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정'은 어제일까요? 오늘일까요?

조회 수 2412 추천 수 1 2015.09.10 10:31:15

 

"기상청은 12일 자정을 기해 수도권 전역에 내려진 호우주의보와 호우경보를 해제한다고 밝혔습니다."

말 그대로 하늘에서 '물폭탄'이 쏟아진 몇주 전 뉴스에서 흘러나오는 기상캐스터 말에 시름을 놓았는데요. 연신 "다행이다"를 읊조리다 문득 자정이 언제인지 궁금해집니다.

'12일 자정이면 12일을 끝내는 밤 12시겠지? 12일을 시작하는 0시인가?’
갑자기 헷갈립니다. 오늘이냐 내일이냐, 하루가 걸린 매우 중요한 순간입니다. 자정, 정확히 언제를 말하는 걸까요?

 

2015090812062843714_1_99_20150908150411.jpg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익숙하신 분들 많으시죠? 아마도 재미로 보는 '오늘의 띠별 운세' 때문일 텐데요. 바로 12가지 동물을 나타내는 12간지입니다. 하지만 띠뿐만 아니라 시간도 12간지를 기준으로 정해졌다는 사실! 이를테면 쥐가 가장 왕성히 활동하는 자시는 11~1시, 축시(소)는 1~3시, 인시(호랑이)는 3~5시 등 2시간씩 차지합니다.

여기서 자시(11~1시)의 한가운데(正), 그러니까 밤 12시를 '자정'이라고 합니다. 앞뒤 순서를 바꿔 '정자'라고 해도 무방하고요. 반대로 '정오'는 낮 12시를 말하는데 역시 '오정'이라고 써도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 하나. 12간지 순서를 보면 '자시'가 가장 먼저입니다. '오시'는 정확히 중간이고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자시는 '십이시(十二時)의 첫째 시. 밤 열한 시부터 오전 한 시까지'라고 나옵니다.

그렇다면 자시는 하루의 끝이 아닌 시작이 맞겠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이에 대해 국립국어원에 문의한 결과 "'자정'이 하루의 시작인지 끝인지는 화자가 어떤 기준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어떤 절대적 기준을 설정하기 어렵습니다"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결국 기준에 따라 다르다는 말인데요. 그렇다면 12간지의 첫 번째인 자시를 하루의 마지막인 '밤 12시'로 볼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따라서 자시의 가운데 자정을 하루의 시작, 즉 '0시'로 보는 게 맞다는 생각입니다.

 

 

문제 나갑니다. 12간지 중 상표등록이 가장 많은 동물은 무엇일까요?(특허청·2007년 기준)
1. 호랑이
2. 토끼
3. 닭
4. 개

정답은 1번 호랑이입니다. 특허청에 따르면 호랑이, 말, 용, 닭 등의 순이었는데요. 호랑이는 신통력이나 영물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74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25 1
73 구름의 종류 file 강정실 2015-04-30 14894 2
72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65 1
71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
70 ‘첫번째’ ‘첫 번째’ 올바른 띄어쓰기는? file 웹관리자 2015-06-09 6248 2
69 짜장 똥겨줘요? 사전에 이런 말도 있다. file 웹관리자 2015-06-09 2024 1
68 바뀐 문장부호 file 강정실 2015-06-10 4689 1
67 우리 땅에서 성장한 한자어는 우리말? file 강정실 2015-06-10 4950 1
66 '든' '던' ? file 강정실 2015-07-04 5606 1
65 울궈내다? 우려내다. file 웹관리자 2015-07-12 3488 1
64 ‘재연’과 ‘재현’ file 웹관리자 2015-07-12 3477 2
63 <런닝맨>은 좋지만 '런닝맨'은 싫어요 file 강정실 2015-07-13 4086 1
62 잔치는 벌이고 격차는 벌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7-24 2296 1
61 웬만한 건 다 ‘웬’, 왠은 ‘왠지’로만 file 강정실 2015-08-01 2355 1
60 자리는 빌리고 용서는 빌고 file 웹관리자 2015-08-08 1660 1
59 “안 되요”라고 하면 안 돼요 file 웹관리자 2015-08-14 3421 1
58 틀리기 쉬운 맞춤법…‘강지영, 그녀의 설레임(X)?’ 강정실 2015-08-17 1714 1
57 틀리기 쉬운 맞춤법 강정실 2015-08-17 2461 1
56 풍물·버나·살판·어름에 관한 해석 file 웹관리자 2015-08-25 2182 1
55 [기사 속 틀린 맞춤법] 서유리 보정 의혹 사진에 눈꼽(X)? file 웹관리자 2015-09-02 321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