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제주박물관 상설전시실 조선실서 전시

조회 수 2717 추천 수 1 2017.06.15 17:12:24

국립제주박물관 상설전시실 조선실서 전시
 

 국립제주박물관은 박물관 상설전시관 조선실에서 보물 1596호 동여비고(東輿備攷)를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동여비고에 실린 제주 지도[국립제주박물관 제공]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동여비고는 역사지도와 특수지도, 전국 군현도 60면을 수록하고 있다. 여기에는 제주 지도 1매가 포함돼 있다.

박물관은 최근 개인 소장자에게 동여비고를 기탁받아 전시하고 있다.


1136122415_5bUIQk4l_ED81ACEAB8B0EBB380ED9998-NDSC_1529.jpg



동여비고는 1530년(중종 25년)에 완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참고자료 성격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책 앞부분에는 진마변삼한분계지도(辰馬弁三韓分界之圖), 신라백제고구려조조구역도(新羅百濟高句麗肇造區域圖) 등 고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역사지도를 실었다.

 
 이어 조선의 전국지도인 국조팔도총도(國朝八道摠圖)와 도성도(都城圖)를 비롯해 서울 주위를 흐르는 한강, 용산강, 서강과 함께 도성안과 성저 10리를 그린 자도성지삼강도(自都城至三江圖) 등의 특수지도가 실렸다.

나머지 부분에는 경기·충청·전라·경상·강원·황해·평안·함경도의 군현도가 실렸다. 여기서 전라도 남부 12개 군현도에 이어 제주도도(濟州道圖)가 수록됐다.


마지막에는 일본 지도인 왜국팔도육십육주지도(倭國八道六十六州之圖)가 부록으로 포함됐다.

전국 지도에 수록된 것을 제외하고 제주도 단독 지도로써 가장 이른 예가 1702년에 제작된 탐라순력도-한라장촉임을 감안하면 동여비고에 수록된 제주도 지도는 이보다 조금 이르거나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예로써 중요하다.

동여비고에 수록된 제주도도에는 제주를 둘러싼 해안선이 타원형보다는 원형에 가깝게 표현됐다. 지도 북쪽에는 육지와 제주의 거리를 강진으로부터 수로 930리라고 나타냈다.


제주목의 위치는 실제보다 훨씬 내륙에 표시됐지만 주요 오름과 개천, 사찰, 중요 건물의 이름이 표기돼 있다.

지도에서는 170여개의 제주 지명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오름은 '岳', 내는 '川', 못은 '池' 등 한자를 차용해 적었다.

이 지명들은 지도가 만들어진 당시의 것이 아니라 그 이전까지 알려진 정보를 반영한 것으로, 동여비고를 통해 16∼17세기 제주의 정보를 살펴볼 수 있다고 박물관 측은 전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635 미주LA중앙일보 [이 아침에]. 문학.함께 가는 도반들께 <이정아. 수필가> [19] 서용덕 2017-07-06 4985 5
634 미주(LA) 한국일보 문예공모전 입상자 자격에 대한 의문 [4] 서용덕 2017-06-23 3807 3
633 바다 위 최대 85미터 높이 송도 해상케이블카 홍용희 2017-06-15 6890 1
» 국립제주박물관 상설전시실 조선실서 전시 file 홍용희 2017-06-15 2717 1
631 손 전화기에 의한 오해 file 강정실 2017-06-04 3096 2
630 개와 아이와 함께 [1] 웹관리자 2017-04-25 3308 3
629 겨울잠 깬 개구리들의 힘겨운 봄 file 웹관리자 2017-03-24 3812 2
628 북극·남극 해빙 동시에 감소, 역대 최소…기상이변 가속화 file 웹관리자 2017-03-24 3824 1
627 위대한 한국의 역사, 문화 유산 석송 2017-03-20 2391 1
626 나비가 급격하게 사라진다---15년새 34%감소 file [1] 웹관리자 2017-03-19 2800 1
625 동이족 상형문자 북미대륙서 여럿 발견 file 홍용희 2017-03-14 2877 2
624 서머타임 시작 file 홍용희 2017-03-11 2724 3
623 화성에 시카고 같은 도시를 만든다? file [1] 웹관리자 2017-02-26 3748 2
622 낙지잡이가 찾은 대부도 2호선은 12-13세기 고려선박 file 웹관리자 2017-02-26 3789 1
621 시인의 사계 석송 2017-02-09 2817  
620 100년 수난을 견디고 명절이 된 '음력 설'의 운명 홍용희 2017-01-27 3676 3
619 혈관스텐트 과연 안전한가 홍용희 2017-01-20 2945 1
618 노이슈반슈타인 성 [1] 웹관리자 2017-01-16 9592 2
617 시애틀 소식 [1] 문창국 2017-01-04 3372 3
616 시베리아서 희귀물질 발견---운석 충돌로 발생 가능성 file 강정실 2017-01-03 1270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