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재단, 성인 600명 상대 로봇 작성기사 실험…품질·신뢰성·전문성도 OK

비판·감시기능, 현장취재 등에선 인간기자 대체 불가능

 

 

20160314070113295kvak.jpg


 

"두산은 6일 열린 홈 경기에서 LG를 5:4, 1점 차로 간신히 꺾으며 안방에서 승리했다. 두산은 니퍼트를 선발로 등판시켰고…"

이 기사는 로봇이 썼을까, 사람이 썼을까? 정답은 '로봇'이다.

로봇이 자동 작성한 야구경기 기사 5개를 일반인들에게 보여주고 작성 주체가 '사람'인지 '로봇'인지 질문했더니 응답자의 평균 46%만 '로봇'이라고 정답을 맞혔다.
로봇 기사 도입이 저널리즘에 미치는 영향↑ 로봇 기사 도입이 저널리즘에 미치는 영향
14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지난해 7월 24일∼8월 10일 전국 만 19세 이상 600명을 대상으로 로봇저널리즘에 관해 실험했다. 해당 실험 결과는 '로봇저널리즘 가능성과 한계' 보고서에 담겼다.

로봇 저널리즘이란 인간이 기사를 작성하는 절차를 알고리즘으로 만든 뒤, 해당 알고리즘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료를 검색하고 기사 작성까지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스포츠·경제분야 등 형식과 틀이 일정한 기사를 중심으로 로봇 저널리즘이 시도되고 있다.

실험에서는 로봇 알고리즘이 쓴 기사 5개를 제시한 뒤 작성 주체를 물었다. 정답률은 각각 47.2%, 54.2%, 50.2%, 18.7%, 60.3%로 나타나 평균 46.1%였다. 실험 참가자의 절반 이상이 기사 자체만으로는 로봇과 사람 중 누가 쓴 기사인지 구분하지 못한 것이다.

기사 품질에 대한 평가 결과도 로봇 기사와 사람이 쓴 기사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기사 작성 주체를 모르는 상태에서 실험자를 두 집단으로 나눠 한 집단은 로봇 기사를, 다른 한 집단은 사람이 쓴 기사를 읽게 했다. 이후 '잘 읽힌다', '명확하다', '정보가 많다', '신뢰할 만하다', '전문적이다' 등 5개 항목에서 5점 척도로 기사의 품질을 평가했다.

5가지 항목 가운데 유일하게 '정보가 많다'는 항목에서만 사람이 작성 기사가 평균 3.43으로, 로봇 작성 기사(평균 2.99점)를 앞섰다. 나머지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로봇 알고리즘이 저널리즘에 도입되면 편견 없는 뉴스 제작이 가능하겠냐는 질문에는 절반에 가까운 48%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부정적인 의견은 14%에 불과했다. 품질 경쟁력이 있다고 본 응답자도 28%로 집계됐다. 하지만 로봇 알고리즘이 언론의 비판·감시 기능을 떨어뜨리고 의미 없는 기사만 양산할 수도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각각 45%, 42%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로봇을 통한 기사 작성이 일반화된 후에도 현장성 있는 취재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라며 "'글쓰기'는 대체될 수 있지만 '취재'는 인간 기자의 몫"이라고 분석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555 키스할 때 눈 감는 이유 file 웹관리자 2016-03-21 5103 2
554 북위 30도 `미스터리 라인` 따라가는 미스터리 여행 file 웹관리자 2016-03-20 5370 1
553 이중섭 100주년 기념 특별전 file 웹관리자 2016-03-15 5785 1
552 이세돌의 인간 승리…'바둑 괴물' 알파고도 '백기' file 웹관리자 2016-03-13 6052 1
» '이 기사 누가 썼지, 로봇? 사람?'..성인 절반 이상 구별못해 file 웹관리자 2016-03-13 4341 1
550 지구를 구하는 크릴새우..남북극 동물 24종의 생존 이야기 file 웹관리자 2016-03-11 5406 3
549 자신을 살려준 할아버지 만나러 5,000마일 헤염쳐 돌아오는 펭귄 file [1] 웹관리자 2016-03-10 4070 3
548 콜레스레롤 file 웹관리자 2016-03-04 4619 1
547 전자 책 file [1] 웹관리자 2016-03-02 4918 1
546 후쿠시마에 남겨진 동물들 처절한 사투 중 file 웹관리자 2016-02-23 4538 1
545 정월대보름에 개를 굶긴 이유 file 웹관리자 2016-02-23 4908 1
544 故 천경자 차녀 ‘친자’ 소송… 미인도 진위·상속분쟁 2R file 웹관리자 2016-02-22 4375 1
543 담배 안 피워도.. 매년 60만명, 간접흡연으로 사망 file 웹관리자 2016-02-19 6000 1
542 이스터 섬 문명 붕괴 원인은 file 웹관리자 2016-02-18 4517 1
541 손가락 크기 원숭이 file 웹관리자 2016-02-17 5015 1
540 진주 운석 발견 2년, 현장에 가봤더니 file 웹관리자 2016-02-16 6634 1
539 호박 속에 갇힌 3천만년 전 멸종된 꽃 화석 발견 file 웹관리자 2016-02-16 4079 1
538 남극 펭귄 15만 마리 떼죽음 file 웹관리자 2016-02-13 4282 1
537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확인 file 웹관리자 2016-02-13 4225 1
536 조덕현 작가 "한국 여배우에 대한 오마주 작품" 전시 file 웹관리자 2016-02-09 1109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