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어디서부터 오는가/은파

조회 수 214 추천 수 1 2020.02.20 23:47:23

 

 

봄은 어디에서 오는가/은파

 

 

   봄은 어디에서 오는가. "가장 중요한 우리 마음에서부터 봄이 오는 것이다."라고 말하고 싶지만

각기 사고하는 방식의 견해 차이와 처한 환경과 직업에 따라서 긍정적으로 사람마다 다르다싶다.

 

   "새의 노랫소리 들리면 봄이 온 것이다. 나목에 파란 새싹 돋아나면 봄이 온 것이다. 지붕 위 고드름 

녹아 내리면 봄이 온 것이다." 등... 모두의 생각들이 제각기다. 취미로 사진 찍는 이의 말이 기억난다. 

그 지인은 특히 겨울 끝자락 되면 가슴이 뛴다고 한다. 그 이유는 봄 알리는 야생화를 만나 보고 싶은 

마음에서라고 한다. 

 

필자 역시 봄 맞이 하고파, '봄을 함께 맞이 하자'라는 뜻의 시가 가슴에 부메랑 되어 메아리 치고 있다.

 

                      아가야  일어나자/ 먼  동에 반짝이는 윤슬/ 아침햇살  가아득  눈부시게/푸른 꿈  비춰 주기에 /한  발짝씩  내 딛고자//

                      널  향해 우렁차게 /들리는 함성의 옷 입고서/ 나도  가고  싶으니  어서가자/넓은  들  노를  저어서/꿈을  향해  나가자//

                       아가야  일어나라/ 새봄이  냇가에서  노래해/송사리떼  제세상  만든다며/ 제 영역  표시하려고/ 꼬릴  살랑  흔든다//

                                                                               (본인의 졸작) 새봄이 왔다(전문)/은파

   

   산자락이 얼어붙었는데도 얼어 붙은 땅을 뚫고서 꽃대 올라와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생명력에 찬사 

안보낼 수 없단다. 발견하는 순간 마치, 심마니가 "심봤다!" 산삼을 발견한 기쁨처럼 환호한다고 한다. 

기나 긴 겨울.  희릿하게 가물가물 비춰오던 겨울 햇살 모아. 금빛 너울 뒤집어 쓰고 노랗게 웃는 복수꽃 

발견할 때, 얼마나 기쁠 것 인가 ! 

       

                                             WIW8AnNQ5jiZJg3RjYBlQIsKaLm3KP7HpSpEutI1

 

   복수꽃은 이름의 뜻이 "복 받고 오래 살라"라고 한다. 꽃으로 덕담 받은 셈이라 싶을 테니...  

봄 알리는 전령사로 많이 알려져 있다. 이 복수초를 관찰하여 보면 꽃 주위에만 눈이 녹는 것을 볼 수가

있다고 한다. 뿌리 주변이 10~15도 정도로 꽃 주위에 영하의 대기온도 보다 높아 식물이 열 발생 시켜

얼은 땅 녹여 신비롭지 않을 수 없다고 한다.

 

   봄은 어디서 오는가. 야생화 찾아 다니는 자는 발견하는 순간, 동지섣달 무거웠던 거적 휙 던저 버리고 

비로서 봄을 맞이 하겠지만.  춘삼월이 문앞에 다가 왔어도 마음의 빗장이 잠겨 있다면 아직 동면 일 게다.

 

 

  


오애숙

2020.02.21 01:21:00
*.243.214.12

[단수필로 다시 재 수정해 보았습니다.]

 

 

                                               봄은 어디에서 오는가 /은파

 

   봄은 어디에서 오는가. " 마음에서부터 온다"고 말하고 싶지만 사람마다 각기 견해가 다르다.

 

   "새의 노랫소리 들리면, 나목에 파란 새싹 돋아나면, 지붕 위 고드름 녹아 내리면 봄이 온 것이다."

등... 모두의 생각들이 제각기다. 취미로 사진 찍는 이의 말이 기억난다.  그 지인은 특히 겨울 끝자락 

되면 가슴이 콩닥콩닥 뛴다고 한다. 

 

    그 이유는 봄 알리는 야생꽃을 만나 보고 싶은 마음에서라고 한다.  산자락이 얼어붙었는데도 그 

얼어 붙은 땅을 뚫고 꽃대 올라와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생명력에 찬사! 안보낼 수 없단다. 발견하는 

순간 마치, 심마니가 "심봤다!" 산삼을 발견한 기쁨처럼 환호하리라 싶다.

