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리는 빌리고 용서는 빌고

조회 수 1660 추천 수 1 2015.08.08 13:48:37

2015080701033806345001_b_99_20150807141223.jpg

 


 

 

주인공들의 관계를 트럼프 카드 형식을 빌어 센스 있게 풀어보았다.

과거 제 발언 때문에 상처 받으신 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

‘빌다’는 크게 두 가지 뜻이 있어요.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해 달라고 신이나 사람, 사물 따위에 간청하거나 누군가에게 잘못을 용서해 달라고 호소하다, 생각한 대로 이뤄지길 바라는 것으로 기원(祈願)하다의 의미지요. 다른 하나는 남의 물건을 공짜로 달라고 호소해 얻는 것으로 구걸(求乞)한다는 뜻입니다.

문제는 주로 ‘빌리다’를 써야 할 자리에 ‘빌다’를 쓰면서 생기는데요. ‘빌리다’는 남의 물건이나 돈 따위를 나중에 돌려주거나 대가를 갚기로 하고 얼마 동안 쓰다, 남의 도움을 받거나 사람이나 물건을 믿고 기대다, 일정한 형식이나 이론, 또는 남의 말이나 글을 취해 따르다, 어떤 일을 하기 위해 기회를 이용한다는 뜻이 있어요.

남의 물건을 돌려주기로 하고 쓰는 것은 빌려 쓰는 것이고 밥을 거저 달라고 사정하는 것은 빌어먹는 거지요. 일손이나 머리는 빌려 쓸 수 있지만 건강은 빌릴 수 없다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첫째 인용문의 ‘카드 형식을 빌어’는 차용(借用)한다는 뜻이므로 ‘빌려’로 써야 하는데요. 성인의 말씀을 빌려 설교하거나 관계자의 말을 빌려 보도하는 것 모두 이에 해당합니다.

둘째 인용문의 ‘이 자리를 빌어’는 어떤 일을 하기 위해 기회를 이용한다는 뜻이므로 ‘빌려’로 고쳐야 합니다. 영화제 등 시상식에서 수상자들이 인사말을 할 때 빠뜨리지 않는 표현인데요. 수상하게 된 기회를 이용해 감사 인사를 하는 것이지요.

어떤 자리를 ‘빌려’ 하는 일이 누군가에게 용서를 ‘비는’ 일이 아니라 고마움을 전하는 일이면 좋겠습니다. 용서를 비는 데 힘쓰기보다는 애초에 그런 상황이 되지 않게 하는 것이 더위 나기엔 더 나을 테니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114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73  
113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76  
112 이수지, 韓작가 최초 ‘아동문학 노벨상’ 안데르센상 수상 file 웹담당관리자 2022-03-22 637 1
» 자리는 빌리고 용서는 빌고 file 웹관리자 2015-08-08 1660 1
110 틀리기 쉬운 맞춤법…‘강지영, 그녀의 설레임(X)?’ 강정실 2015-08-17 1714 1
109 백석의 연인 ‘란’과 결혼한 경성제대 反帝동맹 주동자 신현중 file 강정실 2022-03-12 1731 1
108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웹관리자 2015-09-16 1746 1
107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강정실 2015-10-17 1836 1
106 개인기? 성대를 '묘사' file 웹관리자 2015-09-16 1916 1
105 안되는 줄 알면서 억지부리는 모습, "너 ○○○○구나!" file 웹관리자 2015-09-16 2019 1
104 짜장 똥겨줘요? 사전에 이런 말도 있다. file 웹관리자 2015-06-09 2024 1
103 나이는 거스르고 마음은 추스르고! file 웹관리자 2015-09-11 2105 1
102 <우리 말글 이야기>엄한 사람? 애먼 사람! file 강정실 2015-10-17 2173 1
101 풍물·버나·살판·어름에 관한 해석 file 웹관리자 2015-08-25 2182 1
100 '독도는 일본땅' 주장 반박할 130년 전 日검정교과서 발견 웹담당관리자 2017-08-07 2187 1
99 국사편찬위, 내달 업데이트 완료…2억4천만자 '대기록' file 웹관리자 2015-11-11 2189 2
98 잔치는 벌이고 격차는 벌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7-24 2296 1
97 부시를 쳐서 불을 붙이는 ‘부싯깃’ file 웹관리자 2015-09-16 2319 2
96 설욕은 벼르고, 칼날은 벼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9-04 2349 1
95 웬만한 건 다 ‘웬’, 왠은 ‘왠지’로만 file 강정실 2015-08-01 235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