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道 정자기행(3616)-고창 서호정(西湖亭)
산승이 마주앉아 바둑을 두는데 /바둑판 위에 대나무 그늘이 시원하네 
대나무 그림자에 가려 사람은 보이지 않고/ 때때로 바둑 두는 소리만 들리네
山僧對棋坐  局上竹陰淸  映竹無人見  時聞下子聲 

 
   
 
백낙천이라고 더 잘 알려진  당(唐) 시인 백거이(白居易 772~846)가 읊은 시로 또다른 정자의 흔적을 찾는다.

전북 고창 서호정(西湖亭), 아산면 남산리 남산마을 경로당 옆 함양 박씨(咸陽朴氏) 서호(西湖) 박인석(朴仁錫 1860~1919)이 지어 소요처로 사용했던  정자이다.

1958년에 중건 아산면 성산리 출신으로 고당(顧堂) 김규태(金奎泰), 효당(曉堂) 김문옥(金文鈺) 등과 근친했던 담재(澹齋) 김진명(金振明, 1906∼1978)이 시(西湖亭次韻)를 남겼으며 운석(雲石) 장면(張勉)과 일제시대의 대학자이자 서예가인 보정 김정회(普亭 金正會 1903-1970)가 현판을 썼다. 그리고  함양인 수산 오병수(壽山 吳秉壽)가 기문을 남겼다. 

경향((京鄕) 각지의 여러 선비의 시문이 사방의 벽에 걸리고, 서호정 제영록(西湖亭題詠錄)이 간행(刊行)되었다. 

우진각, 홑처마  앞  3칸, 옆  2칸으로 구성됐다.

1958년 편찬한 무장읍지에 서호정제영록(西湖亭題詠錄)이 남아 있다.

전의(全義) 이종렬(李鍾烈)이 어느날 이곳에 들려 시주로 즐기며 시를 남겼다.

성곽 뒤 정자를 지어 몇 번이나 헤아려 보니
밝게 빛나는 편액은 위대한 서까래를 더했다.
구름 속에 같힌 숲속 살만한 곳이 의심되는데
돌위로 맑은 물 휘돌아가는 별천지라네

이어지는 그의 감흥에서 호수위에 정자가 있었음을 알리고 있다.

산만하게 쌓은 거문고와 책 고매한 선비 잠에 들고
베옷으로 세상과 담을 싼 신선은 자고 있네
남겨진 글들과 빼어난 정치 누가 가벼운 곳이라고 할까
호수 위에 맑은 들보 바로 활현히 펼쳐지네

정자명 서호(西湖)는 송나라 때의 은사(隱士)인 임포(林逋)를 서호처사(西湖處士)라고 이르면서
임포처럼 산림에 은거해서 평생을 보내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임포는 서호의 고산(孤山)에 은거하여 20년 동안 성시(城市)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으며,
서화와 시에 능하였고 특히 매화시가 유명하다.
장가를 들지 않아 자식이 없었으며 매화를 심고 학을 길러 짝을 삼으니,
당시에 ‘매처학자(梅妻鶴子)’라고 하였다.
사후(死後)에 화정선생(和靖先生)이란 시호를 받았다. 宋史 卷457 隱逸列傳上 林逋

그들은 정자에서 무엇을 했을까? 
만년에는 스스로를 향산거사(香山居士), 취음(醉吟)선생이라고 하였던
백거이,  당(唐)의 시인으로 자유로이 읊었던(逍遙詠) 시를 암송하며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를 꿈으로 대리만족한다.
  
이 몸을 그리워도 말고 /  또한, 싫어하지도 말아라
이 몸은 만겁(萬劫) 번뇌의 뿌리거늘 어찌 그리워 하랴/또 이 몸은 허공 같은 먼지가 모인 것이니
그리움도 없고 싫어함도 없어야/비로소 자유로이 노니는 사람이리라
赤莫戀此身   赤莫厭此身   萬劫煩惱根   一聚虛空塵    無戀赤無厭   始是逍遙人 

시에서 겁(劫)은 불교(佛敎)의 용어로, 하늘과 땅이 한번 개벽(開闢)한 때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기간이라는 뜻. 즉 지극히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르는 말이다.

정자는 우리네 선인들이 5000년 유정천리의 맥을 잇는 공간이었다.
조선 중기 상촌(象村) 신흠(申欽, 1566~1628)의 백년(百年)이란 시로 또다른 정자의 흔적을 찾아 나선다.

백년 살며 무단히 만년 계책을 세우고 / 오늘 살며 또 다시 내일을 걱정하지
힘들게 사는 일생 끝에 가선 뭣에 쓸까 / 북망산 무덤들이 그 모두가 공후라네
百年便作萬年計 今日還爲明日憂 役役一生終底用 北邙丘壠盡公侯/象村集
문화.오인교

 

 

 

지금은 완전 헐어서 보기 흉한데 금방 고칠 수 있다니 지켜 볼 밖에요 ㅎ
세번째 사진이 항공에서 찍은 지적도 사진이고 길 건너 나란나란 누운게 지금 백련이 자라는 연논이지요

잠시 다시 벼를 키울때 찍은 사진인 듯 싶네요

지금은 다시 연물결이 출렁이는 아름다운 곳이랍니다

 

9503574ee4d020babfc10e78cab376d80d997878

af0b601f828ccef23c08d247f4f8ca8acc3098af

3b066cf26b9735f2dfa219fb74acd3a434ed5bd0

설계도에 노랗게 박스 친 부분이 현재 있는 건물인데 뒤로 화장실과 오래비 사무실을 들일 계획이랍니다

최대한 원래 형테를 유지하려고 계획한 것 같아요

802e76c0872b15e3bc333a4f73c304dbf575f2cf

 

0ac83d91a8ba791cc7e3c40f618f8edbc775aff5

e70c6198d60cd043226b1a80c595279c00f6b58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915 [시조] 물망초 file 박은경 2020-06-23 139  
1914 [시조] 일식 file 박은경 2020-06-23 110  
1913 [연시조] 변덕쟁이 file 박은경 2020-06-24 159  
1912 [연시조] 마당에서 박은경 2020-06-25 119  
1911 [시조] 꼰대들 박은경 2020-06-28 133  
1910 [수필] 나무야 나무야 박은경 2020-06-28 165  
» 제목南道 정자기행(3616)-고창 서호정(西湖亭) 박은경 2020-06-29 496  
1908 삼육구/ 연시조 박은경 2021-07-02 133  
1907 연중행사 박은경 2021-07-01 95  
1906 끝말 잇기 박은경 2021-07-01 162  
1905 여름 놀이로 딱 좋아 박은경 2021-07-01 77  
1904 화투/연시조 [2] 박은경 2021-06-29 4165  
1903 술래잡기/ 자유시 [2] 박은경 2021-06-29 119  
1902 어느 흉악범의 아내/ 모셔온 글 박은경 2021-06-30 126  
1901 젓가락 투호 박은경 2021-06-30 115  
1900 수건 돌리기 박은경 2021-06-30 115  
1899 줄다리기/ 연시조 박은경 2021-06-30 129  
1898 윷놀이/ 연시조 [2] 박은경 2021-06-29 124  
1897 게리슨의 여름 축제 [2012년 8월] 박은경 2021-06-28 129  
1896 숫자 게임 박은경 2021-07-06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