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836_11304_1547.jpg



  한국문화예술위가 2018년 3월 12일 문예지 발간지원 사업 결과를 발표했다. 심의 결과 총 지원금 9억 4천만 원이 문학단체 및 출판사에서 발간하는 51개 문예지에 지원된다.

  문예지 발간 지원 사업은 문학 창작 활동의 토대인 문예지의 발간을 지원해 문학 창작 및 비평 활동을 활성화하고, 문인들의 작품생산 공간을 확보, 기초 창작 여건을 마련하고자 추진됐다.

  당초 우수 문예지 지원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됐던 문예지 발간 사업은 2015년 사업 축소에 이어 2016년 기간문학단체 활동지원 사업으로 통합되어 실질적으로 폐지된 바 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뀌고 우수문예지 발간 지원 사업이 블랙리스트 사태로 인해 부당하게 폐지되었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문체부는 2017년 말 사업을 이전 규모로 복원하겠다고 밝히며 사업이 부활하게 됐다.

문예지 발간 지원 사업 심의 결과 선정된 문예지는 아래와 같다.(괄호 지원 금액)


신규 문예지
△ 한국동시조(1400만), △ 악스트(1800만), △ 릿터(1800만), △ 쓺-문학의 이름으로(800만), △ 모든시(1400만)


기존 문예지
△ 문학동네(1800만), △ 계간 시작(1400만), △ 21세기문학(1800만), △ 계간 서정시학(1350만), △ 계간 문학 선(1800만), △ 시전문 계간지 신생(1400만), △ 계간문예 다층(1400만), △ 문학의오늘(1800만), △ 푸른글터(600만), △ 열린아동문학(1600만), △ 문예바다(1600만), △ 문학과사회(1800만), △ 월간 문학사상(4800만), △ 월간 시인동네(3600만), △ 문학청춘(1350만), △ 발견(1400만), △ 딩아돌하(1600만), △ 시로여는세상(1400만), △ 시와 동화(1600만), △ 시와반시(1400만), △ 시와사상(1350만), △ 시에(1600만), △ 시조시학(1400만), △ 문학들(1800만), △ 어린이책이야기(1400만), △ 오늘의문예비평(1400만), △ 계간 자음과모음(1600만), △ ASIA(1800만), △ 창작과비평(1800만), △ 포지션(1400만), △ 한국문학(450만), △ 현대문학(5400만), △ 현대시(4800만), △ 현대시학(2400만)


문학단체 기관지
△ PEN문학(2000만), △ 정형시학(1400만), △ 월간문학(4000만), △ 월간 한국소설(4000만), △ 한국수필(2700만), △ 아동문예(2000만), △ 내일을여는작가(800만), △ 한국희곡(1400만), △ 에세이문학(1400만), △ 한국문학평론(800만), △ 아동문학예술(800만), △ 계간 미스터리(1400만)


  심의는 3월 7일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에서 진행됐으며, 심의위원으로는 심의를 위촉 받은 다섯 명의 심의위원(노경실, 박상우, 박수연, 복도훈, 장석남)이 참여했다.

  심의위원들은 "사업에 지원을 한 개별 문예지가 콘텐츠의 우수성, 사업 주체의 역량, 문학 발전에의 기여, 우수 작가들의 발굴과 육성 등 문예지 지원 사업 공고에 제시된 주요 기준에 얼마만큼 부합하는가가 논의의 우선적인 기준이 되었다."며 “심의과정에서 개별 문예지의 문학적 역량과 수준을 가늠했으며, 지역과 장르, 발간 형태와 방식 등을 최대한 공평하게 고려하고자 했다. 새로운 문학을 의욕적으로 제안하려는 참신한 시도와 노력 또한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빠르게 변화해가는 문학의 환경 속에서 새로운 문학적 정체성을 만들기 위해 여러 방면에서 노력하는 문학인들과 잡지와 단체의 수고에 심심한 경의를 표하고자 하며, 아울러 이러한 노고에 상응할 만한 보다 세심하고도 폭넓은 지원을 다방면으로 모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석송

2018.05.09 10:34:49
*.58.17.80

이걸 보면서 음해성 말잔치가 얼마나 만연한 것인지 알수가 있다. 한국문협 미주지회 회장이

돈을 만 불씩 받아 먹지 않았다는 사실이 증명되고, 그 말이 회자되며 자연스럽게 헛발질하며 매도한

전직 다른 문단책임자는 입하나 뻥껏 못하며 또다른 음해성 가짜쓰레기통을 뒤질 것이다.

세상만사 다 세옹지마라는 것, 내가하면 로멘스요 너가하면 스켄들이라는 재미없는 단어가 딱들어 맞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500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478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865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5016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608 5
774 남편의 사격 연습과 첫 사냥 file [2] 박은경 2021-01-27 111 1
773 [연시조] 수건의 삶-부제; 슬픈 수건 박은경 2020-09-27 111 1
772 [시조] 인연 박은경 2020-07-24 111 1
771 [시조] 양귀비꽃 file 박은경 2020-06-13 111 1
770 미소(微笑) file [1] 이병호 2020-06-05 111  
769 미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10만명을 돌파했다. file [1] 웹담당관리자 2020-03-28 111 1
768 여름비/단시조 박은경 2021-08-26 110  
767 [단시조] 무지개 박은경 2021-07-28 110  
766 호박꽃 file [2] 박은경 2021-05-29 110  
765 6월 물망초 file [2] 박은경 2021-06-18 110  
764 [자유시] 차와 다과 박은경 2020-09-21 110 1
763 美실업자 일주일새 300만명 늘었다, 역대 최악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26 110 1
762 그 날/ 시조 박은경 2020-03-03 110 1
761 천고마비 [1] 유진왕 2021-05-20 109  
760 [연시조] 여수 동백꽃 여행 박은경 2021-03-04 109 1
759 [연시조] 소고기 우거지탕 [1] 박은경 2020-08-24 109 1
758 [시조] 남 탓/부제-양귀비 박은경 2020-06-10 109  
757 [수필] 벡년 해로를 위하여 박은경 2020-05-29 109  
756 [시조] 그리운 방장산 박은경 2020-04-18 109 1
755 [연시조] 방귀냄새 박은경 2022-02-11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