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창가집 발굴

조회 수 1724 추천 수 2 2017.08.14 14:40:13

                  3·1운동때 불렸던 '애국가 11편' 필사본 찾았다  
                    조선일보


- 1917년 기록된 애국창가집 발굴
김연갑씨 29편 본지에 공개
애국가 8편 가사는 첫 발견… 안창호 쓴 '긴 날이 맛도록' 수록


'동해에 돌출한/ 나의 한반도야/ 너는 나의/ 조상 나라이니/ 너를 사랑함이/ 오직 너뿐일셰.'(제4번 애국가)

애국가 2 2017081500048_0_20170815030855255.jpg



‘애국창가집’의 표지(위)와‘긴 날이 맛도록’으로 시작하는 안창호 작사 애국가가 필사된 부분.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일제의 폭압에 맞서 독립을 외쳤던 1919년 3·1운동 당시 사람들은 '만세'만 불렀던 것이 아니라 10여종의 '애국가'를 함께 불렀다. '어화 우리 동포졔군/ 죽은 후에 지옥 간다/ 졍신차려 애국하세'(제9번 애국가)처럼 전통적인 4·4조 가사체부터 '만왕에 왕 우리 하나님끠셔는/ 셰계들을 창립하옵실때에/ 아 대한졔국이 비록 젹대래도/ 오날까지 특별 사랑하셧네'(제5번 애국가) 같은 기독교 찬송가식 노래까지 그 형식도 다양했다.

당시 현장에서 불렸던 것으로 보이는 애국가 11편과 애국 창가(唱歌) 18편을 적은 필사본 '애국창가집'이 발굴됐다. 이 중 애국가 8편의 존재는 이번에 처음 밝혀진 것이다. 애국가 연구가인 김연갑 사단법인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상임이사는 최근 입수한 이 자료를 14일 본지에 공개했다.

가로 10㎝, 세로 16㎝의 공책에 모두 72쪽을 세로로 쓴 이 필사본은 속표지에 필사 연도를 1917년이라고 기록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로 시작하는 현 애국가를 제일 처음에 쓴 뒤 '산고수려 동반도는'(2번·김인식 작사) '긴 날이 맛도록'(3번·안창호 작사)의 순서로 수록했다. 애국가 11편 중 '한반도 강산 우리 대한은'(8번) '동포들아 동포들아'(11번) 등 4~11번 노래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것들이다.

김 이사는 "일제 강점기 '애국가'란 이름으로 애창됐던 노래를 이렇게 많이 수록한 자료는 처음"이라며 "3·1운동 당시 민중이 부른 다양한 애국가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1910년 이후에는 애국가를 수록한 출판물이 나올 수 없었고 해외 발행 출판물의 국내 유입도 불가능해 실제로 국내에서 불리는 것을 수집 정리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총독부 기록 등에는 '만세 시위 때 군중이 애국가를 불렀다'고만 했을 뿐 가사가 어떤 것이었는지는 드러나지 않았다. 김 이사는 "이 자료에서 애국가가 수록된 차례는 당시 민중이 선호하던 순서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스코틀랜드 노래 '올드 랭 사인'의 곡조를 붙여 부르던 현 애국가가 3·1운동 때도 널리 불렸다는 것이다.

현 애국가의 작사자는 윤치호설(說)이 정설에 가까운 가운데 안창호설(說)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이사는 "이번 자료를 보면 안창호 선생은 다른 애국가를 작사한 게 맞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긴 날이 맛도록/ 생각하고/ 깁흔 밤 들도록/ 생각함은/ 우리나라로다'로 시작하는 3번 애국가의 경우 1908년 2월 안창호가 일본에서 발행된 '태극학보'에 발표했다는 가사와 같은데, 실제로 국내에서도 불렸는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으나 이 자료로 인해 그 가능성이 커지게 됐다는 것이다.

[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655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편 펴낸 유홍준 교수 file 홍용희 2017-08-19 2332 1
654 차세대 수소차 [1] 홍용희 2017-08-17 1329 1
653 유럽에도 살충제 오염 계란 파문 file 홍용희 2017-08-16 1372 1
652 한국내산 계란 판매 중단 file 홍용희 2017-08-15 1506 1
651 낮보다 아름다운 밤... 전국 야행 인기 file 홍용희 2017-08-15 1556 1
» 애국창가집 발굴 file 홍용희 2017-08-14 1724 2
649 아흔 살에 이룬 꿈 / 길원옥 할머니 홍용희 2017-08-14 1785 1
648 공지영 인터뷰 기사 file 홍용희 2017-08-13 1835 1
647 한반도에 전쟁 나도 별 수 있나요? file 홍용희 2017-08-12 1498 1
646 2017 만해 대상 , 실천대상 제인 구달 박사 file 홍용희 2017-08-10 5206 1
645 " 갑질과의 전쟁" file 홍용희 2017-08-08 1727 2
644 뻐꾸기의 탁란 file 홍용희 2017-08-08 1914 2
643 조선왕조실록·훈민정음 세계기록유산 원본 증서 잃어버렸다 file 웹담당관리자 2017-08-06 1721 2
642 일본에서 녹지 않는 '아이스크림'이 나왔다. 웹담당관리자 2017-08-05 1860 1
641 英여왕 70년 외조한 필립공, 오늘 은퇴…'96세 최장수 왕실 file 웹담당관리자 2017-08-05 1599 1
640 서울역(京城驛, 경성역)과 스위스 루체른역(Lucerne Railway Station) 웹담당관리자 2017-08-05 15223 1
639 악플과 문자폭탄 [7] 이정아 2017-07-27 3339 4
638 중국 영화 "버스 44" 이야기 [4] 서용덕 2017-07-27 2287 1
637 미국 (LA)에서 일어난 장(의사) 사건 file [3] 서용덕 2017-07-14 2712 8
636 농작물 피해 주는 천덕꾸러기 고라니(?) 웹관리자 2017-07-08 31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