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고흐 작품 위작 논란

조회 수 4374 추천 수 1 2016.11.15 19:05:55


PAF20161116000801034_P2_99_20161116100308.jpg





연합뉴스
반고흐 스케치북 진위 논란…"이런 잉크 안써 vs 발견장소 확실"(종합)  영문 뉴스 음성지원 서비스 듣기본문듣기   설정
기사입력 2016-11-16 10:01  59  18


미술관 "기법 다르고 오류 있어"…출판사 "이미 인정받은 진품"

(브뤼셀·서울=연합뉴스) 김병수 특파원 양태삼 기자 = 네덜란드의 반 고흐 미술관이 최근 새로 발견돼 책으로 만들어진 스케치 작품들에 대해 반 고흐의 진품이 아니라고 발표하고 나서 진위 논쟁이 뜨겁다


암스테르담의 반 고흐 미술관은 15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반 고흐 전문가들이 '스케치북'에 실린 작품 65점 가운데 56점의 사진을 분석해 7모조품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프랑스 출판사 쇠이유(Seuil)는 지난 6월 후기 인상파 거장인 반 고흐의 미공개 스케치 작품들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어 17일 '빈센트 반 고흐, 아를의 안개 - 재발견된 스케치북'이라는 제목의 책을 내기에 앞서 이날 책과 스케치를 공개했다. 아를은 프랑스 남부 프로방스에 있는 지역으로 반 고흐는 1888년 이곳에 머물면서 '아를의 별이 빛나는 밤', '아를의 침실' 등 걸작을 남겼다.

1천 점가량 남아 있는 그의 작품 중 최고가에 거래된 것은 1990년 미국 뉴욕 경매에서 8천250만 달러(약 964억원)에 팔렸던 '의사 가셰의 초상'으로 현재 가치는 1억4천만 달러(약 1천63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한다.

반 고흐 미술관의 악셀 뤼거 관장은 출간될 책의 저자인 캐나다계 미술사학자 보고밀라 웰시-옵차로프에 대해 "스케치가 반 고흐 작품이라는 건  그녀의 생각"이라면서 "식견 있는 사람이니 아마도 우리 견해가 다르다는 데 동의해야 할 것"이라고 BBC에 말했다.

미술관 쪽 전문가들은 반 고흐 스타일과 기법, 도해법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드로잉에 분명한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스케치가 아를에서 지내던 시기 반 고흐 작품의 특징을 띠지 않으며 정제되지 않은 데다 '서투르고 단조롭다'는 것이다.

특히 1888∼1890년 당시 반 고흐 스케치에서 전혀 볼 수 없었던 갈색빛을 띤 잉크가 이번 작품에 사용된 게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미술관 측은 상당수 드로잉을 이미 2013년에 검사해 '모조품'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이번 고해상도 사진 분석에서도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반면 출판사 측은 이 드로잉들이 반 고흐가 오랫동안 머물며 걸작을 남겼던 아를의 '카페 드 라 가르'(Cafe de la Gare)의 장부에 그려진 것으로 이 카페 서고에서 발견됐다면서 "이미 진품임이 충분히 인정됐다"고 주장했다. 또한 책의 편집자인 베르나르 코망은 미술관 측이 위작으로 감정했으나 나중에 진품으로 판정된 작품이 있다면서 이번 작품들이 반 고흐의 진품이라는 주장을 고수했다.

저자는 스케치북을 본 순간 자신이 반 고흐의 작품을 보고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다가 "가장 위대한 현대 예술가 중 하나의 작품이라는 데 일말의 의심도 없게 됐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92 '전향’마저 과분한 당신들의 대한민국 file 강정실 2015-04-08 6717 13
2091 션·정혜영 부부, 결혼기념일마다 기부·봉사 '벌써 10년째' file [1] 웹관리자 2014-10-08 9387 10
2090 미국 (LA)에서 일어난 장(의사) 사건 file [3] 서용덕 2017-07-14 2712 8
2089 내 고향을 가다. 경상남도 남해군 file 웹관리자 2014-10-16 9332 8
2088 17기 LA민주평통 임원명단 file [1] 석송 2015-07-23 15156 7
2087 문학계간지 첫 5쇄… 문학동네 겨울호 조용한 돌풍 file 석송 2015-04-11 9161 7
2086 교통위반 티켓 ‘미친 범칙금’ file [1] 석송 2015-04-09 11691 7
2085 LA 대기오염 전국 최악수준 file 석송 2015-04-08 18780 7
2084 시인 고은과의 만남 file [3] 김평화 2014-10-13 10566 7
2083 한국문인협회 미주지회 문학 강의 안내 file [1] 석송 2015-04-14 6432 6
2082 회원님들 안녕하세요! file [3] 오애숙 2014-12-15 9333 6
2081 초콜릿, '제4의 비타민'? file 웹관리자 2014-10-06 12000 6
2080 미주LA중앙일보 [이 아침에]. 문학.함께 가는 도반들께 <이정아. 수필가> [19] 서용덕 2017-07-06 4993 5
2079 낭만의 도시 부산, 감성여행 file 웹관리자 2015-07-09 8914 5
2078 창비, 표절 부인 철회…"시비 적극적으로 가릴 것" file 정순옥 2015-06-18 5073 5
2077 진해 군항제 벚꽃축제(영상물) file [1] 안지현 2015-03-31 31848 5
2076 독도에서 골프공을 친다 [1] 강정실 2015-03-09 829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