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생식물로 아름다운 꽃이 피는 연(蓮)은 인기가 많다.


AKR20160722152800052_01_i.jpg


                                                                         -주남저수지 뒤덮은 연 군락


몇몇 지자체는 일부러 연꽃단지를 만들어 노랑·분홍 꽃이 만발할 때쯤 축제를 열 정도로 연은 대접을 받는다.

그러나 철새도래지로 유명한 경남 창원시 동읍 주남저수지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최근 몇년 사이 주남저수지 생태계를 교란시킬 정도로 연이 급격하게 번져 시가 제거작업에 나설 정도다.

창원시가 용역을 줘 조사한 올해 주남저수지 연 군락 면적은 64만7천500㎡에 달했다.

주남저수시 수면 14.9%를 연이 뒤덮었다.

저수지 가장자리 대부분과 가운데 수면에까지 연 군락이 고구마 줄기마냥 퍼졌다.

주남저수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철새 전망대에서 바라보면 수면에 녹색 융단이 깔린 것으로 착각할 정도다.

단일 식물로는 저수지에서 최대 군락을 형성했다.

지난해에는 연 군락 면적이 55만4천㎡(11.5%), 2013년에는 34만2천㎡(7%)에 달했다.

매년 연이 수면을 덮는 면적이 증가하는 추세다.

창원시 환경정책과 주남저수지 담당은 "최근 몇년간 연이 확산 추세지만 올해는 전파력이 상당이 높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연 자체가 유해식물은 아니다.



AKR20160722152800052_02_i.jpg


                                                                                   -주남저수지 뒤덮은 연 군락


그러나 군락이 워낙 넓다보니 국내 최대규모의 내륙 철새도래지인 주남저수지 생물 다양성을 훼손시킨다는 우려가 지역민과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나온다.

임희자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은 잎이 넓은 연이 군락을 이뤄 촘촘히 자라 햇빛을 막아 다른 식물의 성장을 막는다고 지적했다.

지역주민들은 옛날에는 주남저수지에 연이 별로 없었다고 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연이 주남저수지를 점령했다.

2대째 주남저수지에서 고기를 잡는 김산 동읍 내수면 어업계 어촌계장은 연을 다른 수생식물을 죽이면서 자라는 '깡패식물'이라고 불렀다.

환경단체와 마찬가지로 그 역시 연이 웃자라 햇빛을 막으면서 다른 식물을 죽게 한다고 설명했다.

"사람이 볼 때는 좋은데 연이 자라는 곳에는 햇빛이 들이 않아 식물도 죽고 물 색깔이 틀려요. 물이 탁한지 물고기도 연이 있는 곳에는 잘 안들어가데요"

김산 어촌계장을 비롯한 동읍에서 고기를 잡는 어민들은 창원시 지원을 받아 아침마다 배를 타고 연 제거 작업을 한다.

배 밑바닥에 와이어를 설치해 배가 이동하면서 줄기를 자르는 방식이다.

김산 어촌계장은 "배 8척이 일주일에 두번씩 연 제거작업을 하는데 제거속도보다 확산속도가 훨씬 빨라서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창원시와 주민들은 연 확산 이유로 주남저수지 수심이 낮아진 것을 꼽았다.

수심이 2m 정도는 돼야 하는데 현재 주남저수지 수심은 1.2m에 불과해 밑바닥에서 줄기가 올라오는 연이 자라기에 딱 좋은 환경이라는 것이다.

김산 어촌계장은 "주남저수지 준설을 그동안 거의 하지 않았다"며 "높아진 바닥때문에 수심이 낮아져 연 서식에 안성마춤인 환경이 만들어진 것 같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홍용희

2016.08.12 18:37:24
*.240.233.194

KakaoTalk_20160813_223427297.jpg



엘에이에 있는 에코공원에의 연들의 여러 종류는 아름답기가 그지 없는데

또다른 그런 문제가 있군요. 좋은 내용 잘 보고 갑니다.

첨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675 폴 세잔의 희귀 풍경화 2,050만달러 낙찰 file 석송 2015-02-21 8611 1
674 슈퍼박테리아 file 안지현 2015-02-21 6890 1
673 사이 ‘ㅅ’ 유감, 어문(語文)정책을 비판한다 file 이훤 2015-02-20 7873 1
672 체증 심한 출퇴근 스트레스 받지 않으려면 석송 2015-02-18 6280 1
671 한용운 시집 첫 영역판 출간 file 석송 2015-02-19 7643 1
670 336만여 자 고려사 필사본 영국서 발견 정순옥 2015-02-16 7505 1
669 사진작가가 담은 수영장 속의 강아지들 file 정덕수 2015-02-15 18702 1
668 거부당한 ‘낳은 정’ 중국 들썩 [1] 엄경춘 2015-02-14 6611 1
667 언어는 일찍 가르쳐야 한다 file [1] 제봉주 2015-02-13 10227 1
666 개미의 고독사는 외로움과 비극 file [1] 강정실 2015-02-12 8392 1
665 "직지보다 앞선 '증도가자'"…세계 최고 금속활자 정순옥 2015-02-08 11676 1
» 연꽃이 아름답지만…철새도래지 점령 蓮 확산에 속수무책 file [1] 웹관리자 2016-07-29 3677 1
663 고연봉 줘도 싫다는 직업 ‘병아리 성 감별사’ file 김평화 2015-03-07 7057 1
662 90년대를 풍미한 베스트셀러 [1] 지상문 2015-02-02 10098 1
661 르 코르뷔지에(1887~1965)..시처럼 아름다운 건축을 열망했던 도시계획가 제봉주 2015-02-01 20241 1
660 한국 문단 단편 101편 모음집/소설가 황석영 발간 강정실 2015-01-30 6946 1
659 2015년 콘텐츠산업 전망 보고서 강정실 2015-01-30 6225 1
658 겨울 나무 휘고 굽어졌구나, 우리네 삶처럼 file [3] 김평화 2015-01-29 9501 1
657 색깔 있는 포토그래퍼, 하시시 박 [2] 이훤 2015-01-28 6349 1
656 보스톤에는 엄청 눈이 내려요! file [6] 이금자 2015-01-28 856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