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대촌천서 '반딧불이' 서식지 발견

조회 수 4920 추천 수 1 2015.09.18 19:33:03

 

 

 

NISI20120626_0006570278_web.jpg

 


광주 남구 대촌천에서 자연환경 복원 지표종의 하나인 '반딧불이' 서식지가 발견됐다.

19일 광주 남구에 따르면 대촌천 수계 샛강 지킴이 회원 5명이 최근 포충사 앞 포충교~칠석보~지석교에 이르는 약 3㎞ 구간에서 반딧불이 개체수 약 100여개를 발견했다.

지난 달 6일에는 칠석보 주변에서 오후 7시에서 8시 사이에 반딧불 성충 50여개가 대량 목격되기도 했다.

올해 반딧불이 개체수가 급증한 원인은 대촌천 주변의 청정 농업과 생태하천 습지 등이 조성돼 반딧불이가 살기 적합한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남구는 반딧불이 개체수가 집중 발견된 지역을 반딧불이 서식처로 지정해 특별 보존할 계획이다.

남구 관계자는 "대촌천 수계에서 발견된 반딧불이 성충의 개체수는 100여개 수준이지만 이들 성충이 짝짓기를 해서 하천과 농수로 등에 산란을 하고 죽는다"며 "깨끗하고 청정한 도랑과 하천 환경에서는 더 많은 유충들이 살고 있어 도시근교 하천인 대촌천에는 내년도에 더 많은 반딧불이가 발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샛강 살리기 회원들은 지난해 9월 초 덕남 도랑 수생태학습장 주변에서 반딧불이 개체수 6개를 발견했다.

반딧불이의 수명은 15일 가량으로 짝짓기 후 4∼5일 후에 알을 낳고 자연적으로 죽는 것으로 알려졌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875 먼지잼/단시조 박은경 2021-08-29 707  
874 상추 깻잎/ 단시조 박은경 2021-11-10 717  
873 그 날이 오면/ 단시조 박은경 2021-07-11 721  
872 그 리 움 [3] 이금자 2021-12-04 737 1
871 연시조/ 가을 호수 file [2] 박은경 2021-11-08 750 1
870 향기로운 꽃송이 file [3] 정순옥 2021-12-19 753 1
869 한가위 잘 보내소서 [2] 오애숙 2019-09-14 788 2
868 이동교회 file [2] 강정실 2022-01-28 820 1
867 회생 박은경 2021-07-31 868  
866 산담 file [2] 강정실 2021-11-10 869 2
865 뱃놀이 file [2] 강정실 2020-08-01 884 2
864 강정실 회장님의 컬러 시집을 받고 [2] 이금자 2021-09-02 898 1
863 인생살이 file [1] 이병호 2021-03-24 900 1
862 5월에 피어나는 마음의 향수 [2] 오애숙 2019-04-27 942  
861 불어라 바람아 file [2] 정순옥 2022-01-16 966 1
860 비마중 file [6] 강정실 2021-12-14 974 1
859 늦은 후회 [2] 박은경 2021-02-05 998 1
858 헐리웃 음악 축제 다녀와서 [1] 오애숙 2019-04-28 1020  
857 [행시조] 마음가짐 박은경 2021-12-30 1043  
856 순조 딸 복온공주가 11살에 쓴 '한글 시문' 첫 공개 file 김평화 2019-05-06 1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