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_201510222372916821_99_20151022092608.jpg

 

피아니스트 조성진씨가 세계적 권위의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으로는 처음 우승했다. "노벨상 수상에 버금가는 성과"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이로써 한국은 쇼팽·차이콥스키·퀸엘리자베스 등 3대 콩쿠르에서 모두 우승자를 냈다. 사진은 조씨가 18일(현지시간) 폴란드 에서 열린 쇼팽 콩쿠르에서 연주하는 모습. [사진 프레데리크 쇼팽 인스티튜트]

 

“엄청나게 떨렸다. 처음에는 믿을 수 없었다. 이제는 행복하고 걱정도 된다.”

20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의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조성진(21)씨의 말이다. 중앙일보와 단독 인터뷰에서 그는 2005년 쇼팽 콩쿠르를 보고 처음으로 피아니스트를 꿈꿨던 이야기를 들려줬다. 다음은 조씨와의 일문일답.

-피아니스트에게 꿈의 무대인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한 기분은 어떤가.

“처음에는 당연히 믿어지지 않았다. 현지 시간으로 20일 자정쯤 발표가 났고 새벽 1시에 기자회견을 하고 세시간쯤 잘 수 있었다. 아침에 일어나 이게 혹시 꿈은 아닐까 싶어 뺨도 꼬집고 때려봤다. 그런데 지금은 걱정이 된다. 콩쿠르 덕에 앞으로 연주 기회가 아주 많아질텐데 그 때 나에게 기대했던 사람들을 실망시키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콩쿠르 우승을 예감했나.

“이달 초 열린 본선 1~3차 무대에는 엄청나게 떨었다. 조금씩 나아지긴 했지만 내가 어떻게 연주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였다. 기억이 안 나서 나중에 유튜브를 찾아봤을 정도다. 원래 콩쿠르에서는 긴장을 많이 하는 편이다. 마인드 콘트롤도 거의 되지 않을 정도였다. 하지만 최대한 차분하게 하려고만 노력했다. 무대에 나가기 전에 초콜릿도 많이 먹고…. 그런데 네번째였던 마지막 결선 무대에서는 신기하게 안 떨리더라. 무대에서 내가 뭘 하고 있는지 알았다. 연주는 손이 저절로 하고 있었고, 나는 내가 연주하는 음악을 즐기면서 듣고 있었다. 어떻게 이렇게 한 건지는 진짜 잘 모르겠다. 가끔 저절로 잘 풀리는 연주가 있긴 했지만 이번 마지막 무대에는 확실히 만족스러웠고 내가 원하는 쇼팽 협주곡이 나왔다.”

-원래 콩쿠르에 출전하면 다른 참가자들 연주도 끝까지 듣는 걸로 알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하나도 안 들었다. 너무 떨렸기 때문이다. 잘 치는 연주를 보면 더 떨릴까봐 걱정이 됐다.”

-쇼팽 콩쿠르를 10년 전부터 준비했다고 들었다.

“10년 동안 준비했다기 보다, 이 콩쿠르는 내가 피아니스트가 되기로 결심했던 계기였다고 할 수 있다. 여섯 살에 피아노를 시작했지만 순전히 취미였다. 진지하게 레슨을 받은 게 남들보다 늦은 편이었다. 2005년 한국의 임동민ㆍ동혁 형제가 나와 3위에 오른 쇼팽 콩쿠르 동영상을 보는데 그들을 ‘피아니스트’라 소개하는 걸 듣게 됐다. ‘아 저런 게 피아니스트구나’하고서는 나도 피아니스트가 돼서 나가보자고 생각했다.”

 

htm_201510222372523021_99_20151022092608.jpg

 

피아니스트 조성진씨가 20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쇼팽 콩쿠르 우승자로 확정된 직후 청중, 동료 연주자 에게 축하를 받고 있다. [사진 프레데리크 쇼팽 인스티튜트]

 

-불과 10년 만에 꿈이 이뤄진 건가.

“그 10년동안 청소년 콩쿠르, 일본의 하마마쓰 콩쿠르, 러시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까지 나가면서 사실은 콩쿠르가 싫어졌다. 경쟁이 부담스러웠다. 계속 쇼팽 콩쿠르만 꿈꿨다고 할 수는 없지만 피아노를 본격적으로 하게 됐던 계기였던 건 맞다. 지금 아주 행복하다.”

