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애숙

2019.01.30 14:34:07
*.175.56.26

음력설이 주는 나의 의미/은파 오애숙 

어린 시절 중 가장 기쁜 날 있다면 설이다. 세배돈 때문이다 
며칠있으면 그 옛날 어린 시절 그리도 설레이던 설 다가 온다 

설은 한 간지가 끝나 새 간지가 시작되는 날로 낯설다는 의미며 
삼가다, 설다, 익숙하지 못하다 그런 의미로 유래되었다고 한다 

새해 첫날을 기념하는 날이라서 설 말고 다양한 이름 원일 (元日), 
원단(元旦), 세수(歲首), 단월(端月),연수(年首)신일(愼日)이다 

삼국유사에 서기 488년 신라시대 비처왕 시절 최초로 설 쇠었으나 
1910년 한일합방 후 문화 말살정책로 음력설 없애려했으나 못했다 

세배 다니거나 설빔 차려입은 경우 먹물을 뿌려 옷에 얼룩지게 했으며 
떡 방앗간을 돌리지 못하게 경찰을 동원해 감시로 탄압과 박해를 했다 

설날은 한국의 2대 명절 중 하나로 음력 1월 1일 이며 이 날은 조상에 
차례를 지내고 웃 어른께 세계하는 고유의 풍습이 있어 민속의 날이다 

1985년 음력설을 '민속의 날'로 이름 정하여 공휴일로 공포 하였으나 
1989년 민속의 날을 다시 '설날'이라 이름 바꿔 3일 연휴로 정하였다 

허나 전통적인 명절 음력 1월 1일 설날(12월 31부터 1월 2일) 보다는 
한 해의 첫날이라는 의미의 개념은 양력 1월 1일 양력설이 더 강하다 

설렘은 누구에게나 있다. 양력이든 음력이든 새로운 걸 시도 할 수 있다 
작심 삼일로 지칠 때 즈음 음력설로 인하여 뒤 돌아보며  일어서게 된다 

새로운 결심을 상기 하며 오뚜기가 되어 질주 할 수 있어 감사한 일이다 
학창시절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계획의 차질로 넘어지지 않고 일어선다

오애숙

2019.01.30 15:49:28
*.175.56.26

구정 때가 되면/은파 오애숙

설렘의 물결 가슴마다 차고 넘치는 
한국 민속의 날 설은 한 가족이 조상에 차례 지내고
부모님과 웃 어르신께 세배 드린 후 세배 돈 받아
설레이게 했던 날로 음력 1월 1일

일가 친척과 함께 어우려져
윷놀이나 카드 놀이 하는 날로 좀더 거슬러 가면
널뛰기 연날리기 연싸움 팽이 치기 고누놀이등
민속놀이를 즐기는 고유의 명절이며

모든 이들이 함께 어우러져 
진 사람이건 이긴 사람이건 신명나게 즐겼던 
우리 문화로 요즘 인터넷 게임과 스포츠와는 달라 
어른과 함께 즐겼다는 것에 의미가 깊다

어우러짐으로 서먹한 관계가
다시 화합이 되었던 고유 명절이라 설만 되면
그 옛날을 그리워 하며 윷을 꺼내어 아이들과 함께 
즐기며 이역만리 타향에서 향수를 달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915 일본어 뿌리는 한국어 file 웹관리자 2016-01-22 6096 1
914 겨울 철새, 가창오리 file 웹관리자 2016-01-19 7558 1
913 "7만개 별의 나이 한눈에"…최대 은하계 연령 지도 공개 file 웹관리자 2016-01-15 3897 1
912 사육사 애정으로 건강 되찾은 183세 최장수 거북이 file 웹관리자 2016-01-14 8688 1
911 주목 못받던 남해안 공룡 발자국 재조명 탄력 file 웹관리자 2016-01-14 4777 1
910 주택, 아파트에서 기르기 좋은 애완견 5 file 웹관리자 2016-01-07 8882 1
909 피카소는 왜 황소를 어린아이처럼 단순하게 그랬을까 웹관리자 2016-01-02 19106 1
908 전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 TOP 5. file 웹관리자 2016-01-02 5592 1
907 토종닭은 질기다? file 웹관리자 2016-01-01 4030 1
906 유네스코 기록유산 '조선왕조의 궤' 보물 된다 file 웹관리자 2016-01-01 8359 1
905 정명훈, 서울시향 마지막 공연 지휘 웹관리자 2015-12-30 5822 1
904 점박이물범은 멸종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요. 웹관리자 2015-12-28 10667 1
903 부엉이 속에서 고양이 찾아 보세요. <퀴즈 놀이> file 웹관리자 2015-12-27 8020 1
902 45억년전 운석으로 만든 12억짜기 권총 file 웹관리자 2015-12-27 5112 1
901 중국 베이징, 마스크 쓴 개 등장 file 웹관리자 2015-12-26 9599 1
900 '연말 특수는 옛말'…칼바람 부는 달력 시장 file 웹관리자 2015-12-26 6956 1
899 '앵무새 알인줄 알았더니 달걀'…무너진 대박의 꿈 file 웹관리자 2015-12-26 11078 1
898 크리스마스 보름달 '럭키문' 보기 어렵다 file 석송 2015-12-24 8766 1
897 [연시조] 어머니가 보시던 책 file 박은경 2020-10-29 115 1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한국 전통 민속의 날 설 잘 보내세요.) [2] 오애숙 2019-01-30 146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