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종류

조회 수 13407 추천 수 1 2014.09.21 20:29:00

바람의 종류

꽃바람 : 봄의 꽃필 무렵에 부는 바람실바람 : 실버들 가지가 흔들린 정도로 솔솔부른 바람가만한바람 : 미풍,가만히 부는 바람
명주바람 : 부드럽고 화창한 바람
솔솔바람 : 부드럽게 솔솔부는 바람
산들바람 : 산들산들 보드랍게 부는바람
박초풍 : 음력 오월에 부는 바람
소슬바람 : 으스슷하고 쓸쓸하게 부는 바람
건들바람 : 초가을에 선들선들 부는 바람
고추바람 : 몹시 찬바람
칼바람 : 몹시 맵짠 바람
된바람 : 빠르고 세게 부는 바람
뭍바람 : 뭍에서 바다로부는 바람
재넘이 : 산에서 내리 부는 바람
샛바람 : 동풍, 이른 아침 동틀 무렵 가볍게 부는 바람
하늬바람 : 서풍, 중국 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 가을바람
마파람 : 남풍, 시원하게 불어오는 바람
꽃바람 : 봄의 꽃 필 무렵에 부는 바람실바람 : 실버들 가지가 흔들린 정도로 솔솔 부는 바람가만한바람 : 미풍. 가만히 부는 바람명주바람 : 부드럽고 화창한 바람솔솔바람 : 부드럽게 솔솔 부는 바람산들바람 : 산들산들 보드랍게 부는 바람박초풍 : 음력 오월에 부는 바람소슬바람 : 으스스하고 쓸쓸하게 부는 바람건들바람 : 초가을에 선들선들 부는 바람 . 작은 가지가 움직일 정도로 부는 바람고추바람 : 몹시 찬바람칼바람 : 몹시 맵짠 바람된바람 : 빠르고 세게 부는 바람뭍바람 : 뭍에서 바다로 부는 바람재넘이 : 산에서 내리 부는 바람
질풍 : 몹시 빠르고 세게 부는 바람 해풍 : 낮에 바다에서 육지 쪽으로 부는 바람육풍 : 밤에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부는 바람곡풍 : 낮에 골짜기에서 산꼭대기로 향해 부는 바람산풍 : 밤에 산꼭대기에서 산기슭으로 불어오는 바람연풍 : 바람의 강도가 약한 바람.화풍 : 화창하게 솔솔부는 바람국지풍 : 지형의 영향으로 특정한 좁은 지역에만 부는 바람으로 푄현상(높새바람)을            말함돌풍 : 일시적이지만 풍속이 갑자기 빨라지고 풍향도 급격히 변하며 때로는 천둥번개를 동반 하기도 하는 바람태풍 : 폭풍우를 동반하는 열대 저기압역풍; 자기가 가는 방향과 마주치게 불어오는 바람.순풍; 자기가 가는 방향과 같이 부는 바람
샛바람 : 동풍. 이른 아침 동틀 무렵 가볍게 불어오는 바람하늬바람 : 서풍. 중국 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 가을바람(갈바람) 이라고도 함마파람 : 남풍. 시원하게 불어오는 바람높바람 : 북풍. 높은데서 부는 바람
계절풍 : 공기의 대류 중 규모가 크고 계절에 따라 방향이 바뀌는 바람으로 ??????????? 여름에는 바다에서 육지로 불어오고 겨울에는 육지에서 바다로 분다.흔들바람(질풍): 1초동안에 6 ∼ 10미터 정도 빠르기의 바람 / 땅위에서는 작은나???????????????????????? 무가가? 흔들리고 바다에서는 물결을 조금 일으킨다.
남실바람(경풍):? 초속 1.6 ∼ 3.3 미터 바람/ 나뭇잎이 소리를 내거나 물결이???????????????????????? 남실거릴 정도로 부는 바람
센바람(강풍): 빠르기가 1초에 14미터 ∼ 17미터 되는 바람. 큰 나무 전체가 움?????????????????? 직이며 우산을 쓰고 다닐수 없을 정도로 세게 부는 바람.
큰바람(질강풍): 크게 부는 바람 / 빠르기가 1초에 17 ∼ 20가 되는, 가는 나무?????????????????????? 가지가 부러질 정도의 바람.
센바람(대강풍): 빠르기가 1초에 20미터∼24 미터 되는, 굵은 가지가 부러질????????????????????? 정도의 바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114 문체 웹관리자 2014-09-21 7965  
11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112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76  
111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73  
» 바람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13407 1
109 아름다운 우리말, 비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8032 1
108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45 1
107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106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226 1
105 높임말의 올바른 사용법 강정실 2015-03-21 10668 1
104 우리말, 알아도 틀리게 쓰는 말 '바라/바래' 강정실 2015-03-21 5502 1
103 우리말, '뭐'/'머', 구어적 표현이 표준어가 된 사례 강정실 2015-03-21 7398 1
102 우리말, 아라비아 숫자를 읽고 쓰는 법 강정실 2015-03-21 11395 1
101 우리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강정실 2015-03-21 21361 1
100 우리말, "취직하려면… 입문계가 좋아요? 시럽계가 좋아요?" 강정실 2015-03-21 3511 1
99 우리말, '내거'와 '내꺼' 강정실 2015-03-21 9451 1
98 우리말, 사귀다/피우다… 애매한 소리 '우' 강정실 2015-03-21 8987 1
97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25 1
96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65 1
95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