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8010217_11130923183205_1_99_20150801021807.jpg

 


 

“이 시간에 여기까지 왠일이야?” “오늘따라 웬지 네가 보고 싶더라.”

위 대화에서 ‘왠’과 ‘웬’이 잘못 쓰였습니다. 서로 바꿔야 합니다. 둘을 구분해 쓰는 것을 어려워하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웬’은 ‘어찌 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웬 영문인지 몰라 어리둥절하다’처럼 말할 수 있지요. 또 ‘어떠한, 즉 정체를 알 수 없는’의 의미로도 쓰입니다. ‘어젯밤에 웬 남자가 너를 찾아왔더구나’처럼 말할 수 있습니다. ‘웬’ ‘웬걸’ ‘웬일’ 등에서의 ‘웬’은 모두 ‘예상했던 것과 달리’ 또는 ‘의외의 일로’의 의미를 갖는 말입니다. ‘웬’은 ‘무슨 까닭으로, 또는 어째서’의 뜻을 가진 ‘왜’와는 전혀 관련 없는 말입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이게 웬 떡이야’라는 말에서 ‘웬’의 쓰임을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왠’은 어떻게 쓰이는 것일까요. ‘왠’ 혼자서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왠지’로만 쓰입니다. ‘왜인지’가 줄어서 된 말인데 ‘어쩐지’, ‘왜 그런지 모르게, 뚜렷한 이유도 없이’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빈집에 들어오니 왠지 으스스하다’, ‘그의 말 한마디에 왠지 모를 서운함이 밀려왔다’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웬지’는 쓸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54 “문학은 사람의 목소리, 결코 망하지 않을 거요!” file 웹관리자 2016-03-31 3310 1
53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
52 왜 청자뿐일까…해저유물 미스테리 file 웹관리자 2016-04-14 4179 1
51 "조선 사신으론 내가 적임" 명·청 때 서로 오려 한 까닭 file 웹관리자 2016-09-11 3196 1
50 새로 표준어로 인정된 어휘 웹관리자 2016-12-30 3975 1
49 42가지 언어로 옮긴 한국문학 한자리에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39 1
48 가장 오래된 '흥부전' 필사본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64 1
47 18세기 조선통신사가 일본서 받은 금풍경 3점 발견 file 웹관리자 2017-07-08 2543 1
46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38 1
45 '독도는 일본땅' 주장 반박할 130년 전 日검정교과서 발견 웹담당관리자 2017-08-07 2187 1
44 이수지, 韓작가 최초 ‘아동문학 노벨상’ 안데르센상 수상 file 웹담당관리자 2022-03-22 637 1
43 백석의 연인 ‘란’과 결혼한 경성제대 反帝동맹 주동자 신현중 file 강정실 2022-03-12 1731 1
42 구한말 돈으로 관직 거래한 문서 '임치표' 확인 file 강정실 2015-11-10 2494 2
41 한글 논리적인 글자 (동영상) 웹관리자 2014-10-15 2582 2
40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35 2
39 우리말, '이/히' 구분법 [1] 강정실 2015-03-21 10048 2
38 우리말, 비슷한 발음 강정실 2015-03-21 8108 2
37 우리말, '쇠다/쉬다' 강정실 2015-03-21 9146 2
36 우리말, '~ㄹ게'와 '거야' 강정실 2015-03-21 4444 2
35 우리말, '신정' '구정'의 어원과 바른표기 강정실 2015-03-21 1114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