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는 왜 풀만 먹어도 덩치가 큰 걸까

조회 수 7692 추천 수 2 2016.02.01 09:45:27

 반추위 미생물이 성장에 주요 역할.. 영양소분해·단백질원 역할

 

 

"이모, 소는 초식동물인데 왜 이렇게 뚱뚱해?"

올해 아홉 살이 된 조카를 데리고 여행을 떠난 A(28)씨. 그의 조카는 한 시골마을을 지나다 목장을 보곤 질문을 던졌다. "아, 소가 풀을 어마어마하게 많이 먹어서 그래." 말도 안 되는 답이라고 생각했지만 일단 위기를 모면한 A씨. A씨는 정말 궁금했다. '소는 풀만 먹는데 어떻게 저렇게 큰 덩치를 가지는 걸까.'

축산유통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2012년 출하된 한우 암소의 평균 무게는 564kg, 수소는 697kg이다. 한우보다 육중한 일본의 육우는 평균 몸무게가 755.7kg에 달한다. 키(높이)는 1.2~1.5m에 남짓하지만 그야말로 엄청난 몸무게를 자랑한다.
황소가 쟁기질을 하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 © News1↑ 황소가 쟁기질을 하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 © News1
사람이 덩치를 키우려면 체계적으로 식단을 관리해야 한다. 근력운동을 하며 단백질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근육질 남성들이 닭가슴살, 달걀흰자, 소고기 등을 입에 달고 사는 이유다. 하지만 소는 사람과 다르다. 초식동물인 소는 풀과 곡물만 먹고도 거대하게 성장한다. 사람이라면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56735_42888_5731.jpg

 


 

소가 풀과 곡물만 먹고도 체구를 키울 수 있는 이유는 반추동물(反芻動物)이기 때문이다. 반추동물이란 네 개의 위를 가진 동물로 되새김질(한번 삼킨 먹이를 다시 게워 내어 씹음) 동물이라고도 한다. 반추동물은 위가 하나인 단위(單位)동물과는 다르게 혀와 입술을 이용해 음식물을 삼킨 후 되새김질로 소화하는데, 이 되새김질이 반추동물의 특징 중 하나다. 포유류 소목 중 낙타과·애기사슴과·사슴과·기린과·소과의 동물이 이런 특징을 가졌다.

이 반추동물의 또 다른 특징은 반추위(제1, 2위)에 사는 미생물이 음식물을 분해하는 것이다. 바로 이 특징 때문에 소가 풀과 곡물만 먹어도 큰 덩치로 성장을 할 수 있다. 소의 네 개 위에서 음식물이 소화되는 과정에선 미생물이 아주 큰 역할을 하는데, 이 미생물은 사람을 비롯한 육식동물의 위장엔 존재하지 않는다.

이유경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사는 반추위의 미생물들이 소화와 영양분 섭취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했다. 이 연구사는 "전문가들은 흔히 소가 미생물을 먹고 큰다고들 말한다"면서 "반추위에서 자란 미생물들이 단백질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연구사는 위가 네 개나 되는 소의 소화과정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했다. 그는 "반추동물이 사용하는 에너지원은 두 개인데, 하나는 풀이나 사료를 먹어서 생기는 영양분이고 다른 하나는 그 영양분을 먹고 큰 미생물"이라고 했다.

반추동물인 소의 위엔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 등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살고 있는데, 그 미생물이 소가 먹은 음식물을 분해해 산물을 만든다. 사람이 소화를 할 때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지방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쪼개지는 것처럼 소의 반추위에 있는 미생물들이 이런 분해 역할을 위에서 먼저 해주는 것이다.

이 연구사는 "반추동물의 4위를 진위(진짜 위)라고 부르는데 이곳에선 음식물이 분해돼 나오는 영양분과 생장한 미생물을 흡수해 에너지로 사용한다"면서 "사람은 풀을 소화할 수 있는 미생물이 없기 때문에 풀의 영양분을 거의 흡수하지 못하고 배출한다. 하지만 소의 위엔 풀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살고 있고, 또 그 미생물이 단백질원이 돼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535 우리나라 최초 신소설 '혈의 누' 경매..시작가 7000만원 file 웹관리자 2016-02-09 5451 1
534 초콜릿의 유래 file 웹관리자 2016-02-04 7275 1
» 소는 왜 풀만 먹어도 덩치가 큰 걸까 file 웹관리자 2016-02-01 7692 2
532 스타벅스가 기부한 김구 선생 휘호 일반에 공개 file 웹관리자 2016-02-01 5460 1
531 서울의 한 수족관에서 상어가 다른 상어를 잡아 먹는 광경 file 웹관리자 2016-01-31 4621 1
530 늦은 임신의 10가지 장점 file 웹관리자 2016-01-31 4943 1
529 중국산수 실체 찾아 6년.. 그림속 무릉도원은 실재했다 file 웹관리자 2016-01-25 7064 1
528 사진으로 보는 철새들의 천국 웹관리자 2016-01-24 6985 1
527 일본어 뿌리는 한국어 file 웹관리자 2016-01-22 6096 1
526 겨울 철새, 가창오리 file 웹관리자 2016-01-19 7558 1
525 "7만개 별의 나이 한눈에"…최대 은하계 연령 지도 공개 file 웹관리자 2016-01-15 3897 1
524 사육사 애정으로 건강 되찾은 183세 최장수 거북이 file 웹관리자 2016-01-14 8688 1
523 주목 못받던 남해안 공룡 발자국 재조명 탄력 file 웹관리자 2016-01-14 4777 1
522 주택, 아파트에서 기르기 좋은 애완견 5 file 웹관리자 2016-01-07 8882 1
521 모성애, 귀신 퇴치, 출세..선조들 삶 속의 원숭이 file 웹관리자 2016-01-05 7350 1
520 천연기념물 따오기 file 웹관리자 2016-01-03 6931 2
519 피카소는 왜 황소를 어린아이처럼 단순하게 그랬을까 웹관리자 2016-01-02 19110 1
518 전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 TOP 5. file 웹관리자 2016-01-02 5592 1
517 토종닭은 질기다? file 웹관리자 2016-01-01 4030 1
516 유네스코 기록유산 '조선왕조의 궤' 보물 된다 file 웹관리자 2016-01-01 835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