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의 고독사는 외로움과 비극

조회 수 8392 추천 수 1 2015.02.12 21:17:43

▲개미는 소외되면 고독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외로움만큼 견디기 힘든 것이 있을까. 주변에 아무도 없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 고독은 더욱 짙어진다. 외로움과 고독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생을 마감하는 '슬픈 현실'이 다가온다. 이는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 곤충에게도 발생한다.

 

  김춘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해 12월 '대한민국 고독사의 현주소와 미래'라는 정책집을 내놓았다. 이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무연고 사망자는 2011년 682명, 2012년 719명, 2013년 878명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 통계는 가족 등을 찾을 수 없어 정부 예산으로 장례를 치른 것만 포함시켰다. 외롭게 살다 사망한 뒤 유족에게 인계된 것을 포함한다면 고독사는 더욱 늘어난다.

 

  최근 한 연구를 보면 곤충의 경우에도 고독사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미의 경우를 두고 하는 말이다. 사이언스지는 3일(현지시간) '외로운 개미는 영양실조로 죽는다(Lonely ants die of malnutrition)'는 기사를 게재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곤충의 세계에서도 사회성은 있다. 특히 개미의 경우 사회성이 아주 강하다. 동료들과 끊임없이 교류하면서 집단 사회활동을 한다. 동료와 친하지 않고서는 살아가기 힘들다. 최근 연구를 보면 개미의 경우 동료 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연구팀은 왕개미를 실험 대상으로 삼았다. 한 마리의 개미와 열 마리의 개미 등으로 실험 대상을 나눴다. 결과적으로 고립된 개미는 6일 뒤 죽은 반면 그룹 개미들은 66일 동안 살아남았다. 연구팀은 소외된 개미의 경우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몰라 무척 혼란스러워했다고 설명했다.

 

2015020408414573930_1.jpg

 

  이번 연구를 이끈 로렌트 켈러(Laurent Keller) 로잔대학교 곤충학자는 "소외된 개미는 안절부절 못 하는 모습이었다"며 "한순간도

쉬지 않고 이리저리 움직였다"고 말했다.

갈피를 잡지 못하며 끊임없이 움직이면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다. 고립된 개미는 허둥지둥 이곳저곳 움직였는데 음식은 잘 먹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면서 사태는 더욱 악화됐다. 왕 개미는 음식물을 내장에 저장한 뒤 둥지로 옮긴다. 이어 음식물을 토해내 동료 개미들과 함께 나누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고립된 개미가 음식물을 먹지 못하는 이유를 두고 연구팀들이 분석에 나섰다. 결과적으로 고립된 개미는 음식물을 토해내는 과정에서 음식물의 구성성분이 바뀌면서 소화할 만큼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진단됐다. 동료 개미들과 있을 때와 다른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음식물 구성성분이 바뀌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이 사라지면서 개미 두뇌를 변화시키고 영양 흡수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집단으로부터 소외됐을 때 동물은 물론 인간에까지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여서 주목되고 있다.


이금자

2015.02.14 18:19:10
*.56.31.244

고독은 사람만이 있는 게 아니군요.

개미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를 다 같다고 생각이 됩니다.

 

왕따와 고독사는 같이 움직이는 게 아닐까 생각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995 황당한 문화부의 문학 우수도서 선정기준 [1] 제봉주 2015-01-27 7260 3
1994 도둑이 훔친 지갑을 반성문과 함께 돌려준 이유 이금자 2015-01-28 8789 2
1993 보스톤에는 엄청 눈이 내려요! file [6] 이금자 2015-01-28 8568 1
1992 색깔 있는 포토그래퍼, 하시시 박 [2] 이훤 2015-01-28 6349 1
1991 겨울 나무 휘고 굽어졌구나, 우리네 삶처럼 file [3] 김평화 2015-01-29 9501 1
1990 2015년 콘텐츠산업 전망 보고서 강정실 2015-01-30 6225 1
1989 한국 문단 단편 101편 모음집/소설가 황석영 발간 강정실 2015-01-30 6946 1
1988 르 코르뷔지에(1887~1965)..시처럼 아름다운 건축을 열망했던 도시계획가 제봉주 2015-02-01 20241 1
1987 90년대를 풍미한 베스트셀러 [1] 지상문 2015-02-02 10098 1
1986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7월에 두번째 소설 출간 file 오애숙 2015-02-04 8335 2
1985 지구에 다른 태양과 달이 뜨면 신성철 2015-02-05 13223 2
1984 대저택을 마다하고 평생 방랑하며 산 '톨스토이'의 삶 file 제봉주 2015-02-06 13828 2
1983 "직지보다 앞선 '증도가자'"…세계 최고 금속활자 정순옥 2015-02-08 11676 1
1982 뇌졸증 막는 법 정덕수 2015-02-09 7574 3
1981 유럽인 정착 이후 호주 동물 생물 생태계 변화 file 지상문 2015-02-10 12639 2
1980 눈 한 자락 [2] 이주혁 2015-02-10 7101 2
1979 흑인 노예를 정당화하려했던 백인들의 주장 file 김평화 2015-02-11 32520 2
1978 국내서 41년 만에 발견된 멸종위기종 file [1] 엄경춘 2015-02-12 13978 3
» 개미의 고독사는 외로움과 비극 file [1] 강정실 2015-02-12 8392 1
1976 언어는 일찍 가르쳐야 한다 file [1] 제봉주 2015-02-13 1022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