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연구자 도진순 교수, '역사비평'에 재해석 논문 "청포도, 덜 무르익은 민족 의미"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항일시인 이육사(李陸史·1904~1944·사진)의 대표작 '청포도(靑葡萄)'에서 청포도가 연둣빛 포도가 아니라 '풋포도'라는 해석이 제기됐다.

한국근현대사 연구자인 도진순 창원대 교수는 계간지 '역사비평' 2016년 봄호(114호)에 실린 '육사의 '청포도' 재해석―'청포도'와 '청포(靑袍)', 그리고 윤세주'라는 논문에서 "이 시에서 청포도는 품종으로서의 '청'포도가 아니라 익기 전의 '풋'포도여야 제대로 독해된다"고 주장했다.

 

20160315030505025dfls.jpg

 

 

도 교수는 육사의 고향인 경상북도 안동군 도산면 원촌리에는 일제시대는 물론 지금도 청포도가 없으며, 그래서 육사가 시상(詩想)을 얻은 곳이 청포도가 재배되던 포항 동해면의 미쯔와포도원이었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당시 청포도는 와인 제조용이었을 뿐 시에 나오는 것처럼 손님 접대용으로는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볼 수 없다고 했다. '강희자전'에 따르면 '청(靑)'이란 접두어는 '생물이 태어날 때의 색상'을 의미하며 우리말 '풋'에 해당하는데 이 시에서 '청포도'는 그런 뜻이라는 것이다.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은 함뿍 적셔도 좋으련"이란 부분도 청포도는 물이 들지 않기 때문에 풋포도로 해석할 때 자연스럽다는 것이다.

도 교수는 시에서 '청포도'가 아직 무르익지 않은 우리 민족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육사는 지인에게 시 '청포도'에 대해 "내 고장은 조선이고 청포도는 우리 민족인데, 청포도가 익어가는 것처럼 우리 민족이 익어간다. 그리고 일본은 끝장난다"고 말했다.

도 교수는 또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靑袍)를 입고 찾아온다고 했으니"에서 '청포'를 '벼슬아치가 공복(公服)으로 입던 푸른 도포'로 해석하여 시의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는다고 지적하는 것에 대해 "중국 한시에서 청포는 비천한 사람이 입는 옷이며 중국에 망명한 우리 혁명가들이 입었다"고 주장했다. 퇴계 이황의 14대 손(孫)인 육사는 한시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육사가 기다리던 '손님'으로 도 교수는 가장 가까운 동지였던 윤세주(尹世胄·1901~1942)를 지목했다. 밀양 출신인 그는 육사와 친분이 깊었고 1932년 9월 함께 의열단에 합류하여 군사훈련을 받았다. 육사는 1933년 7월 귀국 직전 아끼던 인장을 그에게 선물했고, 1941년 1월 발표한 산문 '연인기(戀印記)'에서 그를 애틋하게 그렸다. 윤세주는 김원봉과 함께 조선민족혁명당과 조선의용대를 만들어 항일운동을 계속했고, 1942년 태항산 전투에서 전사했다. 중국을 오가며 독립운동을 하던 육사는 1943년 서울에서 체포돼 베이징으로 송치됐고 1944년 1월 옥사했다.

도진순 교수는 "육사는 평생 독립·혁명운동과 문학을 넘나들었기 때문에 그가 지은 시를 제대로 해독하려면 그의 독립운동에 대한 이해가 필수"라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저작권법 웹관리자 2014-09-27 3486 4
42 청록파 시인 박두진 문학관 file [1] 웹관리자 2015-04-19 23216 5
41 '위안부' 할머니들의 잇따른 죽음에 부쳐 file 강정실 2015-03-28 4552 4
40 탄생 100주년 맞은 문인 8인… 대산문화재단ㆍ한국작가회의 선정 file 웹관리자 2015-04-28 3684 3
39 피천득의 삶과 문학 file 웹관리자 2015-04-20 14007 3
38 백범의 한인애국단과 윤봉길의 훙커우 의거 file 강정실 2015-03-28 5999 3
37 노벨상 집착 말고 문학진흥 토양 마련해야 한다. 웹관리자 2015-03-25 3585 3
36 강경호 시인, 평론 '미술과 문학의 만남' 에세이 '내마음의 소리' 출간 file 웹관리자 2015-03-25 4451 3
35 조선한시 대가가 낸 시험지에 정조가 준 점수는? file 강정실 2015-08-03 4028 2
34 이육사 순국한 일본 지하감옥, 베이징에 여전히 존재 file 웹관리자 2015-08-02 4182 2
33 김준 작가, 에세이 file 강정실 2015-07-26 4524 2
32 “도깨비와 승부…영어소설로 만나요.” file 웹관리자 2015-05-05 3905 2
31 "문학상 4차례 수상으로 충분…이젠 웹소설 도전" file 웹관리자 2015-05-05 4433 2
30 윤오영의 창작수필론 file 웹관리자 2015-04-20 9378 2
29 이호우, 이영도 시인의 생가 file 웹관리자 2015-04-19 16402 2
28 대한민국 임시정부, 상하이 1919년~1932년까지 file 강정실 2015-03-28 11113 2
27 백범기념관과 묘소, 그리고 경교장 file 강정실 2015-03-28 5191 2
26 자싱 피난처에서의 백범과 주애보 file 강정실 2015-03-28 5174 2
25 소설가 김동리(1913~1995) 선생의 생가(生家) 복원 file 웹관리자 2015-03-27 4329 2
24 광주문인협회 미공개 시 22편 실린 `봄비와 낮달' 발간 웹관리자 2015-03-22 451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