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창가집 발굴

조회 수 1724 추천 수 2 2017.08.14 14:40:13

                  3·1운동때 불렸던 '애국가 11편' 필사본 찾았다  
                    조선일보


- 1917년 기록된 애국창가집 발굴
김연갑씨 29편 본지에 공개
애국가 8편 가사는 첫 발견… 안창호 쓴 '긴 날이 맛도록' 수록


'동해에 돌출한/ 나의 한반도야/ 너는 나의/ 조상 나라이니/ 너를 사랑함이/ 오직 너뿐일셰.'(제4번 애국가)

애국가 2 2017081500048_0_20170815030855255.jpg



‘애국창가집’의 표지(위)와‘긴 날이 맛도록’으로 시작하는 안창호 작사 애국가가 필사된 부분.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일제의 폭압에 맞서 독립을 외쳤던 1919년 3·1운동 당시 사람들은 '만세'만 불렀던 것이 아니라 10여종의 '애국가'를 함께 불렀다. '어화 우리 동포졔군/ 죽은 후에 지옥 간다/ 졍신차려 애국하세'(제9번 애국가)처럼 전통적인 4·4조 가사체부터 '만왕에 왕 우리 하나님끠셔는/ 셰계들을 창립하옵실때에/ 아 대한졔국이 비록 젹대래도/ 오날까지 특별 사랑하셧네'(제5번 애국가) 같은 기독교 찬송가식 노래까지 그 형식도 다양했다.

당시 현장에서 불렸던 것으로 보이는 애국가 11편과 애국 창가(唱歌) 18편을 적은 필사본 '애국창가집'이 발굴됐다. 이 중 애국가 8편의 존재는 이번에 처음 밝혀진 것이다. 애국가 연구가인 김연갑 사단법인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상임이사는 최근 입수한 이 자료를 14일 본지에 공개했다.

가로 10㎝, 세로 16㎝의 공책에 모두 72쪽을 세로로 쓴 이 필사본은 속표지에 필사 연도를 1917년이라고 기록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로 시작하는 현 애국가를 제일 처음에 쓴 뒤 '산고수려 동반도는'(2번·김인식 작사) '긴 날이 맛도록'(3번·안창호 작사)의 순서로 수록했다. 애국가 11편 중 '한반도 강산 우리 대한은'(8번) '동포들아 동포들아'(11번) 등 4~11번 노래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것들이다.

김 이사는 "일제 강점기 '애국가'란 이름으로 애창됐던 노래를 이렇게 많이 수록한 자료는 처음"이라며 "3·1운동 당시 민중이 부른 다양한 애국가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1910년 이후에는 애국가를 수록한 출판물이 나올 수 없었고 해외 발행 출판물의 국내 유입도 불가능해 실제로 국내에서 불리는 것을 수집 정리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총독부 기록 등에는 '만세 시위 때 군중이 애국가를 불렀다'고만 했을 뿐 가사가 어떤 것이었는지는 드러나지 않았다. 김 이사는 "이 자료에서 애국가가 수록된 차례는 당시 민중이 선호하던 순서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스코틀랜드 노래 '올드 랭 사인'의 곡조를 붙여 부르던 현 애국가가 3·1운동 때도 널리 불렸다는 것이다.

현 애국가의 작사자는 윤치호설(說)이 정설에 가까운 가운데 안창호설(說)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이사는 "이번 자료를 보면 안창호 선생은 다른 애국가를 작사한 게 맞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긴 날이 맛도록/ 생각하고/ 깁흔 밤 들도록/ 생각함은/ 우리나라로다'로 시작하는 3번 애국가의 경우 1908년 2월 안창호가 일본에서 발행된 '태극학보'에 발표했다는 가사와 같은데, 실제로 국내에서도 불렸는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으나 이 자료로 인해 그 가능성이 커지게 됐다는 것이다.

[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75 누군가에 위안되는 글이길/ 이정아 4번째 수필집 file 이정아 2018-09-07 1689 1
774 명절이 더 쓸쓸해요 file 홍용희 2017-10-03 1692 1
773 달 지하에서 동굴 발견 file 홍용희 2017-10-18 1696 2
772 오 평화의 왕이시여 [1] 오애숙 2018-12-23 1707 1
771 별빛의 메아리 홍용희 2017-11-14 1709  
770 인공지능 신기원에 돌입 file 홍용희 2017-10-19 1711 2
769 남편의 손수건 박은경 2021-01-16 1717 2
768 한국 사는 시민권자도 배심원 출두하라 홍용희 2017-09-13 1720 1
767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이렇게 썼다/나태주 이정아 2018-05-18 1720 2
766 조선왕조실록·훈민정음 세계기록유산 원본 증서 잃어버렸다 file 웹담당관리자 2017-08-06 1721 2
» 애국창가집 발굴 file 홍용희 2017-08-14 1724 2
764 " 갑질과의 전쟁" file 홍용희 2017-08-08 1727 2
763 --한영시 모음5--내사랑 클로버+ 추석을 맞아( 습작) 박은경 2021-07-10 1738 1
762 이래도 되는 가 [3] 오애숙 2018-05-26 1747  
76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오애숙 2018-12-28 1753 1
760 북풍 휘날려 오는 겨울창 앞에서 [1] 오애숙 2018-11-07 1759  
759 천 국 file [1] 이병호 2020-09-29 1759 1
758 서울대병원 동물실험정보 공개 판결 file 홍용희 2017-09-12 1762  
757 아흔 살에 이룬 꿈 / 길원옥 할머니 홍용희 2017-08-14 1785 1
756 틈새시장 찾기 [1] 오애숙 2017-12-11 1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