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말과 글을 통해 세상을 인식하고 소통한다. 말과 글을 익히는 과정은 세상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훔볼트(Humboldt)는 ‘한 민족의 언어는 곧 그 민족의 정신’이라고 말할 정도로 한 나라의 언어는 그 나라 사람의 사고·정신·얼을 담는 그릇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우리 어문정책에는 문제가 있다. 바로 사이 ‘ㅅ’에 관한 문제다. 말을 글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문법적 규칙을 정해 표기하게 된다. 글자끼리의 음운(소리)이 조건에 따라 다른 소리로 바뀌는 현상에 대해 일정한 법칙에 맞춰 표기하도록 한 것은 맞춤법 규정 때문이다. 많은 소리변동 중에서도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져 합성어가 될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게 되는 경우를 ‘사잇소리/사이소리 현상’이라고 명명했다.
1989년 3월 1일 시행 이후 그 골격을 유지하고 있는 한글맞춤법에는 다음 몇 가지 경우에 있어 사이시옷을 ‘덧붙여 표기토록’ 하고 있다(/다음의 것은 언론에서 사용했던 다소 생경하게 느껴지거나 논란의 여지가 있어 보이는 사례를 든 것임). 순우리말 합성어 중 ①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때(나룻배/쇳조각·나잇값), ②뒷말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잇몸/아랫마을), ③뒷말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 ㄴ 소리가 덧날 때(뒷일/나뭇잎·나랏일), 그리고 순우리말과 한자어 합성어 중 ④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며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때(샛강/머릿방·공붓방·출셋길·진돗개), ⑤뒷말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훗날/제삿날·툇마루), ⑥두 음절로 된 6개의 한자합성어(곳간 庫間·셋방 貰房)의 경우에 그렇게 하도록 규정해 놓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의 현실 언어생활은 혼란 그 자체다. 심지어 언론의 기사에서조차 혼란스러운 표기들을 자주 보게 되는 실정이다. 한마디로 문제가 심각해 보인다. 꼭 사이시옷을 써야 올바른 발음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등굣길, 최댓값’처럼 사이시옷 표기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 우리말과 글을 더욱 쉽고 부드럽게 잘 사용하도록 하는 길일까?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이 필요하다. 다음과 같은 면에서 부작용이 더 크다.
첫째, 어문규정은 위의 각 경우의 글과 말이 모두 반드시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 자체가 오류다. 우리말의 소리를 아름답게 가꾸고 발전시키려면 일부러 센소리(격음)와 된소리(경음)를 내는 말버릇은 고쳐나가야 하는데 이에 역행한다. 굳이 된소리 발음을 하지 않아도 될 말을 사이‘ㅅ’을 덧붙이면 오히려 모든 뒷글자의 소리는 된소리로 변한다.
둘째, 한글의 국제화에도 역행한다. 사이‘ㅅ’을 덧붙이면 본래의 글자와는 형태가 달라져 하나의 온전한 새로운 형태소(글자)가 된다. 외국인이 한국문화를 접할 때 언어습득에 애를 더 먹게 되고, 어려운 맞춤법 때문에 장애가 발생한다. 자음접변 경우엔 굳이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지 않고도 우리글을 잘 쓰고 있지 않은가. 이 점 또한 어문규정의 일관성이 없다.
셋째, ‘깃발, 찻간’처럼 항상 경음으로 발음되는 접미사 앞에 있는 ‘ㅅ’은 이미 사람들에게 각인된 대로 쓰임이 마땅하겠지만, 그러하지 않은 모든 합성어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 지금껏 정부의 노력을 별로 보지 못했던 것 같다. ‘햇감자’와 같은 접두사의 끝소리 ‘ㅅ’을 사이시옷과 혼동하게 하는 규정도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다. 우리말과 글을 쉽고 부드럽게 가꿀 때 민족정신도 고양(高揚)시킬 수 있다.
김인혁(창원문성대학 사회복지행정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