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알렉시예비치

조회 수 4147 추천 수 1 2015.10.09 07:41:49


전쟁·원전사고 피해 등 인터뷰 통해 고스란히 전해
'체르노빌의 목소리'로 명성

 

 

 

 

2015100900396_0.jpg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알렉시예비치(왼쪽)와 그녀의

대표작 ‘체르노빌의 목소리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알렉시예비치(왼쪽)와 그녀의 대표작 ‘체르노빌의 목소리’ 사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알렉시예비치(왼쪽)와 그녀의 대표작 ‘체르노빌의 목소리’.


체르노빌 원전(原電) 사고의 비극을 폭로한 벨라루스 저널리스트 겸 논픽션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67)가 올해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스웨덴 한림원은 8일 수상자를 발표하면서 "그녀의 글은 우리 시대의 고통과 용기를 보여주는 기념비"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한림원 사무총장 사라 다니우스는 "지난 30~40년 동안 알렉시예비치는 구(舊)소련 시절과 소련 해체 이후의 개인을 문학의 지도에 기록해왔다"면서 "그의 작업은 새로운 문학 장르의 탄생"이라고 격찬했다. 알렉시예비치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다림질을 하다가 수상 소식을 들었다"며 "(노벨문학상을 받은 러시아 작가) 파스테르나크 등 위대한 이들이 떠오른다. 환상적인 일이지만 살짝 불안하기도 하다"고 했다.

알렉시예비치는 2차 세계대전, 사회주의 몰락, 체르노빌 원전사고 등을 경험한 수천 명의 남성과 여성 어린이들을 인터뷰해 그들의 목소리를 고스란히 옮겼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는 대부분 소설가이거나 시인, 극작가다. 작가가 아닌 수상자로는 역사학자 몸젠(1902), 루돌프 오이겐(1908), 철학자 앙리 베르그송(1927), 버트런드 러셀(1950), 윈스턴 처칠 영국 전 총리 등이 있다. 여성 노벨 문학상 수상자는 14명으로 늘었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는 1948년 우크라이나에서 벨라루스인 아버지와 우크라이나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났다. 그녀는 1967년 벨라루스 국립대 언론학과를 나와 지역 신문 기자와 교사를 지내다가 문예지 기자가 된 뒤 논픽션 작가로도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1983년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구소련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여성 200여명을 취재한 책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탈고했으나, 국가 검열에 걸려 출간하지 못했다. 그 여성들을 전쟁 영웅으로 묘사하지 않고, 그녀들의 비극과 참상에만 집중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이 책은 고르바초프 시대가 열린 뒤 1985년 정식 출간됐고, 유명 언론인이 된 알렉시예비치는 논픽션 집필에 전념했다.

알렉시예비치는 시인도 소설가도 아니지만 자신의 글쓰기를 '목소리 소설'이라고 불렀다. 수많은 사람의 목소리를 모은 논픽션이지만 소설처럼 생생하게 읽히는 다큐멘터리 산문이기 때문이다. 알렉시예비치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피해자들을 취재해 20년 만에 완성한 책 '체르노빌의 목소리'를 1997년에 펴내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875 천 갈래 역사, 만 갈래 문화 '호기심 천국' 이스라엘 file [1] 웹관리자 2015-11-12 8796 1
874 58획 한자 1000번 써라”…지각의 대가 file 강정실 2015-11-01 6120 1
873 ‘I.SEOUL.U’보다 ‘Hi Seoul’이 낫다 웹관리자 2015-10-31 3118 1
872 빙판길 시속 40km만 넘어도 통제불능.."무조건 감속" file 웹관리자 2015-12-17 4965 1
871 사후 연봉 유명스타 10인 [1] 웹관리자 2015-10-28 5285 1
870 갯벌 생태계 파수꾼 ‘칠게’가 돌아왔다 file 웹관리자 2015-10-27 10838 1
869 육가공 식품, 햄 소시지가 발암물질? file 강정실 2015-10-26 3963 1
868 멸종위기종’ 맹꽁이·금개구리 강제이주 그후… file 웹관리자 2015-10-22 4753 1
867 ‘21세 쇼팽’ 조성진 “신기하게 손이 저절로 연주했다” file [1] 웹관리자 2015-10-22 10233 1
866 미술계 "오래전 절필했고 매물 적어 크게 오르지 않을 것" file 웹관리자 2015-10-22 3934 1
865 '김훈과 양은냄비' 예고된 사태였다 file 석송 2015-10-19 4335 1
864 "스웨덴 문화정책 1순위는 독서 진흥" 석송 2015-10-19 4195 1
863 한국인들의 삶의 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거의 최하위권 file 웹관리자 2015-10-18 4713 1
862 고래도 ‘사투리’ 쓴다…각 그룹마다 쓰는 말 달라 file 강정실 2015-10-17 3531 1
861 다빈치 ‘모나리자’의 신비는 아직도 계속 중 file 웹관리자 2015-10-13 8668 1
860 폴란드 사진작가가 담아온 후쿠시마의 '오늘' file 신성철 2015-10-11 4597 1
859 죽은 새끼 추모하는 들쇠고래들의 장례행렬 file 신성철 2015-10-11 7633 1
858 훈민정음 상주본, 천 억원을 문화재청에 제시 file 웹관리자 2015-10-09 5290 1
» 노벨문학상, 알렉시예비치 file 웹관리자 2015-10-09 4147 1
856 우리나라 자살자, 전세계 전쟁 사망자보다 많다 file 석송 2015-10-07 379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