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정'은 어제일까요? 오늘일까요?

조회 수 2412 추천 수 1 2015.09.10 10:31:15

 

"기상청은 12일 자정을 기해 수도권 전역에 내려진 호우주의보와 호우경보를 해제한다고 밝혔습니다."

말 그대로 하늘에서 '물폭탄'이 쏟아진 몇주 전 뉴스에서 흘러나오는 기상캐스터 말에 시름을 놓았는데요. 연신 "다행이다"를 읊조리다 문득 자정이 언제인지 궁금해집니다.

'12일 자정이면 12일을 끝내는 밤 12시겠지? 12일을 시작하는 0시인가?’
갑자기 헷갈립니다. 오늘이냐 내일이냐, 하루가 걸린 매우 중요한 순간입니다. 자정, 정확히 언제를 말하는 걸까요?

 

2015090812062843714_1_99_20150908150411.jpg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익숙하신 분들 많으시죠? 아마도 재미로 보는 '오늘의 띠별 운세' 때문일 텐데요. 바로 12가지 동물을 나타내는 12간지입니다. 하지만 띠뿐만 아니라 시간도 12간지를 기준으로 정해졌다는 사실! 이를테면 쥐가 가장 왕성히 활동하는 자시는 11~1시, 축시(소)는 1~3시, 인시(호랑이)는 3~5시 등 2시간씩 차지합니다.

여기서 자시(11~1시)의 한가운데(正), 그러니까 밤 12시를 '자정'이라고 합니다. 앞뒤 순서를 바꿔 '정자'라고 해도 무방하고요. 반대로 '정오'는 낮 12시를 말하는데 역시 '오정'이라고 써도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 하나. 12간지 순서를 보면 '자시'가 가장 먼저입니다. '오시'는 정확히 중간이고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자시는 '십이시(十二時)의 첫째 시. 밤 열한 시부터 오전 한 시까지'라고 나옵니다.

그렇다면 자시는 하루의 끝이 아닌 시작이 맞겠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이에 대해 국립국어원에 문의한 결과 "'자정'이 하루의 시작인지 끝인지는 화자가 어떤 기준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어떤 절대적 기준을 설정하기 어렵습니다"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결국 기준에 따라 다르다는 말인데요. 그렇다면 12간지의 첫 번째인 자시를 하루의 마지막인 '밤 12시'로 볼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따라서 자시의 가운데 자정을 하루의 시작, 즉 '0시'로 보는 게 맞다는 생각입니다.

 

 

문제 나갑니다. 12간지 중 상표등록이 가장 많은 동물은 무엇일까요?(특허청·2007년 기준)
1. 호랑이
2. 토끼
3. 닭
4. 개

정답은 1번 호랑이입니다. 특허청에 따르면 호랑이, 말, 용, 닭 등의 순이었는데요. 호랑이는 신통력이나 영물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74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웹관리자 2015-09-16 1746 1
73 유감은 사과일까? 아닐까? file 강정실 2015-10-10 2470 1
72 한가위 ‘맞으세요’가 맞나, ‘맞이하세요’가 맞나? file 강정실 2015-10-10 2508 1
71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476 1
70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8 1
69 '이크!'에 대한 것 file 강정실 2015-10-17 2391 1
6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강정실 2015-10-17 1836 1
67 [기사 속 틀린 맞춤법] 1억수표, 분실물이냐 검은 돈(X)이냐 강정실 2015-10-17 3134 1
66 <우리 말글 이야기>엄한 사람? 애먼 사람! file 강정실 2015-10-17 2173 1
65 담벽과 담벼락 강정실 2015-10-17 2708 1
64 국보 훈민정음 또 있다. 제3의 혜례본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10-17 3043 1
63 풍납토성 '1700년의 비밀' 풀리나?…내년부터 발굴 file 웹관리자 2015-11-11 2968 1
62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5 1
61 세종의 아들들이 거쳐간 妓女 초요갱… 불나방처럼 달려든 사내들 file 웹관리자 2015-11-17 3831 1
60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 인정 웹관리자 2015-12-14 2487 1
59 ‘이른둥이’ ‘따라쟁이’ file 웹관리자 2016-01-02 3363 1
58 우리나라의 국명은 한국, 정확하게는 대한민국이다 웹관리자 2016-01-19 7928 1
57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56 114년 전 美 언론이 취재한 '청년 안창호의 꿈' file 웹관리자 2016-03-06 3009 1
55 오금이 저리다 file 웹관리자 2016-03-21 775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