 

    긴 겨울.  희릿하게 가물가물 비춰오던 겨울 햇살 모아. 금빛 너울 뒤집어 쓰고 노랗게 웃는 복수꽃 

발견할 때, 얼마나 기쁠 것 인가 !... 복수꽃은 이름의 뜻이 "복 받고 오래 살라"라고 한다. 꽃으로 덕담 

받은 셈일테니. 복수꽃은 봄 알리는 전령사로 알려져 있다. 잘 관찰 해 보면 꽃 주위에만 눈 녹아있다.

 

    뿌리 주변 10~15도 정도로 꽃 주위에 영하의 대기온도 보다 높아 식물이 열 발생 시켜 얼은 땅 녹여 

신비롭지 않을 수 없다고 한다. 사진작가는 꽃 발견하는 순간. 동지섣달 뒤집어 쓴 무거웠던 거적 휘익,

던지고 봄 맞이 할 것이다.

 

  춘삼월이 문앞에 왔다. 하지만 마음의 빗장이 꽉, 잠겨 있다고하면 아직 동면 일 게다.

 

 

 

 

 

 

 

오애숙

2020.02.21 07:33:16
*.243.214.12

위의 수필을 다시 연시조로 재구성하여 보았습니다.

 

 

봄은 어디서오나/은파

 

어디서 봄이 오나 어떤 인 나목의 눈

방긋이 열고 오고 처마끝 낙숫소리

새들의 합창속에서 봄이 온다 말하나

 

마음의 빗장 열고 한겨울 뒤집어 쓴

어두운 음예공간 휘이익 날리고서

푸른 들 달리는 심연 봄의 싹이 튼다네

 

 

 

 

 

오애숙

2020.02.23 15:40:55
*.243.214.12



새봄이 돌아 오면/은파
 

새봄이 돌아 오면
언제나 변함없이 새가 지저귀고
산과 들에는 온갖 알록달록
꽃들이 피어 나겠지요

새봄이 돌아 오면
내 가슴에도 온새미로 피어나서
옛추억의 물결로 꽃가람 맘에 슬은
시어 가지고 옛추억의 물결
가슴에 잠기고파요

새봄이 돌아 오면
가슴에 새겨 놓은 적바림했던
꽃문향 휘날리는 마음속의 향그런
하늬바람으로 내 그대에게
연서 쓰고파요

새봄이 돌아 오면
상큼한 풀내음의 애틋했던
그대 사랑 마음에 가아득 담아
너울가지 할래요


 
    20-01-24 01:48
co_point.gif
*온새미로 :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너울가지 : 남과 잘 사귀는 솜씨. 붙임성, 포용성
*적바림: 글로 적어둠
*꽃가람 : 꽃이 있는 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035 [수필] 야간 산행-광주 어등산 산행기 박은경 2020-04-18 218 1
1034 한국 고유 명절인 설(구정) 잘 보내소서.(떡국 먹으면서)/은파 [3] 오애숙 2020-01-23 218 1
1033 스페인 여인 테너 오오셀 영상음악 [1] 오청사 2024-01-24 217 1
1032 발 받침대 file 정순옥 2024-05-28 216 1
1031 아프리카엔 흑인이 없더이다 유진왕 2022-06-05 215 1
1030 [연시조] 치거-진딧물 일종 file 박은경 2020-08-27 215 1
1029 회한 file [2] 강정실 2020-07-30 215 2
1028 [4행시] 아침식사 박은경 2021-10-13 214  
» 봄은 어디서부터 오는가/은파 [3] 오애숙 2020-02-20 214 1
1026 세 월 [2] 이금자 2021-04-28 214 1
1025 도시의 가을 [3] 이금자 2022-03-18 213 2
1024 바람 file [1] 이병호 2022-02-28 213 1
1023 도판희 [연시조] 박은경 2022-02-07 213  
1022 청매실 file [2] 박은경 2021-06-02 213  
1021 만화방 file [2] 박은경 2020-10-28 213 1
1020 [시]---어떤 해후邂逅--[사진첨부]-------[SH] 오애숙 2021-11-09 212  
1019 토마토/자유시 박은경 2021-10-16 212  
1018 일 출 file [1] 강정실 2020-09-22 212 2
1017 [시조]슬픈 오월 [1] 박은경 2020-05-06 212 1
1016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인해 긴급 사항 [1] 오애숙 2020-03-23 2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