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벽과 담벼락

조회 수 2708 추천 수 1 2015.10.17 13:21:13


‘미련이 담벼락 뚫는다’는 속담을 아시는지. 미련한 사람의 끈기가 예상 밖의 결과를 가져온다는 뜻인데, 1년 전쯤 ‘우리말 겨루기’에 등장했다. 한 출연자가 급한 나머지 담벼락 대신 ‘담구락’을 외쳤다. 토속적 냄새가 물씬 풍기는 말에 방청객들은 너나없이 웃음을 터뜨렸다.

표준어 ‘담벼락’도 재미있는 낱말이다. 담이나 벽 따위를 통틀어 이르거나, 아주 미련해 어떤 사물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말맛이 맛깔스러워선지 ‘담벼락을 걸으며∼’ 등으로 입길에 자주 오르내린다.

담벼락은 ‘담’과 ‘벼락’이 합쳐진 낱말인데, 벼락은 경기 황해 지역에서 쓰는 ‘벼랑’의 방언이다. 즉 표준어와 방언이 만나 표준어가 된 셈이다. ‘힘’의 방언인 ‘심’이 ‘팔심’ ‘뱃심’ 같은 말에 붙어 표준어로 인정받은 것과 비슷하다.

‘담벽’은 둘 다 표준어인 ‘담’과 ‘벽’을 합친 낱말인데도 여전히 표준어가 아니다. 그런가 하면 표준어 담과 벼랑이 합쳐진 ‘담벼랑’은 사전에 올라 있지도 않다. ‘담벡’이 담벼락의 방언(경남, 평북)으로 올라 있을 뿐이다. 왜 우리 사전은 담벼락만을 표준어로 삼았을까. 같은 뜻의 여러 말이 쓰이더라도 그중 하나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면 그 말만을 표준어로 삼는 표준어 규정을 따른 결과다.

과연 그럴까. 담구락 담벡은 방언이라 인정하고, 담벼랑은 1960∼70년대에 쓰이다 입길에서 사라졌으니 그렇다 치자. 허나 담벽은 입말로 생명력을 이어오고 있다. 북한은 오히려 담벽을 문화어로 삼고 있다. 담벽은 담벼락 못지않은 언어 세력을 갖추고 있다. 그렇다면 언중의 말 씀씀이를 헤아려 ‘담벽’을 복수표준어로 삼는 걸 검토해야 하지 않을까.

‘비알’의 처지도 담벽과 비슷하다. 우리 사전은 몹시 험한 비탈을 뜻하는 ‘된비알’을 ‘된비탈’과 같은 뜻으로 보고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그래 놓고선 ‘비알’은 ‘벼랑’과 ‘비탈’의 사투리라고 한다. ‘된비알’이 표준어라면 ‘비알’도 표준어라야 옳지 않을까.

사전이 언중의 말 씀씀이를 따라가지 못하니 ‘정신 차려, 국어사전’이라는 비난을 듣는 것이다. 이크, 그러고 보니 필자 역시 우리 사전을 너무 몰아붙인 건 아닌지. 뜻밖의 상황에서 내는 ‘이크’란 감탄사도 얼마 전에야 비로소 북한어에서 우리말이 됐다. 어문정책이 가끔은 담벼락에 대고 이야기를 하는 느낌을 줄 때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54 우리말, '도찐개찐~' 강정실 2015-03-21 3772 2
53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25 1
52 우리말 ,삼가야 할 장애인 비하 표현 강정실 2015-03-21 3701 2
51 우리말, '몇'과 '일'의 환영 못 받는 연애 강정실 2015-03-21 3514 3
50 우리말, "취직하려면… 입문계가 좋아요? 시럽계가 좋아요?" 강정실 2015-03-21 3511 1
49 울궈내다? 우려내다. file 웹관리자 2015-07-12 3488 1
48 ‘재연’과 ‘재현’ file 웹관리자 2015-07-12 3477 2
47 “안 되요”라고 하면 안 돼요 file 웹관리자 2015-08-14 3421 1
46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
45 ‘이른둥이’ ‘따라쟁이’ file 웹관리자 2016-01-02 3363 1
44 “문학은 사람의 목소리, 결코 망하지 않을 거요!” file 웹관리자 2016-03-31 3310 1
43 [기사 속 틀린 맞춤법] 서유리 보정 의혹 사진에 눈꼽(X)? file 웹관리자 2015-09-02 3214 2
42 "조선 사신으론 내가 적임" 명·청 때 서로 오려 한 까닭 file 웹관리자 2016-09-11 3196 1
41 ‘고래가 싸우면 새우가 죽는다?’ file 웹관리자 2015-09-10 3176 1
40 [기사 속 틀린 맞춤법] 1억수표, 분실물이냐 검은 돈(X)이냐 강정실 2015-10-17 3134 1
39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초본판 1억 3,500만원에 낙찰 file 웹관리자 2015-12-19 3124 3
38 국보 훈민정음 또 있다. 제3의 혜례본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10-17 3043 1
37 114년 전 美 언론이 취재한 '청년 안창호의 꿈' file 웹관리자 2016-03-06 3009 1
36 풍납토성 '1700년의 비밀' 풀리나?…내년부터 발굴 file 웹관리자 2015-11-11 2968 1
» 담벽과 담벼락 강정실 2015-10-17 270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