-그동안 많은 작곡가의 작품을 소화해 무대에 올려왔다. 쇼팽 전문 연주자라는 인식은 별로 없었다. 이번 콩쿠르를 위해 특별히 어떻게 준비했나.

“사실 이번 대회에서 연주한 많은 곡이 어려서부터 친 것들이다. 폴로네이즈ㆍ연습곡ㆍ녹턴 등이다. 그래서 딱히 집중적으로 준비한 건 아니었다. 짧은 피아노 인생에서 다뤘던 레퍼토리들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가장 준비를 많이하고 부담됐던 건 프렐류드 세 곡이다. 지난해 11월 시작해 연습했다.”

-이번 콩쿠르가 특히 부담이 되진 않았나.

“잘 못 느꼈다. 원래 예민한 편은 아니다. 한 콩쿠르에서 우승한 사람들이 다른 콩쿠르에도 자유롭게 나가는 시대 아닌가. 그런 점에서 마음을 비우고 출전했다. 다만 최선을 다했다. 음악을 잘 만들고 오자고 생각했다.”

-파리에서 공부한 경험이 이번 콩쿠르에 좋은 영향을 줬나.

“파리 국립고등음악원의 파리 미셸 베로프 선생님은 나에게 강요하는 게 거의 없다. 토론식으로 이끌어낸다. 그래서 더 연구를 많이 하며 연주를 준비할 수 있었다. 또 콩쿠르를 앞두고 피아니스트 케빈 케너에게 조언을 들었는데 굉장히 큰 도움이 됐다.”

-피아니스트로서 남은 목표는.

“음악가의 목표에는 한계가 없다고 생각한다. 유명해지는 게 매력적이긴 하지만 파리에서 유명한 연주자들 공연을 보고 실망한 적이 많았다. 그래서 좋은 연주자가 되기로 했다. 음악이 우선인 좋은 음악가가 되고 싶다. 끝까지 좋은 음악을 연구하고 싶다.”

-앞으로 연주 일정은.

“30일까지 폴란드에서 다섯 번 연주가 있다. 다음 달에는 런던에 데뷔한다. 이후에 암스텔담에서 로열콘세르트헤보우와 협연, 일본에서 NHK교향악단과 협연을 한다. 한국에는 내년 2월에나 갈 수 있다. 쇼팽 콩쿠르 입상자들과 함께 갈라 콘서트를 열 계획이다.”


강정실

2015.10.26 08:39:28
*.175.39.194


 

PS15102600098.jpg

 


`21세 쇼팽` 조성진 채점표 보니…`1점 받고도 우승`

 

맨 위쪽 채점표는 파이널 점수표로 필리프 앙트르몽에게 1점을 받았다. 아래 채점표인 본선 3차 통과 여부에서는 앙트르몽에게 유일하게 ‘NO’를 받았다(사진=프레데릭 쇼팽 협회 공식 사이트).

 

23일 국제쇼팽피아노콩쿠르 점수 공개
1점 준 '파리음악원 동문' 앙트르몽
본선 3차에서도 유일하게 불합격 줘

 

 피아니스트 조성진(21)이 ‘2015 국제 쇼팽 피아노 콩쿠르’ 최종 결선에서 ‘1점’을 받고도 우승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조성진은 최종 결선에서 17명의 심사위원에게 9~10점의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유독 1명의 심사위원에게 1점을 받아 시시비비 논란이 일었다.

프레데릭 쇼팽 협회는 지난 23일(현지시각) 2015 국제 쇼팽 피아노 콩쿠르 홈페이지를 통해 본선 1·2·3차와 최종 결선의 참가자별 점수표를 전면 공개했다. 이번 콩쿠르에는 드미트리 알렉세예프, 마르타 아르헤리치, 필리프 앙트르몽, 윤디 리 등 세계적 거장 17명이 심사에 참여했다. 협회 측은 심사에 공정성 논란을 잠식시키기 위해 채점표를 공개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공개된 점수표에 따르면 조성진은 첫 번째로 연주하는 등 불리한 조건이었지만 가장 높은 점수로 캐나다의 샤를 리샤르 아믈렝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최종 결선에서 17명의 심사위원 중 드미트리 알렉세예프(러시아)와 야누시 올레이니차크(폴란드)로부터 최고점인 10점을 받았다.

