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과 함께 하면 옥시토신 분비 촉진, 유대와 사회성 강화

뛰어난 공감 능력 지닌 개, 대량 생산 뒤 연간 10만마리 유기 악순환

 

한사리~1.JPG

 -반려동물

 

 

반려견과 친밀한 시간을 보내면 개와 주인 모두에서 옥시토신 분비가 촉진된다.

‘사랑 호르몬’, ‘사회성 호르몬’ 등의 별명을 지닌 옥시토신이 세간에 관심거리다. 애초 출산 때 자궁을 수축시키고 모유 분비를 촉진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 호르몬이 엄마와 아기뿐 아니라 사랑에 빠진 연인 사이, 나아가 집단 내 유대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자폐증 치료뿐 아니라 남자를 다정다감하게 만들고 다른 여자에게 곁눈질을 하지 않도록 한다는 ‘효능’까지 보고되면서 알약과 스프레이 등이 개발돼 팔리기도 한다.

 

640px-Oxytocin-neurophysin.png

 

-펩티드 호르몬인 옥시토신의 분자 구조. 사회성과 유대를 늘리는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부작용도 있다. 집단 안에서는 신뢰와 관용을 높이지만 외부 집단에 대한 배타성을 높이기도 한다. 의약품 이외 용도로 쓸 때의 효용성도 입증된 바 없다. 그런데 부작용 걱정 없이 옥시토신의 좋은 효과를 누리는 방법이 있다. 바로 개와 친밀하게 지내는 것이다.
 

미호 나가사와 일본 아자부대 동물학자 등은 과학저널 <호르몬과 행동>에 실린 논문에서 55마리의 개와 주인을 대상으로 한 흥미로운 실험 결과를 보고했다. 개와 주인이 30분 동안 놀도록 했는데, 주인의 눈을 오래 들여다 본 개일수록 주인의 옥시토신 분비량이 늘었다.


 Soggydan_Flickr.jpg


-주인을 물끄러미 쳐다보는 개. 아기처럼 사랑을 구하는 행동이다. 사진 =크리에이티브 코먼스

 

눈 맞추기는 아기가 돌봐주는 이의 친밀감을 이끄는 행동이다. 개도 아기와 마찬가지로 눈 맞추기를 통해 애정을 표현한다. 애견가들이 종종 개를 자기 아기 같다고 생각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개를 바라보고 쓰다듬는 것만으로도 사람 몸에 생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남아프리카 과학자들은 다른 연구에서 주인이 30분 동안 부드럽게 말을 걸고 털을 쓰다듬는 등 오로지 개에만 집중하도록 하고 30분 뒤 혈액을 채취해 분석했다. 혈압이 떨어졌고 옥시토신뿐 아니라 통증 완화, 모성 행동, 쾌감 등과 관련 있는 호르몬 분비도 증가했다.

 

똑같은 환경에서 개 주인들이 30분 동안 독서를 한 뒤에는 개와 함께 한 만큼의 효과가 나지 않았다. 놀랍게도 사람과 친밀한 시간을 보낸 개의 옥시토신 분비도 늘었다. 행복해진 개는 주인을 빤히 쳐다보는가 하면 핥고 손을 주며 킁킁대면서 친근감을 표시했다.
 

개는 사람과 공감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손가락으로 물체를 가리켜 가져오게 하는 실험에서 개는 침팬지보다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주인의 의도를 알아차리는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지는 큰 고깃덩이와 작은 고깃덩이를 앞에 놓은 뒤 주인이 작은 것에 관심을 보이면 본능을 누르고 작은 고깃덩이를 택하는 실험에서도 드러난다.

 

사람의 하품을 따라 하는 동물은 영장류를 빼고는 개가 유일하다. 이런 공감 능력을 활용해 자폐나 과잉행동증후군(ADHD)을 앓는 아이와 재소자의 심리 치료사 구실도 한다.(■ 관련기사: 하품 옮기기로 드러난 개의 공감 능력)
 

160da5dbd24b5ea7aa2fc65ee9e5d3ee_HIpwvD7CRUSBTTg.jpg


 그런데도 개는 종종 육체적 의식적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것처럼 취급받는다. 동물보호단체의 누리집에 들어가 보면 글로 옮기기도 역겨울 정도의 개 학대 사례가 줄지어 있다. 이런 노골적 학대만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대량생산된 반려동물을 손쉽게 구입해 ‘소비’한 뒤 버리는 순환구조가 있다. 동물보호단체 카라가 지난 2월 발간한 보고서를 보면, 전국에 최고 3000여개로 추산되는 번식농장이 있고 여기서 ‘생산’된 반려동물이 경매장과 소매업소를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매년 25만 마리의 반려동물이 팔려나가는 한편에서 10만마리가 유기동물이 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생산돼 팔리지 않거나 팔린 뒤 버려진 상당수 반려동물은 식용으로 쓰인다.

 

많은 반려동물이 버려지는 휴가철을 맞아 생각해 본, '공감의 명수' 우리나라 견공의 처지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875 수제 햄버그(시카고)는 손님이 찾아 다닌다 file 안지현 2015-04-04 8656 1
1874 물절약 누진제로 수도료 오를듯 file 정순옥 2015-04-04 7981 1
1873 이순신 분실유물 6종 중 1종류, 박물관서 찾았다. file 정덕수 2015-04-05 6278 3
1872 백제의 혼이 서린 곳, 성흥산 file 제봉주 2015-04-06 10892 1
1871 레스토랑에서 굴을 시켰더니 진주가 무더기로 file 석송 2015-04-07 5972 3
1870 동요 '우리의 소원'의 작곡가 안병원 씨 별세 file 석송 2015-04-07 6950 1
1869 '전향’마저 과분한 당신들의 대한민국 file 강정실 2015-04-08 6717 13
1868 LA 대기오염 전국 최악수준 file 석송 2015-04-08 18780 7
1867 ‘재외동포재단 초청 장학생’ 모집 석송 2015-04-08 6258  
1866 남녀 '포개 묻은' 5세기 신라 무덤 경주서 발굴 file 웹관리자 2015-04-09 6411 1
1865 교통위반 티켓 ‘미친 범칙금’ file [1] 석송 2015-04-09 11691 7
1864 아몬드에 대한 진실과 오해 file 석송 2015-04-10 6074 1
1863 문학계간지 첫 5쇄… 문학동네 겨울호 조용한 돌풍 file 석송 2015-04-11 9161 7
1862 빨간불 깜박거릴 때 횡단보도 진입 마구잡이 단속 티켓 file 석송 2015-04-13 26673 1
1861 한국문인협회 미주지회 문학 강의 안내 file [1] 석송 2015-04-14 6432 6
1860 캘리포니아 가뭄 file 김평화 2015-04-15 15074 2
1859 한국 여권의 파워, 세계 공동 2위 file 웹관리자 2015-04-16 6909 3
» 반려견과 함께 하면 옥시토신 분비 촉진, 유대와 사회성 강화 file 웹관리자 2015-04-17 9808 1
1857 "단 음식이 스트레스 줄인다" 과학적 입증 석송 2015-04-17 4750 1
1856 수도사의 불륜이 낳은 그림 file 석송 2015-04-17 770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