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 이렇게 쓰세요

조회 수 1934 추천 수 0 2017.11.24 19:54:10


심사위원들이 귀띔하는 “신춘문예 이렇게 쓰세요” 
기사입력 2017-11-25 04:43 한국일보

 

신춘문예 응모 사진.jpg



2009 한국일보 신춘문예 응모작을 접수하고 있는 모습. 한국일보 자료사진


201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는 시 소설 희곡 동시 동화 5개 부문에 걸쳐 당선자를 선정한다. 심사위원들이 밝힌 심사 기준, 응모 요령을 소개한다.


“투고작 중 뽑히려고 주제를 강조하거나, 눈치 보는 언어를 쓰는 경우가 있다. 서툴러도 정신을 본다. 확장된 세계를 열어 보여주는 사람이 좋다. 1월 1일자에 발표되는 작품이라는 강박을 벗어나라.”

“신춘문예 심사는 한두 편이 아니라 계속 작품 쓸 수 있는지 역량을 보는 심사다. 자기 목소리가 분명해야 한다. 개성적인 시가 완결성도 높다. 한때 난해시가 유행했지만 적어도 소통은 돼야 한다. 온 국민이 참여하는 문학축제 아닌가.”


소설

“한국에서 가장 진지한 작가들이 올해 심사위원으로 참여한다. 현란한 기교보다 삶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하는, 솔직하고 진지한 글이 당선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 사회 화두인 정치적 올바름과 윤리도 키워드가 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거칠어도 실험적인 작품이 좋다.”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작품보다 어색하고 불편해도 성장 가능성이 많은 작품을 뽑는다. 신춘문예니까. 그리고 경험상 그런 당선자가 잘 되더라.”


희곡

“개성이 강한 참신한 작품과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 결선에서 맞붙는다면 개성 있는 작품에 한 표를 주겠다. 신춘문예 심사는 패기와 도전의식을 보는 자리니까. 구태의연하지 않은 접근법, 소재의 참신성, 같은 소재라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는 작가 의식을 갖추었느냐를 기준으로 심사하겠다.”


동화

“자신의 어린 시절 추억을 담거나 듣기 좋은 조언을 담으려는 투고자들이 있다. 좋은 동화는 어린아이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아니라 어린아이가 하고 싶은 말을 담는다. ‘헐’ ‘즐’같은 유행어를 작품에 쓰는 경우가 있다. 소설은 서른에도 마흔에도 취향에 따라 읽지만, 아동문학은 유소년기를 통과하는 모든 이들이 읽는 장르다. 작품 수명도 길다. 이 시기를 지나는 이들에게 유용한 말인지 생각해보고 쓰시라.”


동시

“동시 이전에 시가 돼야 한다. 시가 갖출 상상력, 이미지를 갖춘 다음, 동심에 가 닿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라. 최근 5년간 시인들이 동시를 쓰면서 동시 경향이 급격히 바뀌었다. 문학동네, 창비, 사계절 등 동시집 출판사들의 신작을 개관하고 투고하시라. 예전 동시 생각하면 안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4805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224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626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4820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413 5
734 [자유시] 어떤 사랑 박은경 2020-11-15 103 1
733 서부여행기--드디어 나성 문인들과 만남 [10/4 일요일] file 박은경 2020-10-15 103 2
732 [K팝 신역사]“새 역사 썼다” BTS, 한국 가수 최초 빌보드 싱글 1위…외신들 찬사 박은경 2020-09-02 103 1
731 [동시조] 색동다리 [2] 박은경 2020-08-15 103 1
730 [시조] 우중 산행 file [4] 박은경 2020-08-14 103 1
729 [시조] 인연 박은경 2020-07-26 103 2
728 [디카시] 뒷모습 file 박은경 2020-06-10 103  
727 미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10만명을 돌파했다.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0-03-28 103 1
726 무념의 허상으로 남다 [행시 3편] 박은경 2022-02-05 102 1
725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file [1] 이병호 2020-12-31 102 1
724 구절초 file [2] 박은경 2020-10-17 102 1
723 거울 박은경 2020-09-12 102 1
722 [시조] 외로움 file 박은경 2020-10-10 102 1
721 [시조] 적도(赤道)의 여름 박은경 2020-06-21 102  
720 파키스탄에서는 메뚜기떼가 코로나19보다 경제에 더 큰 위협 file [2] 웹담당관리자 2020-06-09 102  
719 설명절 [행시] 박은경 2022-02-04 101  
718 울 애기/행시 박은경 2022-01-29 101  
717 나그네 인생길/ 행시 박은경 2022-01-10 101  
716 [단시조] 무지개 박은경 2021-07-28 101  
715 코파콜라 박물관에서 [2] 박은경 2021-03-07 10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