반면 프랑스 출신 심사위원 필리프 앙트르몽은 조성진에게 10명의 결선 진출자 중 가장 낮은 점수인 1점을 부여했다. 앙트르몽은 라운드 통과 여부를 ‘Yes, No’로 심사하는 본선 3차에서도 심사위원 가운데 유일하게 조성진에게 ‘아니오(No)’를 부여해 논란이 일었다. 일각에서는 앙트르몽이 조성진의 스승인 미셸 베로프와 좋지 않은 관계인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앙트르몽은 프랑스 음악가다. 명피아니스트로서 활약하면서 지휘자로서도 재능을 발휘하고 있다. 1976년 빈 실내관현악단의 음악감독, 1980~1984년 뉴올리언스 필하모니아 관현악단의 상임지휘자, 1988년부터는 미국 뎀버 교향악단과 프랑스 콜론 관현악단의 음악감독으로 활동 중이다.조성진과는 같은 파리음악원 출신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한 피아니스트는 이번 콩쿠르 참가자 수준이 낮았고 심지어 조성진이 병역면제를 위해 열심히 했다는 투로 비아냥댔다가 결국 공식 사과하기까지 했다.

한편 조성진은 마르타 아르헤리치(아르헨티나), 아키코 에비(일본), 넬슨 괴르너(아르헨티나), 안제이 야신스키(폴란드), 개릭 올슨(미국), 피오트르 팔레치니(폴란드) 등 심사위원 12명으로부터 9점을 받았다. 당 타이 손(베트남)과 아담 하라셰비치(폴란드)로부터는 각각 8점과 6점을 받았다.

첨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875 천 갈래 역사, 만 갈래 문화 '호기심 천국' 이스라엘 file [1] 웹관리자 2015-11-12 8796 1
874 58획 한자 1000번 써라”…지각의 대가 file 강정실 2015-11-01 6120 1
873 ‘I.SEOUL.U’보다 ‘Hi Seoul’이 낫다 웹관리자 2015-10-31 3118 1
872 빙판길 시속 40km만 넘어도 통제불능.."무조건 감속" file 웹관리자 2015-12-17 4965 1
871 사후 연봉 유명스타 10인 [1] 웹관리자 2015-10-28 5285 1
870 갯벌 생태계 파수꾼 ‘칠게’가 돌아왔다 file 웹관리자 2015-10-27 10838 1
869 육가공 식품, 햄 소시지가 발암물질? file 강정실 2015-10-26 3963 1
868 멸종위기종’ 맹꽁이·금개구리 강제이주 그후… file 웹관리자 2015-10-22 4753 1
» ‘21세 쇼팽’ 조성진 “신기하게 손이 저절로 연주했다” file [1] 웹관리자 2015-10-22 10233 1
866 미술계 "오래전 절필했고 매물 적어 크게 오르지 않을 것" file 웹관리자 2015-10-22 3934 1
865 '김훈과 양은냄비' 예고된 사태였다 file 석송 2015-10-19 4335 1
864 "스웨덴 문화정책 1순위는 독서 진흥" 석송 2015-10-19 4195 1
863 한국인들의 삶의 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거의 최하위권 file 웹관리자 2015-10-18 4713 1
862 고래도 ‘사투리’ 쓴다…각 그룹마다 쓰는 말 달라 file 강정실 2015-10-17 3531 1
861 다빈치 ‘모나리자’의 신비는 아직도 계속 중 file 웹관리자 2015-10-13 8668 1
860 폴란드 사진작가가 담아온 후쿠시마의 '오늘' file 신성철 2015-10-11 4597 1
859 죽은 새끼 추모하는 들쇠고래들의 장례행렬 file 신성철 2015-10-11 7633 1
858 훈민정음 상주본, 천 억원을 문화재청에 제시 file 웹관리자 2015-10-09 5290 1
857 노벨문학상, 알렉시예비치 file 웹관리자 2015-10-09 4147 1
856 우리나라 자살자, 전세계 전쟁 사망자보다 많다 file 석송 2015-10-07 379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