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규여측 / 정민

조회 수 2158 추천 수 1 2017.09.28 15:25:14


[정민의 世說新語]  관규여측 (管窺蠡測) 
2017-09-28 03:16 조선일보 .A37면2단| 기사입력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운부군옥(韻府群玉)'에 "촉(蜀) 땅에 납어( 魚)가 있는데 나무를 잘 오르고 아이의 울음소리를 낸다. 맹자(孟子)가 이를 몰랐다"고 썼다. '오잡조(五雜俎)'에는 "지금 영남에 예어(鯢魚)가 있으니 다리가 네 개여서 늘 나무 위로 기어오른다. 점어(鮎魚)도 능히 대나무 가지에 올라 입으로 댓잎을 문다"고 했다.


맹자가 '되지 않을 일'의 비유로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찾는다는 연목구어(緣木求魚)의 표현을 쓴 일이 있다. 혹자는 이 물고기들의 존재를 진작 알았더라면 맹자가 이 같은 비유를 쓰지 않았으리라 말한다. 윤기(尹愭·1741~1826)는 상리(常理)를 벗어난 예외적 경우로 일반화시키는 오류를 지적하며 이렇게 말했다. "세상에서 관규여측(管窺蠡測)의 소견으로 함부로 남을 논하는 것이 모두 이 같은 종류다. 그 폐단은 마침내 반드시 연석(燕石)을 보배로 보아 화씨(和氏)의 박옥(璞玉)을 버려야 한다고 말하거나, 산계(山鷄)를 귀히 여겨 봉황이 상서롭지 않다고 비방하는 데까지 이른다.(世之以管窺蠡測之見, 妄論他人者, 皆是類也. 其弊終必至於寶燕石, 而謂和璞可棄, 貴山雞而詆鳳凰非瑞.)" '한거필담(閒居筆談)'에 나온다.


관규여측은 대롱의 구멍으로 하늘을 살피고, 전복 껍데기로 바닷물의 양을 헤아린다는 뜻이다. 좁은 소견의 비유로 쓴다. 연석(燕石)은 옥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그냥 돌이다. 송(宋)나라 사람이 보옥으로 알고 애지중지하다가 망신만 크게 샀다. 초(楚)나라 행인은 산계를 봉황으로 잘못 알아 큰돈을 주고 샀다. 임금에게 바치려다 산계가 죽자 봉황을 잃었다며 발을 굴렀다.


윤기의 말이 이어진다. "지금 사람들은 조금만 서사(書史)를 섭렵하고 나면 문득 함부로 잘난 체하여 저만 옳고 남은 그르다 한다. 한 편의 기이한 글을 보면 스스로 세상에 우뚝한 학문으로 여기고, 어려운 글자를 외우고는 남보다 뛰어난 견해로 생각한다. 어떤 이는 남에게 묻기를 부끄럽게 여겨 잠시 얼버무려 자취를 감추기도 하고, 어떤 이는 어리석은 자들에게 뽐내며 과장을 일삼아 명성을 훔친다. 이 같은 무리가 세상에 가득하다." 대롱으로 본 하늘이 오죽하랴. 전복 껍데기로 바닷물을 재겠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15 다복한 추수감사절 되세요 file 홍용희 2017-11-18 2092  
714 평창동계올림픽을 위한 기도 [2] 오애숙 2018-02-07 2149  
» 관규여측 / 정민 홍용희 2017-09-28 2158 1
712 가을 뜻 / 황수정 file 홍용희 2017-11-09 2160  
711 독거노인 file [2] 박은경 2021-02-03 2160 1
710 음식 테마로 스토리 델링하는 사진작가 file 홍용희 2017-10-23 2165  
709 겨울 연탄의 추억 [1] 석송 2018-11-09 2184  
708 행동은 이상의 가장 고귀한 표현/은파 오애숙 [2] 오애숙 2017-12-07 2192  
707 이육사 새롭게 해석 / 도진순 홍용희 2017-11-28 2216  
706 스마트폰 배터리 잘 충전하고 잘 쓰는 방법 file 홍용희 2017-10-03 2219 1
705 무료 공공와이파이 조심 / 이수호 기자 file 홍용희 2017-09-30 2230 1
704 안도현 시인 file 홍용희 2017-11-04 2236  
703 어버이날의 유래와 각국의 어버이날 [2] 오애숙 2018-05-08 2257  
702 휴대폰 값 - 무엇이 고급, 중급 저가폰의 차이를 만드는가 file 홍용희 2017-10-04 2262 1
701 중국 영화 "버스 44" 이야기 [4] 서용덕 2017-07-27 2287 1
700 박경리문학상 최종 후보자 / 코맥 매카시 file [1] 홍용희 2017-08-23 2287 1
699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편 펴낸 유홍준 교수 file 홍용희 2017-08-19 2332 1
698 (수필)코로나 바이러스 file [2] 정순옥 2020-05-18 2344 2
697 기쁜 우리 잔치날 file [2] 홍용희 2017-11-30 2348  
696 위대한 한국의 역사, 문화 유산 석송 2017-03-20 239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