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 박모 씨(46·서울 서초구 잠원동)는 최근 지인들과의 저녁 자리에서 “술을 끊었다”며 폭탄주를 거절했다. 그 대신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 ‘사콜(사이다+콜라)’을 만들었다. 호기롭게 원샷을 하려던 그는 동석했던 의사 친구에게서 “그게 술만큼 나쁠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는 멈칫했다. 액상과당이 잔뜩 들어간 탄산음료가 술보다 몸에 더 해로울 수 있다는 얘기였다.

 

실제로 영양학계와 의학계에서는 당류가 알코올만큼 건강에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설탕으로 상징되는 달콤함의 유혹을 지금보다 더 강하게 뿌리칠 필요가 있다고 이들은 입을 모은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보건의 날’(4월 6일)을 앞두고 이르면 이번 주 당 저감을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정부 차원에서 ‘단맛과의 전쟁’에 전면적으로 나서는 것이다.

 
 20160328030453378wnvw.jpg


20160328030453590duhi.jpg


 

○ 식탁 위의 ‘하얀 독(毒)’정부 대책엔 당류 저감 목표와 섭취를 줄여야 할 대상 식품 등이 구체적으로 담기고, 가공식품에 당 성분과 분량 표시 의무를 강화하는 등의 계획들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당류 소비량과 당뇨병 고지혈증 같은 질병의 상관관계를 정기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식약처는 이와 함께 당류 소비량을 줄이기 위한 대국민 캠페인도 최소한 3년 이상 장기적으로 진행해 나가기로 했다. 전국의 보건소 및 단체 급식이 이뤄지는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등을 중심으로 포스터 배포가 이미 시작됐다.

 

설탕과 함께 대표적인 식탁 위의 ‘하얀 독(毒)’으로 불리던 소금의 경우 2014년부터 지속적인 저감 운동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섭취량이 많이 줄어든 반면에 설탕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우리가 젓갈이나 간장, 고추장 등을 이용한 요리를 많이 먹다 보니 나트륨 섭취는 문제가 됐지만 설탕에 대해서는 ‘서양 사람들보다는 적게 먹지 않느냐’는 인식 때문에 그동안 지나치게 관대했다”고 지적했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DRI)’에 따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은 61.4g. 설탕 15스푼을 넘는 양이다. 에너지 섭취 비율로 환산하면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의 12.8%를 당류에서 섭취하고 있다. 20%를 훌쩍 넘어서는 서구 국가들보다는 양호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총열량 중 섭취량 비율(10%)보다는 높다.

 

당은 과일이나 유제품 등에 들어있는 천연당과 인공 감미료 등으로 쓰이는 첨가당으로 나뉜다. 식이섬유나 무기질 같은 성분이 없이 단맛만 내는 첨가당의 경우 몸에서 분해, 흡수되는 속도가 천연당보다 빠르기 때문에 혈당이 순식간에 치솟는다. 이런 첨가당이 재빨리 몸에 흡수돼 축적되는 과정이 반복되면 내분비계를 비롯해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시스템이 무너지면서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유발한다.

 

고령화 추세와 함께 만성질환이 늘고 있는 만큼 이제는 당 관리를 보다 엄격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당뇨병과 뇌중풍(뇌졸중), 심장병 등의 발병 위험이 2∼5배 높다.○ 청소년 노리는 ‘설탕의 공격’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소아·청소년들 사이에서 유독 높다. 식약처 조사 결과 12∼18세 학생들이 1년간 마시는 평균 탄산음료는 1.5L짜리 17병으로 30∼49세 성인(6병)의 3배 가까이 된다. 과일주스는 180mL 병 기준으로 83병이나 된다. 삼성서울병원 당뇨병센터장인 이문규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스포츠음료나 탄산음료에 들어있는 당은 내가 봐도 깜짝 놀랄 정도로 많다”며 “청소년의 과도한 당 섭취는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정서를 불안정하게 만들거나 주의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과도한 당 섭취는 소아 비만을 부르고 이는 다시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사춘기 비만은 70∼80%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진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문진수 교수는 “소아청소년기에 갑자기 살이 찌면 세포 크기뿐 아니라 수 자체가 늘기 때문에 나중에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다”며 “어렸을 때 중독성이 강한 단맛에 길들여지면 나중에 식습관을 고치기 힘든 것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가공식품에 들어가는 당은 몸에 흡수돼 행복감을 느끼게 해주는 속도가 매우 빠른데 이 속도가 중독성을 키운다”고 지적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575 김정호가 만든 '대동여지도' file 웹관리자 2016-06-18 9927 1
574 사진작가 김중만, 자신의 작품 저렴한 가격에 판매, 입장료는 저소득층 안과 수술에 전액기부 file [1] 웹관리자 2016-06-12 7673 1
573 스위스 국민투표, '공짜로 월 300만원 준다는데'.. '반대 76.9%' file 웹관리자 2016-06-07 4274 1
572 전 세계 헤비급 참피언 무하마드 알리 사망 file 웹관리자 2016-06-04 13127 1
571 짜장면 시키신 분~ 야호 맛있는 구장 file 웹관리자 2016-06-02 5483 1
570 이중섭의 보석같은 작품 한 자리에 file 웹관리자 2016-06-02 4794 1
569 훈민정음 혜례본 국보 1호 지정으로? 박충조 2016-05-29 4821 1
568 사찰 음식의 종류와 금기 음식(오신채) 서용덕 2016-05-09 11491 1
567 수고하셨습니다. [1] 남중대 2016-04-26 4393 3
566 불법인 줄 알면서 김 양식 염산사용 file 웹관리자 2016-04-26 4341 1
565 세계 최고령 나무는 5천살 file 웹관리자 2016-04-26 4456 1
564 고독한 사람, 심장병·뇌질환 걸릴 확률 30% 더 높아 file [1] 웹관리자 2016-04-21 3702 1
563 국회의원 '金배지' 사실은 '銀배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707 1
562 연주 도중 귀마개 끼는…그 고통 아시나요? file 웹관리자 2016-04-11 4278 2
561 브라운관 속 스타에서 국회의원이 된 사람들 file 웹관리자 2016-04-09 17375 1
560 참새가 벚꽃을 따는 이유는? file 웹관리자 2016-04-06 11788 4
» 소금처럼 설탕도 이젠 NO 식탁위 또 다른 '백색 전쟁' file 웹관리자 2016-04-04 6021 1
558 동물 병기 그들은 누구인가? [1] 웹관리자 2016-03-29 6151 1
557 개들은 주인이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사람을 안다(연구 file 웹관리자 2016-03-26 4670 1
556 덕수궁 유일한 목조 2층 건물 석어당 일반 공개 file 웹관리자 2016-03-21 534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