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기? 성대를 '묘사'

조회 수 1916 추천 수 1 2015.09.16 11:46:31

2015091117571750918_6_99_20150915175207.jpg

 

 

 

 

"한 마리라도 '야!옹!'하고 우는 고양이가 있습니까?"
"집고양이의 울음 소리는 바로 이겁니다."
"왜요~~옹?"

최근 확 뜬 KBS 개그콘서트 '리얼 사운드' 코너 중의 일부를 옮겨 봤습니다.
개인기 중의 단골손님인 이것, 다른 사람이나 동물 등의 소리를 흉내 내는 것을 '성대□사'라고 하는데요. 소리 만드는 성대를 '모'방해 나타낸다는 뜻이므로 □에는 모가 들어갑니다. 왠지 발음이 비슷한 묘사와 헷갈리는데요. 하지만 가수의 창법을 비슷하게 흉내 낼 때 '모'창한다고 말하는 것을 생각해 보면 이해하기 조금 쉬워집니다.

같은 뜻의 '모'가 들어간 낱말 중에는 익숙한 것들이 꽤 많은데요. 오늘은 그 중 몇개를 엮어 보겠습니다.

 

2015091117571750918_5_99_20150915175207.jpg

 


 

원래 것을 '모'방해(본떠) 만든 것을 흔히 '모형'이라고 합니다. 건물 모형이나 장난감인 모형 비행기 등처럼 쓰이죠. 이와 뜻이 비슷하면서도 다른 낱말 '모조'도 자주 쓰입니다. 역시 어떤 물건을 모방해 만든 것을 뜻하지만 진품과는 품질이 다르다는 느낌, 혹은 '짝퉁'이라는 부정적 느낌의 단어입니다. 모조품, 모조 다이아몬드가 그런 예입니다.

학생들이 연습 삼아 보는 시험인 '모의고사'는 실제처럼 상황을 '모'방해 치르는 고사(시험)를 말합니다. 일종의 모조 돈인 사이버 머니를 갖고 주식 투자를 실제처럼 해 보는 것은 '모의 주식투자'라고 하지요.

그러면 남들이 모방할 만큼 본보기가 되는 것은? 많이 들어보셨을 말 '모범'입니다. 모범생, 모범택시 등 여러 단어에 쓰이고 있습니다.

마무리 문제는 맞춤법에 대한 겁니다. 다음 TV프로그램 이름 중 맞게 쓰인 것은? 모범 답안을 골라주세요.(정답은 아래에)
1. 막'되'먹은 영애씨
2. 다 잘될 '꺼'야
3.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4. 삼시'새'끼


본문이미지
 
정답은 3번.
1번은 '되어'가 줄어든 말이므로 '돼'가, 2번은 '것이야'를 말로 할 때의 표현으로 '거야'가 맞습니다. 4번은 세 번의 끼니를 얘기하는 것이니 '세'가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54 닐리리와 늴리리 웹관리자 2015-09-04 2572 1
53 설욕은 벼르고, 칼날은 벼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9-04 2349 1
52 ‘고래가 싸우면 새우가 죽는다?’ file 웹관리자 2015-09-10 3176 1
51 '자정'은 어제일까요? 오늘일까요? file 웹관리자 2015-09-10 2412 1
50 나이는 거스르고 마음은 추스르고! file 웹관리자 2015-09-11 2105 1
49 부시를 쳐서 불을 붙이는 ‘부싯깃’ file 웹관리자 2015-09-16 2319 2
48 안되는 줄 알면서 억지부리는 모습, "너 ○○○○구나!" file 웹관리자 2015-09-16 2019 1
» 개인기? 성대를 '묘사' file 웹관리자 2015-09-16 1916 1
46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웹관리자 2015-09-16 1746 1
45 유감은 사과일까? 아닐까? file 강정실 2015-10-10 2470 1
44 한가위 ‘맞으세요’가 맞나, ‘맞이하세요’가 맞나? file 강정실 2015-10-10 2508 1
43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480 1
42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8 1
41 '이크!'에 대한 것 file 강정실 2015-10-17 2391 1
40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강정실 2015-10-17 1836 1
39 [기사 속 틀린 맞춤법] 1억수표, 분실물이냐 검은 돈(X)이냐 강정실 2015-10-17 3134 1
38 <우리 말글 이야기>엄한 사람? 애먼 사람! file 강정실 2015-10-17 2173 1
37 이미 확보해 놓은 높은 벼슬, '떼어놓은 당상' file 강정실 2015-10-17 5013 2
36 담벽과 담벼락 강정실 2015-10-17 2708 1
35 국보 훈민정음 또 있다. 제3의 혜례본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10-17 304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