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공공와이파이 조심 / 이수호 기자

조회 수 2230 추천 수 1 2017.09.30 17:27:37


                   "무료 공공와이파이 조심?" 휴가철 보안수칙 살펴보니…
                             기사입력 2017-10-01 09:05 
  

추석 귀성 차량 0002973709_001_20171001090605624.jpg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29일 오전 경기 성남 서울톨게이트에서 바라본 경부고속도로에 귀성 차량들이 몰리고 있다. 2017.9.29/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공공와이파이서 사이트변조 해킹 잇따라…"중요 정보 백업 필수"


(서울=뉴스1) 이수호 기자 = 올추석부터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가 시작됐지만 해킹 위협이 더 커진 만큼,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지만, 사용하게 될 경우 더 꼼꼼하게 보안수칙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27일 이동통신3사(KT, SK텔레콤, LG유플러스)와 '무료 와이파이 확대 협약'을 체결하고 전국 191곳의 휴게소에 와이파이 기지국 구축을 완료, 이번 추석부터 본격적인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보안업계에선 무료 와이파이 사용시,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무료 와이파이의 경우, 수백에서 수천여명이 동시에 사용하는 만큼 해커가 하나의 공유기를 장악하면 다른 PC와 모바일기기까지 다 해킹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공공와이파이에서 감염된 악성코드 탓에 인터넷 주소(DNS)가 변조돼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DNS가 변조되면 사용자가 정상적인 주소를 입력해도 해커가 미리 준비해둔 사이트로 연결되거나 가짜 안내창이 보인다. 실제 사이트와 거의 동일한 형태로 정교하게 꾸며져 피해를 당하기 쉽다.


예방책으로는 PC 사용시, 금융감독원 사이트가 갑자기 보여지면 한번 더 확인하는 습관을 갖고 포털사이트 등 인터넷 서비스들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시로 바꿔주는 것이 안전하다. 중요 정보를 항상 백업하는 습관은 필수다.

모바일의 경우, 안랩 V3나 이스트소프트의 알약 등 국내 보안업체의 백신을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해당 업체들의 백신을 통해 호스트변조 등 다양한 해킹 공격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아울러 스마트폰 보안설정을 통해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을 '허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해야 한다. URL을 클릭한 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정체불명의 앱이 내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또 스미싱 범죄로 인한 금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소액결제 한도를 축소하거나 차단하는 것이 안전하다. 아울러 모바일 백신앱을 다운로드받고, 수시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다. 모든 문자메시지를 의심하고 열어보는 것이 더 안전하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공공와이파이를 통해 DNS호스트변조와 파밍 등의 해킹 사건이 잇따르고 있는 만큼, 이용자는 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면서 "공공와이파이로 PC를 사용할 경우, 금융감독원 사이트가 갑자기 보여지면 한번 더 확인하는 등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15 장례문화(葬禮文化) file 신성철 2015-04-03 11552 1
714 바닷가서 펼치는 '연날리기 행사' file 석송 2015-04-02 11361 1
713 서울에서도 트롤리버스 운행 file 석송 2015-03-31 6268 1
712 1000년 전 민간요법이 슈퍼박테리아 박멸 핵심 열쇠 될까 file 석송 2015-03-30 6772 1
711 선크림의 오해와 진실 file 석송 2015-03-28 8263 1
710 아리랑 3A호 발사 성공…의미와 과제(영상물) 웹관리자 2015-03-26 4472 1
709 한국인 개발한 시각장애인용 '만지는 시계' file [1] 석송 2015-03-27 12310 1
708 미국인은 이해 못하는 건강한 한식 석송 2015-03-24 8547 1
707 비운의 첫 조선왕비 신덕왕후 잠든 정릉 재실 복원 석송 2015-03-23 6511 1
706 영화, 분노의 질주중 슈퍼카 다이빙 액션 장면 석송 2015-03-23 4520 1
705 노벨 문학상과 농촌과의 관계 강정실 2015-03-22 7382 1
704 영국 회사, 매 훈련과 사냥 위한 드론 개발 석송 2015-03-22 9813 1
703 한복화가 김정현 file 석송 2015-03-19 20107 1
702 폼페이 유적 '신비의 저택' 2년 보수 끝에 재개장 file 정덕수 2015-03-21 9376 1
701 1500년 전 베이징에 살던 한민족 무덤이 발견 file 정덕수 2015-03-21 6053 1
700 분홍돌고래, 정말 사라질지 모른다 [1] 석송 2015-03-20 9646 1
699 “문학은 문화 전반의 초석…문학진흥법 꼭 필요” file 안지현 2015-03-18 6974 1
698 문학계 부흥 위한 문학진흥법 법안 추진 안지현 2015-03-18 6101 1
697 독도는 일본과 무관하다 file 석송 2015-03-19 6585 1
696 1그램의 용기(한비야 작가) file [1] 안지현 2015-03-19 1135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