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년 전 인디언이 남긴 '암각화' 투어

조회 수 9565 추천 수 5 2014.10.16 08:25:01
153535209.jpg


                             수천년전 인디언이 남긴 '암각화' 투어…마투랭고 박물관 주최

11월 LA에서 150마일 떨어진 리지크레스트 지역에서 암각화 투어가 진행된다. 관광객들이 바위에 새겨진 암각화를 보고 있다. [마투랭고 박물관 제공]
 

수천 년 전에 만들어진 암각화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

모하비사막의 문화를 전시하고 있는 마투랭고 박물관(Maturango Museum) 주최 ‘리지크레스트 암각화 & 유산 페스티벌(Ridgecrest Petroglyph & Heritage Festival)’과 록 아트 투어(Rock art tour)가 내달 14일부터 16일까지 사흘간 진행된다.

암각화는 자연 속에 노출된 바위나 동굴 벽에 여러 가지 동물상이나 기하학적 상징 문양을 그리거나 새겨 놓은 그림. 이번 투어가 진행되는 지역은 연방정부가 국립역사기념물(Natioanl Heritage Landmark)로 지정해 놓은 곳으로 암각화가 3만6000에이커의 방대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서반구에서는 가장 많은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


 
  153514109.jpg


    하지만 NHL의 대부분의 지역은 평소에는 대중들에게 오픈되지 않는다. 

  이를 연구하는 인류학자들의 의견이 일치하지는 않지만 이곳에 새겨져 있는 암각화는 현재 살고 있는 코소 쇼쇼니 인디언의 조상이거나 그 이전에 살고 있던 인디언 부족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암각화의 생성시기는 1000~2000년 전 사이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 중 가장 오래된 암각화는 6000년 전에 새겨진 것으로 보고 있다.

  투어를 위해서는 웹사이트(maturango.org/petroglyph-tours/)를 통해 미리 예약해야 한다. 암각화 투어는 박물관 회원은 30달러, 비회원은 40달러다.

  페스티벌은 리지크레스트 도시에서 열리는데 와인워크, 암각화 파크 헌납식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이벤트가 열릴 예정이라 한다. 

페스티벌이 열리는 리지크레스트는 1963년 설립된 도시로 백인 거주 이전에는 원주민인 코소족(Coso)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암각화를 비롯한 고고학적 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75 스페인 여인 테너 오오셀 영상음악 [1] 오청사 2024-01-24 217 1
2074 백일홍(홍마가 시인 영상시) 웹담당관리자 2024-01-16 187 1
2073 선악과 file 정순옥 2024-01-15 123 1
2072 Happy New Year! file 오청사 2023-12-31 198 1
2071 밤 비(이금자 시인)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3-12-31 376 2
2070 어쩌다 스타부부 file 정순옥 2023-12-22 177 1
2069 북치는 소년과 뉴포트 추리 영상촬영 photo and song by Tenor Oshell Oh 오청사 2023-12-18 231 1
2068 크리마스트리 촬영 by Oshell Oh file 오청사 2023-12-18 244 1
2067 시인 고 오애숙 아들 자시와와 이삭 file 오청사 2023-12-18 169  
2066 소녀의 눈물 file 정순옥 2023-11-22 132 2
2065 위하여 정순옥 2023-10-25 218 2
2064 철모르고 피는 꽃 file 정순옥 2023-09-27 259  
2063 가 을 file 이금자 2023-09-19 246 2
2062 고 오애숙 시인 1주년 추모예배를 아버님, 큰오빠, 두 아들 자쉬와(오른쪽)와 아이삭(왼쪽) 위쪽에 있는 어머님 묘지도 함께 방문 file [5] 오청사 2023-09-16 290  
2061 영화평론 "Oppenheimer" 청사 오희영 file 오청사 2023-08-27 300  
2060 향나무 file 오청사 2023-08-24 478  
2059 느티나무 file 정순옥 2023-08-18 243  
2058 [시] 너와 나 (미주 중앙일보 기재시) file 오청사 2023-07-30 283 1
2057 강 회장님의 시를 읽고 이금자 2023-07-22 512 2
2056 영화 평론 Sound of Freedom file 오청사 2023-07-06 27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