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의 공간/ 김동인

조회 수 1935 추천 수 0 2017.11.16 22:03:30


김동인(사진)은 1900년 10월 2일 평양부 하수구리 6번지에서 아버지 김대윤과 어머니 옥 씨 사이에서 출생했다. 호는 금동(琴童)과 춘사(春士)이며 메이지학원 중학부 가와바타 미술학교에서 수학했다. 

1919년에는 근대문학 최초의 동인지인 ‘창조’를 주요한, 전영택, 김환, 최승만 등과 발간한다. 초기에는 오만한 예술지상주의자로서의 면모를 과시했으나 1930년대 이후에는 통속 역사소설과 야담의 세계로 나아갔다. 

그의 문학세계는 크게 세 범주로 나뉜다. 첫 번째는 ‘감자’ ‘김연실전’ ‘발가락이 닮았다’와 같은 자연주의적 경향과 ‘배따라기’ ‘광염소나타’ ‘광화사’처럼 탐미주의적 경향을 보인 단편소설의 세계이다. 이 작품들은 문학을 공리적인 것으로 보는 계몽주의나 프로문학과 대척점에 놓여 있다. 

두 번째는 ‘젊은 그들’ ‘대수양’ ‘운현궁의 봄’과 같은 통속적 성격의 역사소설이다. 세 번째 범주는 ‘조선근대소설고’와 ‘춘원연구’와 같은 평론 활동이다. 

이 평론들은 한국근대문학사와 관련해 선구적인 업적일 뿐만 아니라 김동인의 비평적 재질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한국전쟁 중인 1951년 1월 5일에 가족들이 피란한 사이 홀로 서울 하왕십리동에서 사망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35 문성록 부회장 방문(Cresco, PA) file [5] 웹담당관리자 2018-09-18 1927 3
734 연말연시에 박은경 2021-12-28 1927  
733 당신의 직업은 안전하십니까 file 홍용희 2017-09-13 1931 1
732 어린이 날은 원래 5월 1일 이었다 [1] 오애숙 2018-05-06 1932  
» 명작의 공간/ 김동인 홍용희 2017-11-16 1935  
730 시네롤리엄 오애숙 2018-11-07 1935  
729 추석연휴 시작 홍용희 2017-09-29 1965 1
728 신춘문예 이렇게 쓰세요 file 홍용희 2017-11-24 1979  
727 대한 추위와 풍습 오애숙 2018-01-19 1982  
726 미주 수필가 이정아씨의 글을 보고서 [3] 송덕진 2018-05-06 1990 2
725 고기폭탄 쌀국수, 맛있다고 계속 먹다간? 오애숙 2017-12-14 2018  
724 [연시조] 나무의 변신 [1] 박은경 2021-05-23 2027 1
723 가을밤 낙숫물 소리에 [2] 오애숙 2018-10-10 2032 2
722 라스베가스 총기 난사 사건 홍용희 2017-10-02 2049 3
721 돈의 시학 [2] 오애숙 2017-12-10 2075  
720 한미문단 문학상, 중앙일보 기사 file 홍용희 2017-10-27 2083  
719 불량품/이정아 file [4] 이정아 2018-03-01 2085 2
718 잎보다 먼저 피는 개나리꽃 [1] 오애숙 2018-03-11 2089  
717 여인과 수국화의 공통분모 [2] 오애숙 2018-06-06 2091  
716 창작하는 AI... 예술가가 함께 꿈꾸는 미래 file 홍용희 2017-11-01 2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