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획 한자 1000번 써라”…지각의 대가

조회 수 6120 추천 수 1 2015.11.01 11:18:14

 

 

지각의 대가는 혹독했다.

중국의 한 대학교수가 지각한 학생에게 내린 처벌이 화제가 되고 있다. 너무 가혹했다는 비난도 받았지만 효과는 확실했다.

29일 중국 CCTVNews 페이스북은 자신의 강의에 지각한 학생에게 중국식 한자로 ‘뱡’자를 1000번이나 베껴쓰게 한 쓰촨성 청두대학의 전기공학과 교수가 논란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20151029001484_0_99_20151029161902.jpg

     [사진출처=CCTVNews]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글자체계를 갖고 있다는 중국 문자 중에서도 최고 난이도 높은 글자로 유명한 ‘뱡’자는 총 58획이나 된다. 중국 표준어사전에도 없고, 컴퓨터에 입력이 불가능하다. 뜻은 ‘면(麵)의 폭이 넓은 국수란 의미’를 지녔다.

획수로는 ‘용 용(龍)’자를 4회 쓰는 ‘말많을 절’이 64획으로 가장 많지만, 난이도 면에서는 ‘뱡’이 압도적으로 어렵다.
이 교수는 산시 여행때 얻은 영감으로 이 같은 처벌 방법을 생각해 낸 것으로 전해졌다. 그 무시무시한(?) 처벌의 첫 번째 희생자가 나온 셈이다.

 

20151029001485_0_99_20151029161902.jpg

              [사진출처=CCTVNews ]

 


이 처벌을 받은 지각생도 200번 가량을 쓰다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그는 “이 복잡한 ’뱡‘자를 더 이상 쓰기 힘들었다. 어떤 처벌보다 가혹했다”고 고백했다.

결국 그 학생은 다시는 지각하지 않겠다고 교수와 약속한 끝에 나머지 처벌을 면제받을 수 있었다.

효과는 어떤 처벌보다도 좋았다. 학생들은 수업에 지각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뱡‘자는 산시성 국수요리 ’뱡뱡면‘(폭이 넓은 국수)을 뜻할 때만 사용한다. 뱡뱡면은 지난 5월 중국 산시성 시안에서 진행됐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간 만찬의 메뉴에 등장해 유명세를 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875 천 갈래 역사, 만 갈래 문화 '호기심 천국' 이스라엘 file [1] 웹관리자 2015-11-12 8796 1
» 58획 한자 1000번 써라”…지각의 대가 file 강정실 2015-11-01 6120 1
873 ‘I.SEOUL.U’보다 ‘Hi Seoul’이 낫다 웹관리자 2015-10-31 3118 1
872 빙판길 시속 40km만 넘어도 통제불능.."무조건 감속" file 웹관리자 2015-12-17 4965 1
871 사후 연봉 유명스타 10인 [1] 웹관리자 2015-10-28 5285 1
870 갯벌 생태계 파수꾼 ‘칠게’가 돌아왔다 file 웹관리자 2015-10-27 10838 1
869 육가공 식품, 햄 소시지가 발암물질? file 강정실 2015-10-26 3963 1
868 멸종위기종’ 맹꽁이·금개구리 강제이주 그후… file 웹관리자 2015-10-22 4753 1
867 ‘21세 쇼팽’ 조성진 “신기하게 손이 저절로 연주했다” file [1] 웹관리자 2015-10-22 10233 1
866 미술계 "오래전 절필했고 매물 적어 크게 오르지 않을 것" file 웹관리자 2015-10-22 3934 1
865 '김훈과 양은냄비' 예고된 사태였다 file 석송 2015-10-19 4335 1
864 "스웨덴 문화정책 1순위는 독서 진흥" 석송 2015-10-19 4195 1
863 한국인들의 삶의 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거의 최하위권 file 웹관리자 2015-10-18 4713 1
862 고래도 ‘사투리’ 쓴다…각 그룹마다 쓰는 말 달라 file 강정실 2015-10-17 3531 1
861 다빈치 ‘모나리자’의 신비는 아직도 계속 중 file 웹관리자 2015-10-13 8668 1
860 폴란드 사진작가가 담아온 후쿠시마의 '오늘' file 신성철 2015-10-11 4597 1
859 죽은 새끼 추모하는 들쇠고래들의 장례행렬 file 신성철 2015-10-11 7633 1
858 훈민정음 상주본, 천 억원을 문화재청에 제시 file 웹관리자 2015-10-09 5290 1
857 노벨문학상, 알렉시예비치 file 웹관리자 2015-10-09 4147 1
856 우리나라 자살자, 전세계 전쟁 사망자보다 많다 file 석송 2015-10-07 379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