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조 9년(1463년) 윤7월 4일 세조가 조정 내 유신(儒臣)들을 위해 경회루에서 큰 잔치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당시 '4기녀'로 유명했던 옥부향(玉膚香) 자동선(紫洞仙) 양대(陽臺) 초요갱(楚腰輕)이 모두 불려와 춤과 노래를 선보였다. 이날 실록이다.

  "초요갱은 어려서 평원대군(平原大君) 이임(李琳)의 사랑을 받다가 평원대군이 죽자, 화의군(和義君) 이영(李瓔)과 사통하였는데, 임금이 이영(李瓔)을 폄출(貶黜)하고 초요갱도 쫓아냈다가 얼마 아니되어 초요갱이 재예(才藝)가 있다고 하여서 악적(樂籍)에 다시 소속시키니 계양군(桂陽君) 이증(李�曾)과 또 사통하였다. 임금이 이 사실을 알고 비밀리에 이증에게 묻기를 '어찌 다른 기생이 없어서 감히 초요갱을 두고 서로 간음하는가?' 하니 이증은 그것이 무고(誣告)임을 변명했으나 이날도 초요갱의 집에서 묵었다. 뒤에 판사(判事) 변대해(邊大海)가 몰래 초요갱의 집에 묵었다가 이증의 종에게 맞아 죽었다."

  '허리가 개미처럼 가는 초나라 미인의 경쾌함.' 초요갱에 담긴 뜻이다. 잠깐 옆으로 샌다. 당시 기생들의 이름이다. 옥부향은 '옥같이 맑은 피부에서 아름다운 향기가 난다'는 뜻이고 자동선은 '신선들이 사는 곳의 선녀'라는 뜻이다. 그 밖에 '이슬을 머금은 꽃이라는 뜻'의 함로화(含露花)라는 기생도 있었다.

 

 

2015110601975_0_99_20151109112004.jpg

 



  초요갱은 도대체 얼마나 미인이었기에 그냥 고관대작도 아니고 세종의 아들들과 동시에 놀아날 수 있었을까? 평원대군 이임은 세종과 소헌왕비 사이의 일곱째 아들이고 화의군 이영과 계양군 이증은 세종과 신빈 김씨 사이에서 난 아들이다. 이임과 이영은 이복형제, 이영과 이증은 동복형제이고 따라서 세조와도 형제간이다. 초요갱은 그에 앞서 수양대군이 정변을 일으킨 직후인 단종 3년(1455년) 이영과의 관계가 문제가 돼 궁궐에서 쫓겨난 바 있다.

  그런데 궁궐을 나간 초요갱은 세종 때 좌의정을 지낸 신개의 막내아들 신자형(申自衡)과 눈이 맞았다. 아예 안방을 꿰차고 들어앉았다. 세조 3년(1457년) 6월 26일 사헌부에서는 예장(禮葬)도감 판사 신자형이 본부인을 멀리하고 초요갱에게 빠져 초요갱의 말만 듣고 여종 두 명을 때려죽였다며 처벌을 요구하는 기록이 나온다.

  그러나 신자형은 계유정난의 공신이었기 때문에 유배는 가지 않고 직첩(職牒)만 빼앗겼다.

  그런데 석 달여 후인 10월 7일 사헌부에서는 훨씬 충격적인 보고를 올린다. 신자형의 7촌 조카뻘인 안계담이란 자가 초요갱을 '덮치기 위해' 다짜고짜 신자형의 안방으로 들이닥쳐 신자형의 아내 이씨는 놀라서 달아나다가 땅에 뒹굴고, 초요갱을 찾지 못한 안계담이 신자형의 노비들을 마구 구타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이었다.

  이처럼 아름다운 기녀를 둘러싼 사내들의 쟁탈전에는 왕실에서 미관말직까지 귀천(貴賤)이 따로 없었다.

  앞서 이복형님이기도 한 세조에게 야단맞은 계양군 이증과 관련해 실록에는 "주색(酒色)으로 인해 세조 10년 8월 16일 졸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40도 안 돼 세상을 뜬 것이다.

  초요갱은 남자들에게 횡액(橫厄)을 가져다 주는 '요부(妖婦)'와도 같은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초요갱의 입장에서 보자면 억울하기 그지없는 일이다. 자신이 누구를 죽인 적이 없다. 죽음도 불사한 사내들이 달려들다가 날개를 태워버리기도 하고 목숨을 잃기도 했을 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74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38 1
73 바뀐 문장부호 file 강정실 2015-06-10 4689 1
72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71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5 1
70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35 2
69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68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8 1
67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476 1
66 우리말, '~ㄹ게'와 '거야' 강정실 2015-03-21 4444 2
65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있는 곳(파리 북부, 오베르 쉬르 오와즈) 웹관리자 2015-11-25 4414 3
64 우리말, 사이시옷 강정실 2015-03-21 4391 2
63 우리말, '다르다'와 '틀리다' 강정실 2015-03-21 4381 2
62 우리말, 방어율?직구? 야구용어 속 '불편한' 진실 강정실 2015-03-21 4322 2
61 일본인 사진가가 찍은 이웃 나라…'내 마음속의 한국' file 웹관리자 2016-03-22 4251 2
60 2015년의 신조어 file 웹관리자 2015-12-16 4250 2
59 왜 청자뿐일까…해저유물 미스테리 file 웹관리자 2016-04-14 4179 1
58 <런닝맨>은 좋지만 '런닝맨'은 싫어요 file 강정실 2015-07-13 4086 1
57 우리말, '~에'와 '~에게' 강정실 2015-03-21 4030 2
56 새로 표준어로 인정된 어휘 웹관리자 2016-12-30 3975 1
» 세종의 아들들이 거쳐간 妓女 초요갱… 불나방처럼 달려든 사내들 file 웹관리자 2015-11-17 383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