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물로 작동하는 차, 실현될 듯하다

조회 수 4797 추천 수 3 2015.10.28 08:57:01

 

 

소금물로 작동하는 자동차? 일견 헛된 망상으로 넘겨버릴 듯한 생각이 현실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수소를 넘어 미래 자동차의 새로운 동력원으로 소금물이 등장하게 될 전망입니다.

유럽의 작은 공국 리히텐슈타인의 자동차 회사 나노플로우셀(nanoFlowcell)은 26일(현지시간) 자사의 차량이 유럽 도로의 최종주행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 회사는 내년도부터 스위스에 ‘퀀트 시티(QUANT City)’라는 첨단 R&D 센터 건립을 시작해 오는 2018년 완공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회사가 주력으로 선보일 제품은 소금물로 작동하는 슈퍼카입니다. 이미 지난해 3월 스위스 제네바 모터쇼에서 선보인 바 있는이 차량의 이름은 ‘퀀트 e-스포트리무진’(Quant e-Sportlimousine)인데요. 슈퍼카 형태의 디자인은 물론, 연료로 소금물을 이용해 큰 화제가 됐습니다.

올해 열린 제네바 모터쇼에서도 이 업체는 퀀트 F와 콴티노라는 두 개의 콘셉트 모델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핵심 구동 원리는 나노 플로우 셀(Nano Flow Cell)입니다. 나노플로우셀의 원재료는 소금물과 같은 전해질인데요. 두 종의 전해액을 결합해 일어나는 반응을 이용해 구동하는 것입니다. 이는 기존 배터리에 비해 안정성, 친환경성, 내구성, 에너지 직접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당시 제네바 모터쇼에서 업체가 밝힌 이 차량의 출력은 912마력입니다. 시속 0㎞에서 시속 100㎞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단 2.8초. 최고속도는 377.6km/h에 달하는 성능을 자랑합니다.

충전성능 역시 탁월합니다. 한번 충전을 하면 최대 370마일(약 592km)을 주행할 수 있으며 충전은 소금물로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차는 지난해 세계 10대 발명품에 등재되기도 했는데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자동차업계의 중요한 돌파구로서 기대되는 데다 지구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주고 있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동력이 되는 전해물질은 대부분 소금물과 같은 가장 근본적인 액체로 구성돼 있으며, 귀금속이나 희토류 원소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매우 친환경적이라는 것이 업체의 설명입니다.

나노플로우셀 역시 이 기술은 단순히 자동차 업계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 에너지원으로서 비행기, 철도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석송

2015.10.28 13:33:03
*.198.22.110

전기차. 소금차 앞으로는 공기차도 나올 것 같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오애숙

2015.10.28 14:07:49
*.192.188.104

과학이 주는 쾌거라 생각됩니다.

만약 공기차가 나온다면 나쁜 공기가

쾌적한 공기로 바뀌어 나올 수 있게 연구한다면

금상첨화이고 노벨상감이라 생각됩니다.

 

소금차 역시 성공한다면

노벨상을 받게 되리라 생각되지만요.

소금차를 생각했다는 것만해도

지구를 생각하는 아름다운 마음이라 여겨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50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48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881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5023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615 5
2034 시애틀 소식 [1] 문창국 2017-01-04 3351 3
2033 수고하셨습니다. [1] 남중대 2016-04-26 4325 3
2032 지구를 구하는 크릴새우..남북극 동물 24종의 생존 이야기 file 웹관리자 2016-03-11 5377 3
2031 자신을 살려준 할아버지 만나러 5,000마일 헤염쳐 돌아오는 펭귄 file [1] 웹관리자 2016-03-10 4036 3
2030 공군 조종사들은 왜 선글라스를 끼고 다닐까 file 웹관리자 2015-12-19 14405 3
2029 김환기, 고향 그리울 때마다 점을 찍다 웹관리자 2015-12-06 10986 3
2028 커피 하루 3~5잔 마시면 3~7년 더 산다. file [1] 석송 2015-11-18 5654 3
2027 세계인의 눈을 홀린 칼러사진 14선 [1] 웹관리자 2015-10-28 4950 3
» 소금물로 작동하는 차, 실현될 듯하다 [2] 웹관리자 2015-10-28 4797 3
2025 세계 희귀한 바위 석송 2015-09-22 4720 3
2024 동북공정, 식민사관 인정하는 지도 미국에 보낸 정부 file 웹관리자 2015-10-05 6955 3
2023 태풍의 이름 file 웹관리자 2015-08-24 6174 3
2022 129년 전 최초의 ‘아리랑 악보’ 발굴(영상) 웹관리자 2015-08-17 4828 3
2021 은유와 상징, 색이 주는 메시지 file [1] 강정실 2015-08-11 9544 3
2020 별똥별 file 지상문 2015-08-09 4835 3
2019 차 없는 주민들, 전기차 무료 공유 file 강정실 2015-08-05 4004 3
2018 동틀 녘 독도, 일본 순시선이 다가왔다 file 웹관리자 2015-08-02 7623 3
2017 사자 사냥했다 언론 표적된 치과의사 웹관리자 2015-07-30 4851 3
2016 ‘인왕제색도’ 병풍바위, 일제 때 훼손 사진 첫 공개 file 석송 2015-06-30 9252 3
2015 영국 해안가 습격한 미국 랍스터들 file [1] 웹관리자 2015-06-25 618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