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8010217_11130923183205_1_99_20150801021807.jpg

 


 

“이 시간에 여기까지 왠일이야?” “오늘따라 웬지 네가 보고 싶더라.”

위 대화에서 ‘왠’과 ‘웬’이 잘못 쓰였습니다. 서로 바꿔야 합니다. 둘을 구분해 쓰는 것을 어려워하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웬’은 ‘어찌 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웬 영문인지 몰라 어리둥절하다’처럼 말할 수 있지요. 또 ‘어떠한, 즉 정체를 알 수 없는’의 의미로도 쓰입니다. ‘어젯밤에 웬 남자가 너를 찾아왔더구나’처럼 말할 수 있습니다. ‘웬’ ‘웬걸’ ‘웬일’ 등에서의 ‘웬’은 모두 ‘예상했던 것과 달리’ 또는 ‘의외의 일로’의 의미를 갖는 말입니다. ‘웬’은 ‘무슨 까닭으로, 또는 어째서’의 뜻을 가진 ‘왜’와는 전혀 관련 없는 말입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이게 웬 떡이야’라는 말에서 ‘웬’의 쓰임을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왠’은 어떻게 쓰이는 것일까요. ‘왠’ 혼자서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왠지’로만 쓰입니다. ‘왜인지’가 줄어서 된 말인데 ‘어쩐지’, ‘왜 그런지 모르게, 뚜렷한 이유도 없이’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빈집에 들어오니 왠지 으스스하다’, ‘그의 말 한마디에 왠지 모를 서운함이 밀려왔다’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웬지’는 쓸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54 일본인 사진가가 찍은 이웃 나라…'내 마음속의 한국' file 웹관리자 2016-03-22 4251 2
53 우리말, 방어율?직구? 야구용어 속 '불편한' 진실 강정실 2015-03-21 4322 2
52 우리말, '다르다'와 '틀리다' 강정실 2015-03-21 4381 2
51 우리말, 사이시옷 강정실 2015-03-21 4391 2
50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있는 곳(파리 북부, 오베르 쉬르 오와즈) 웹관리자 2015-11-25 4414 3
49 우리말, '~ㄹ게'와 '거야' 강정실 2015-03-21 4444 2
48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8 1
47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480 1
46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45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35 2
44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5 1
4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42 바뀐 문장부호 file 강정실 2015-06-10 4689 1
41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38 1
40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
39 우리 땅에서 성장한 한자어는 우리말? file 강정실 2015-06-10 4950 1
38 이미 확보해 놓은 높은 벼슬, '떼어놓은 당상' file 강정실 2015-10-17 5013 2
37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36 우리말,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강정실 2015-03-21 5325 2
35 우리말, 고쳐야 할 일본식 지명 강정실 2015-03-21 537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