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악, 유네스코 인유무형유산 등재

조회 수 8183 추천 수 2 2014.11.27 07:04:00

2014112719384868399_1.jpg

 

                                                                                                       임실필봉농악

 

  우리나라 농악이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

  문화재청은 27일 오전 11시 38분(현지시각)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리고 있는 제9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우리나라 '농악'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최종 등재됐다고 밝혔다.

  이번 등재 결정 과정에서 무형문화유산보호를 위한 정부간위원회(한국 포함 24개국)는 농악이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다수의 행사장에서 공연됨으로써 공연자와 참가자들에게 정체성을 부여한다는 점에 주목했으며, "이번 등재는 농악의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시성을 높이고 국내외 다양한 공동체들 간의 대화를 촉진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위원회에 참석한 박상미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은 "심사과정에서 농악이 음악, 춤 같은 공연ㆍ예술적 측면 뿐 아니라 오랜 세월동안 공동체 생활의 구심점이 됐고 사회 문화적인 의미와 가치까지 높게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은 이어 "농악은 관객들까지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연하고 개방성을 가진 문화유산"이라고 말했다.

  농악은 지난 10월 말께 유네스코 누리집을 통해 심사보조기구 평가에서 만장일치로 '등재권고'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또한 유네스코 사무국은 우리나라의 등재신청서를 모범사례로 평가하기도 했다.

  이번 등재를 축하하기 위해 국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6개 농악 중 5대 농악(진주삼천포농악, 평택농악, 이리농악, 강릉농악, 임실필봉농악)으로 구성된 공연단이 파견돼 등재 직후 공연을 선보였으며, 800여 명의 회의 참가자들로부터 환호를 받았다.

  농악이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전문가들은 농악의 세계화에 더 힘써야할 것을 주문했다. 임돈희 문화재청 무형문화재분과위원장은 "농악의 특성은 우리에게 신명을 주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사람들이 전쟁이라든지 가난 등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에는 농악의 신명성이 많은 힘을 줬다"며 "세계 곳곳 발발하는 전쟁이나 기아 등 어려운 곳에 농악이 퍼져나가 세계인들에게 신명이 퍼져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상진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대사 역시 "등재 자체도 경사스러운 일이지만 이를 계기로 우리의 풍부한 전통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보존과 전승, 창조적인 발전에도 많은 관심이 있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농악이 등재되면서 한국은 종묘제례ㆍ판소리ㆍ강릉 단오제ㆍ김장 등과 함께 총 17개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앞으로 인류무형유산에 등재계획 중인 무형유산으로는 내년 심사가 이뤄질 '줄다리기'와 2016년 등재 예정인 '해녀문화'가 있다. 줄다리기의 경우, 일본,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등 줄다리기를 문화유산으로 가지고 있는 나라들과 공동 등재 목록으로 신청해 심사를 받게 된다.

한국 농악의 등재에 앞서 전날 위원회의 최종 심사를 받은 북한의 '아리랑'도 등재 결정을 받았다. 북한의 첫 인류무형유산 등재 사례다. 북한의 아리랑은 평양, 평안남도, 황해남도, 강원도, 함경북도, 자강도 지역의 아리랑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나라 아리랑은 지난 2012년 12월 제7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등재 결정을 받은바 있다. 일본은 이번 정부간위원회에서'와시, 일본의 전통 종이 제작 기술'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한편 오는 29일 오후 3시 서울 경복궁 흥례문에서는 이번 농악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기념해 축하 공연 행사가 열린다. 전국 각 지역을 대표하는 11개 농악단체 400여 명이 참여한다. 공연은 ▲ 비나리굿 ▲ 흥겨운 농악 한마당(단체별 농악공연) ▲ 삼동골(삼층탑) 쌓기, 12발 상모돌리기 ▲ 대동놀이 순으로 이어져 다양한 지역의 농악을 보다 다채롭게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행사에 앞서 전국에서 모인 농악패는 서울 인사동(남인사마당12:00~13:00), 광화문(광화문 시민열린마당, 13:00~14:00), 국립민속박물관 광장(13:00~14:00) 세 곳에서 자신들만의 독특한 판굿과 개인놀이로 축제의 장을 펼칠 예정이다.


김평화

2014.12.15 17:59:42
*.175.42.155

농악의 움직임을 보면 정신이 쏙 빠집니다.

축하드립니다. 우리의 문화유산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55 출판기념회 소식 방송-라디오 서울(AM 1650) [2] 한길수 2014-11-11 8830 2
2054 정조의 '애틋한 한글편지' 전체 공개 file 웹관리자 2014-11-19 17006 2
2053 개관 1년만에…‘만신창이’ 국립현대미술관 file 웹관리자 2014-11-24 9664 2
2052 '표현의 자유' 어디까지…"SNS상 살해 협박" 판결 관심 file 웹관리자 2014-11-24 6644 1
2051 한국문협 미주지회 ‘한미문단’ 문학상 시상식 file [1] 이병호 2014-11-24 7496 1
» 농악, 유네스코 인유무형유산 등재 file [1] 웹관리자 2014-11-27 8183 2
2049 예술가가 가난한 이유는 예술의 높은 가치 때문 file 웹관리자 2014-11-27 6657 2
2048 김훈·김연수가 털어놓은 소설가의 영업 고충은? file 웹관리자 2014-11-27 9707 2
2047 책 밖으로 나온 문학을 즐기다 file [1] 웹관리자 2014-12-01 9331 2
2046 너무 행복할 때 왜 눈물이 날까 file [2] 웹관리자 2014-12-01 7965 2
2045 고전번역은 과거와 현재의 소통 file [1] 웹관리자 2014-12-01 10021 2
2044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건강에 해로운 10대 음식 [8] 배원주 2014-12-02 7297 4
2043 연애편지는 왜 문학이 아닌가 file [1] 웹관리자 2014-12-07 7723 3
2042 71억짜리 세계서 가장 비싼 사진 ‘팬텀’ file [1] 강정실 2014-12-12 18213 5
2041 국립국어원 '개기다' '딴지' '허접하다' 표준어 인정 file [2] 웹관리자 2014-12-14 8271 1
2040 유국진 시인님 축하합니다. file 오애숙 2014-12-15 8556 3
2039 회원님들 안녕하세요! file [3] 오애숙 2014-12-15 9333 6
2038 덕종어보 돌아온다 file [1] 이병호 2014-12-16 6643 1
2037 국립국어원 "표준어, '딴지'는 되고 '멘붕'은 안된다" file [1] 이병호 2014-12-16 9320 1
2036 유럽·호주·동남아 다녀오면 홍콩여행이 '덤' file [1] 이숙이 2014-12-16 712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