 북부, 오베르 쉬르 오와즈) 웹관리자 2015-11-25 4414 3
27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 인정 웹관리자 2015-12-14 2487 1
26 2015년의 신조어 file 웹관리자 2015-12-16 4250 2
25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초본판 1억 3,500만원에 낙찰 file 웹관리자 2015-12-19 3124 3
24 흥선 대원군의 환갑 얼굴 file 강정실 2015-12-26 5744 2
23 ‘이른둥이’ ‘따라쟁이’ file 웹관리자 2016-01-02 3363 1
22 우리나라의 국명은 한국, 정확하게는 대한민국이다 웹관리자 2016-01-19 7928 1
21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226 1
20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19 114년 전 美 언론이 취재한 '청년 안창호의 꿈' file 웹관리자 2016-03-06 3009 1
18 오금이 저리다 file 웹관리자 2016-03-21 7763 1
17 일본인 사진가가 찍은 이웃 나라…'내 마음속의 한국' file 웹관리자 2016-03-22 4251 2
16 “문학은 사람의 목소리, 결코 망하지 않을 거요!” file 웹관리자 2016-03-31 3310 1
15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