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품.jpg

 

 

 

 

[이광연]
경복궁에 가면 근정전 앞에 비석처럼 생긴 돌들을 볼 수 있습니다.

[정재환]
품계석 말씀하시는군요.

조선시대 문신과 무신들이 국가주요행사 때 각자의 품계석 앞에 서잖아요.

[이광연]
맞습니다. 정1품부터 종9품까지 18개의 품계가 순서대로 서는데 정전에 가까운 쪽이 높죠.

특히 정 3품 이상 이상의 높은 벼슬은 따로 부르는 말이 있는데요.

당상관 혹은 당상이라고 합니다.

[정재환]
아, 그래서 흔히 어떤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이 없다고 할 때 따 논 당상이라고 하는군요.

이미 확보해놓은 높은 벼슬이다, 그런 뜻이겠죠?

[이광연]
맞긴한데요. 따 논 당상은 틀린 표현입니다.

떼어놓은 당상이 맞습니다.

[정재환]
아니 왜 높은 관리들을 떼어놓는 게 그런 의미가 되는 거죠?

[이광연]
조선시대 남자들이 쓰는 망건에는 관자를 다는데요.

당상관들만 금이나 옥으로 만든 관자를 달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금관자나 옥관자도 당상이라고 불렸는데요.

그런데 당 상관들이 쓰는 금이나 옥관자는 다른 사람이 달수가 없어서, 떼어놓더라도 잃어버릴 염려가 없었습니다.

이렇게 으레 자기 차지가 되는 확실한 일을 뜻하게 된 겁니다.

[정재환]
아하, 재미있는 사연이 있었군요.

오늘의 낱말~ 떼어 놓은 당상입니다.

[이광연]
조선시대 당상관들이 쓰는 관자처럼 다른 사람에게 뺏기지 않을 확실한 일을 일컫는 말입니다.

[정재환]
떼어 놓은 당상이라고 방심하다 소중한 걸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광연]
놓치고 후회하지 말고 우리 모두 있을 때 잘합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34 우리말, 고쳐야 할 일본식 지명 강정실 2015-03-21 5376 2
33 우리말, '토종 우리말' 같은 외국에서 들어온 말 강정실 2015-03-21 7210 2
32 우리말, 개비/가치/개피 바로알기 강정실 2015-03-21 5402 2
31 우리말, '도찐개찐~' 강정실 2015-03-21 3772 2
30 우리말, 담그다/담구다 잠그다/잠구다 치르다/치루다 강정실 2015-03-21 10036 2
29 우리말, 어떻게/어떡해, 안/않 강정실 2015-03-21 9828 2
28 우리말 ,삼가야 할 장애인 비하 표현 강정실 2015-03-21 3701 2
27 우리말, '다르다'와 '틀리다' 강정실 2015-03-21 4381 2
26 우리말, 띄어쓰기 강정실 2015-03-21 6040 2
25 우리말, 방어율?직구? 야구용어 속 '불편한' 진실 강정실 2015-03-21 4322 2
24 우리말, '~에'와 '~에게' 강정실 2015-03-21 4030 2
23 우리말,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강정실 2015-03-21 5325 2
22 우리말, 맞히다/맞추다 강정실 2015-03-21 6739 2
21 우리말, 사이시옷 강정실 2015-03-21 4391 2
20 구름의 종류 file 강정실 2015-04-30 14894 2
19 ‘첫번째’ ‘첫 번째’ 올바른 띄어쓰기는? file 웹관리자 2015-06-09 6248 2
18 ‘재연’과 ‘재현’ file 웹관리자 2015-07-12 3477 2
17 [기사 속 틀린 맞춤법] 서유리 보정 의혹 사진에 눈꼽(X)? file 웹관리자 2015-09-02 3214 2
16 부시를 쳐서 불을 붙이는 ‘부싯깃’ file 웹관리자 2015-09-16 2319 2
» 이미 확보해 놓은 높은 벼슬, '떼어놓은 당상' file 강정실 2015-10-17 501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