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희 한남대 강사 분석…"외래어 사용 최다"
 

 길을 걷다 보면 상호를 알리기 위한 각양각색의 간판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그런데 간판을 읽어보면 외국에 와 있다는 생각이 들 만큼 외래어투성이임을 깨닫게 된다.

실제로 한 대학가 간판을 분석해보니 순우리말(고유어)로 쓰인 것은 10개 중 1개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AKR20151002177000005_01_i.jpg

 


          

4일 우리말 연구 학회인 외솔회에 따르면 김진희 한남대 교양융복합대학 강사가 지난 8월 20일∼9월 15일 경기도 수원시 성균관대역 일대 간판 608개의 자료를 수집해 표기실태를 분석한 결과 고유어를 사용한 간판은 72개(11.8%)뿐이었다.

가장 많은 204개(33.6%)가 외래어로 돼 있었고, 혼용어 192개(31.6%), 한자어 140개(23.0%)가 뒤를 이었다.

혼용어 중 고유어와 한자어의 조합은 100개, 고유어와 외래어의 조합은 36개, 한자어와 외래어의 조합은 47개, 고유어·한자어·외래어의 조합은 9개로 집계됐다.

외래어와 외래어가 포함된 혼용어 간판을 더하면 거의 반수에 가까운 296개의 간판에서 외래어가 사용된 셈이다.

업종별로 보면 교육·문화업종의 간판은 한자어와 외래어 비율이 각각 31.3%로 가장 많았다. 고유어는 12.0%에 그쳤다.

의료는 한자어 비율이 59.5%로 가장 많았고, 외래어 16.2%, 고유어 13.5% 등의 순이었다.

의료·미용·액세서리는 외래어 비율이 각 75.0%·47.5%·38.5%로, 고유어 비율(0%·10.2%·15.4%)을 크게 압도했다.

술집은 외래어 비율이 54.8%로 고유어(7.1%)의 8배, 다방은 외래어 비율이 73.2%로 고유어(12.2%)의 6배, 오락은 외래어 비율이 50.5%로 고유어(6.3%)의 8배에 달했다.

다만 식당은 외래어와 고유어의 비율이 각각 17.0%와 18.0%로 비슷한 대신 고유어와 한자어를 조합한 혼용어 비율이 38.1%로 가장 많았다.

김 강사는 "간판 상호 언어에서 외래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혼용어, 한자어, 고유어 순으로 이어진다"며 "외래어의 경우 표기 오류도 많았다"고 지적했다.

이런 내용을 담은 논문 '간판 상호 언어의 실태에 대한 고찰'은 569돌 한글날(10월 9일)을 기념해 오는 8일 서울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리는 외솔회 주최 '제7회 집현전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835 후보만 200명..올해 노벨문학상 누구 품으로 file 석송 2015-10-04 5398 2
» 우리말 사라진 대학가 간판, 순우리말 사용 12%뿐 file 석송 2015-10-04 6576 2
1833 모든 것 내려놓겠다던 신경숙, 美서 사인회 file 안상선 2015-10-01 3563 2
1832 엇갈리는 金값과 달러화 미스터리..왜? file 웹관리자 2015-10-24 3777 2
1831 사육사도 몰랐다. 밤' 되면 울음소리 내는 기린. file 이숙이 2015-09-19 13344 2
1830 노벨상의 계절 왔다, 반기문 고은도 후보군에 포함돼 file 안상선 2015-10-01 4432 2
1829 전화번호 하나에 5억? file 석송 2015-09-12 10408 2
1828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생명을 상징하는 나무 그림들 file 강정실 2015-09-12 9422 2
1827 뚱보 주범으로 비타민D 주목.. 국내외 학자들 관련성 연구 박차 file 석송 2015-09-06 5715 2
1826 독일 나치즈 황금열차에 대한 고백 file 석송 2015-08-30 5633 2
1825 11월 1일 서머타임 해제 file 웹관리자 2015-10-31 3565 2
1824 충남 마도 해역의 보물선 발견 file 신성철 2015-08-27 8043 2
1823 지구상 가장 오래된 1억3천만년전 꽃식물 화석 발견 file 지상문 2015-08-18 3977 2
1822 정확도 98%.. 癌 찾는 개코 file 정덕수 2015-08-11 3439 2
1821 멍든 수박도 맛있던 시절의 이야기 file 지상문 2015-08-09 4429 2
1820 동전은 왜 둥근 모양일까 file 석송 2015-08-02 10326 2
1819 강 회장님의 시를 읽고 이금자 2023-07-22 512 2
1818 은하수가 머무는 하늘 file 강정실 2015-07-28 10819 2
1817 120년 역사 온 종이통장 사라진다, file [1] 신성철 2015-07-29 4931 2
1816 '전통과 현대를 관통하는 한국문화의 향연.' file 웹관리자 2015-07-30 444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