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오래된 '흥부전' 필사본

조회 수 2464 추천 수 1 2017.07.08 15:43:02

543476.jpg


 
 <앵커>

우리에게 친근한 고전소설 속 흥부와 놀부는 지금까지 박 씨나 연 씨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흥부 놀부 형제가 평양 사람이고 또 '덕수 장씨'란 내용이 담긴 손으로 쓴 '흥부전'이 발견됐습니다.

권애리 기자입니다.

<기자>

"평양 서촌에 사는 가난한 평민 장천이 아들 둘을 낳았는데, 첫째는 놀부고 둘째는 흥부다." 1833년 계사년 무렵에 썼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흥보만보록'의 첫 구절입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흥부전 중 가장 오래된 것보다 20년이 앞섰습니다.

[송준호/전 연세대 교수 : 원래 우리 집안에 전하던 책이에요. 나중에 읽어보니까 (흔히 알려진 것과) 너무 달라요. 평양 얘기가 나와 서 말이죠.]

[정순임 명창 '흥보가' 中 : 우리나라 경상·전라·충청 3도 어딘가에 박 씨 형제가 사는데…]

그동안의 흥부전들이 전라도 남원 근처로 추정되는 지역을 배경으로 했고, 흥부 놀부 형제를 박 씨나 연 씨로 그린 것과도 확연히 다릅니다.

결말에는 흥부가 과거에 급제해 무관이 됐고, 덕수 장 씨의 시조가 됐다고 썼습니다.

[김동욱/국문학 박사 : (박 씨는) 제비가 박씨를 물고 와서 그냥 붙인 것 같고요. 연 씨도 제비 연(燕)이라는 한자에서 연 씨로 붙인 것 같은데, 여긴 장 씨라고 하고요. 흥부전도 초기에는 서도 (평안·황해도 지방) 소리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놀부가 재산을 독차지하려 동생을 내쫓았다는 다른 흥부전과 달리, 부잣집에 데릴사위로 들어가 부모를 도울 수 없다고 한 놀부도 상대적으로 덜 악하게 그려졌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114 문체 웹관리자 2014-09-21 7964  
11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112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76  
111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73  
110 바람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13407 1
109 아름다운 우리말, 비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8032 1
108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45 1
107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106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207 1
105 높임말의 올바른 사용법 강정실 2015-03-21 10663 1
104 우리말, 알아도 틀리게 쓰는 말 '바라/바래' 강정실 2015-03-21 5502 1
103 우리말, '뭐'/'머', 구어적 표현이 표준어가 된 사례 강정실 2015-03-21 7397 1
102 우리말, 아라비아 숫자를 읽고 쓰는 법 강정실 2015-03-21 11395 1
101 우리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강정실 2015-03-21 21358 1
100 우리말, "취직하려면… 입문계가 좋아요? 시럽계가 좋아요?" 강정실 2015-03-21 3511 1
99 우리말, '내거'와 '내꺼' 강정실 2015-03-21 9448 1
98 우리말, 사귀다/피우다… 애매한 소리 '우' 강정실 2015-03-21 8985 1
97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23 1
96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65 1
95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