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둥이’ ‘따라쟁이’

조회 수 3367 추천 수 1 2016.01.02 16:16:00

 

 

 

 

9b9cddb0c6414cc083c825adc167d3a0_99_20151210173205.jpg

 


최근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예정일보다 이르게 태어나는 아이가 크게 늘고 있다. 이들을 가리켜 ‘이른둥이’라 한다. 그런데 이들의 상당수는 2.5㎏이 채 안 되는 체중으로 태어나 면역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건강하지 못하다. 이로 인해 이들을 ‘미숙아’라 했었다. 그러나 얼마 전부터 ‘미숙아’의 부정적 의미 때문에 ‘이른둥이’라는 새말로 대신하여 쓰고 있다.

‘이른둥이’는 ‘이른’ 뒤에 ‘-둥이’를 결합하여 만든 말이다. 그런데 ‘-둥이’는 접미사로서 ‘귀염둥이’ ‘막내둥이’ ‘바람둥이’ 등에서처럼 ‘귀염’ ‘막내’ ‘바람’ 등의 명사 뒤에 결합하여 새말을 만들어 낸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용언 ‘이르다’의 관형형인 ‘이른’ 뒤에 접미사 ‘-둥이’를 결합한 ‘이른둥이’는 어법에 맞지 않는다.

‘이른둥이’처럼 어법에 맞지 않는 새말의 예로 ‘따라쟁이’를 하나 더 추가할 수 있다. ‘따라쟁이’는 ‘무엇인가 따라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가리키는데 ‘따라’ 뒤에 ‘-쟁이’를 결합하여 만든 말이다. 그런데 ‘-쟁이’는 접미사로서 ‘겁쟁이’ ‘멋쟁이’ ‘그림쟁이’ 등에서처럼 ‘겁(怯)’ ‘멋’ ‘그림’ 등의 명사 뒤에 결합하여 새말을 만들어 낸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용언 ‘따르다’의 연결형인 ‘따라’ 뒤에 접미사 ‘-쟁이’를 결합한 ‘따라쟁이’는 어법에 맞지 않는다.

이렇듯 어감만을 고려한 채 어법에 맞지 않게 만들어 쓰는 새말이 적지 않다. 이 가운데 어떤 것은 언중의 공감을 얻어 오랫동안 쓰이기도 한다. ‘새내기’ ‘먹거리’ 등이 그런 예이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잠시 쓰이다가 사라진다. 새말을 만들어 쓸 때에는 그 어법까지도 고려하는 것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54 2015년의 신조어 file 웹관리자 2015-12-16 4253 2
53 우리말, 방어율?직구? 야구용어 속 '불편한' 진실 강정실 2015-03-21 4322 2
52 우리말, '다르다'와 '틀리다' 강정실 2015-03-21 4381 2
51 우리말, 사이시옷 강정실 2015-03-21 4391 2
50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있는 곳(파리 북부, 오베르 쉬르 오와즈) 웹관리자 2015-11-25 4414 3
49 우리말, '~ㄹ게'와 '거야' 강정실 2015-03-21 4444 2
48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8 1
47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489 1
46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45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35 2
44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6 1
4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42 바뀐 문장부호 file 강정실 2015-06-10 4689 1
41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38 1
40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
39 우리 땅에서 성장한 한자어는 우리말? file 강정실 2015-06-10 4950 1
38 이미 확보해 놓은 높은 벼슬, '떼어놓은 당상' file 강정실 2015-10-17 5013 2
37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36 우리말,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강정실 2015-03-21 5325 2
35 우리말, 고쳐야 할 일본식 지명 강정실 2015-03-21 537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