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국도

조회 수 165 추천 수 3 2020.06.30 08:11:13

 

1번 국도/ 청조 박은경

 

익숙한 듯 낯선길

보물찾기

1번 국도

 

 

목포에서 신의주까지

임금님도 다니던 길

 

그 위용

사라졌을망정

추억 속에 살아있는 길 

o-DEFAULT-570[1].jpg

 


박영옥

2020.07.05 15:10:23
*.118.143.117

5년 전, 한국문협 미지주회 LA거주 회원들과 몬트레이의 수필가의 자택에서 1번 국도를 타고 태평양 해변로를 따라 내려 왔는데, 당연히 박은경 시인의 1번도로는 태평양 해변로 1번인 줄 알았습니다. 큰 차를 빌려 강 회장님의 왕복 운전으로 환호가 터질 정도의 비경을 보면서 돌아온 기억이 새롭습니다. 그런데 한국 목포에서 신의주까지 남한의 끝까지 달릴 수 있다니 재미있는 자료를 눈으로 확인하게 됩니다. 아마 1달은 가마 타고 말 타고 가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열심히 글을 자유게시판에 올리고 계시니 개인방이 있는 들어가봐도 아직 개설 안 했나봐요. 

계속 수고해 주세요.

박은경

2020.07.06 07:57:35
*.155.142.106

아하 오년이나 되셨으면 저보다 한참 선배님이시군요

네 아직 개인 서재 개설을 미루고 있습니다

조만간 서재를 열고 글을 옮기려면 그또한 큰 작업이 될 듯 하네요 ㅎ

저희들은 매 주 주제를 놓고 글을 쓰는데 지난주 주제가 길이었거든요

이번주는 모기나 하루살이인데 좀 막막하네요 ㅠㅠ

강정실

2020.07.06 20:45:29
*.240.215.200

목적지가 빠졌네요. 그때 수필반의 학생들 일부와 노벨문학상 수상자 죤스타인벡의 생가와 박물관을 관람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영화 '에덴의 동쪽'을 이야기하다가 갑자기 결정된 상황이었습니다. 돌아오는 돌아오는 길은 1번 국도를 택하면서 태평양 해변로를 택했던 7~8명이 함께 여행한 사진이었지요. 정순옥. 이병호 문인의 자택에서 하루 잠자며 여행했던 소중한 기억의 여행이었지요. 

정순옥

2020.07.09 13:41:25
*.240.215.200

박 시조시인님. 저희 집 부근에 죤스타인벡의 하우스와 박물관이 있습니다. 저희 동네 바닷가가 그분의 소설무대가 된 장소입니다. 다음에 한 번 회장님과 함께 오셔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4805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224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626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4820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413 5
2053 하얀 솜 꽃, 목화 박은경 2021-03-30 72 3
2052 美 FDA, 코로나 치료제 ‘렘데시비르’ 정식 승인 file [2] 웹담당관리자 2020-10-23 126 3
2051 이곳에 오면 file [2] 강정실 2020-09-25 205 3
2050 (수필) 독서가 좋아 file [4] 정순옥 2020-09-06 280 3
2049 대머리 file [2] 강정실 2020-09-02 184 3
2048 탄 생 file [1] 강정실 2020-08-22 184 3
2047 내 어린 날 file [1] 강정실 2020-07-25 98 3
2046 영화 file [1] 정순옥 2020-07-12 156 3
2045 [시조] 아이스 로드 file 박은경 2020-07-06 73 3
» 1번 국도 file [4] 박은경 2020-06-30 165 3
2043 설빛 하얀 그리움 일렁이는 이 아침 [2] 오애숙 2020-02-19 200 3
2042 <시> 갈필<渴筆>로 쓰는 편지 (김신웅) 웹담당관리자 2019-12-18 177 3
2041 뻐 꾹 새 file [3] 이금자 2019-04-20 1290 3
2040 라스베가스 총기 난사 사건 홍용희 2017-10-02 2027 3
2039 미주(LA) 한국일보 문예공모전 입상자 자격에 대한 의문 [4] 서용덕 2017-06-23 3756 3
2038 개와 아이와 함께 [1] 웹관리자 2017-04-25 3274 3
2037 서머타임 시작 file 홍용희 2017-03-11 2687 3
2036 100년 수난을 견디고 명절이 된 '음력 설'의 운명 홍용희 2017-01-27 3598 3
2035 시애틀 소식 [1] 문창국 2017-01-04 334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