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 작사자 논란 재점화

조회 수 8767 추천 수 2 2015.02.25 07:57:49

PYH2014012205440001300_P2.jpg

 

 

<애국가 작사자 논란 재점화…원작자 규명 '글쎄'>
'누가 우리나라 애국가를 지었느냐''누가 우리나라 애국가를 지었느냐'

(서울=연합뉴스) 애국가 가사에 대한 원작자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로선 애국가 작사자를 규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해방 이후 미주 한인 사회의 대표적인 항일민족신문 '국민보' 1953년 5월 20일자를 발췌한 모습. 신문은 '애국가는 청일전쟁 이후 광무(光武·고종) 시대에 미국에서 유학한 윤치호가 짓고 곡조는 영국 노래 '올드랭자인(Auld lang syne)'으로 하였는데 추후로 애국가를 안창호가 개선하고 곡조도 안익태가 변경하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2014.1.22 << 사회부 기사 참조, 독립기념관 제공 >> photo@yna.co.kr
 한 시민단체가 '작자 미상' 상태였던 애국가 가사의 원작자를 규명하는 이른바 '애국가 제자리 찾기' 운동에 돌입하면서 애국가 작사자를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혜문 스님이 이끄는 시민단체 '문화재 제자리 찾기'는 지난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윤치호(1865~1945)의 애국가 작사설을 뒷받침하는 가사 친필본 '원본'이 미국 에모리대에 보관돼 있다"며 이달 말 민주당 안민석 의원 등과 함께 에모리대를 방문해 환수 의사를 전하겠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친필본에 적힌 '1907년 윤치호 작'이라는 서명 등을 근거로 윤치호가 애국가 가사 원작자라는 데 무게를 두고 20일부터 한 포털 사이트에서 '친필본 환수 모금 운동'도 시작했다.

그러나 22일 연합뉴스가 확인한 광복 후 발행된 신문 내용 등을 종합하면 애국가 가사 원작자를 규명하는 것은 현재로선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당시 미주 한인 사회의 대표적인 항일민족신문 '국민보'는 1953년 5월 20일자 '누가 우리나라 애국가를 지었느냐'로 시작하는 기사에서 '애국가는 청일전쟁 이후 광무(光武·고종) 시대에 미국에서 유학한 윤치호가 짓고 곡조는 영국 노래 '올드랭자인(Auld lang syne)'으로 하였는데 추후로 애국가를 안창호가 개선하고 곡조도 안익태가 변경하였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성자신손 오백 년은 우리 황실이요 산고수려 동빈도는 우리나라일세'이었던 애국가 1절이 안창호에 의해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로, 4절의 '사농공상 귀천 없이 직분만 다하세'가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로 변경됐다고 기술하고 있다.

 

PYH2014012205450001300_P2.jpg

 

 


'애국가와 곡조에 관하여''애국가와 곡조에 관하여'
 국민보 1958년 4월 9일자 지면. 신문은 애국가와 관련해 '국민회 당시 최정익과 안창호의 제안으로 두 차례에 걸쳐 교정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2014.1.22 << 사회부 기사 참조, 독립기념관 제공 >> photo@yna.co.kr
신문은 애국가의 2, 3절은 이전과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국민보는 이후 1958년 4월 9일자 기사에서도 애국가와 관련해 '국민회 당시 최정익과 안창호의 제안으로 두 차례에 걸쳐 교정됐다'고 전하고 있다.

이 같은 국민보의 기사는 해방 이후 발행된 간행물 중 애국가의 탄생 과정에 대해 비교적 가장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아울러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애국가 가사가 하루아침에 완성된 것이 아니라 윤치호, 안창호 등을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됐다는 학계의 기존 의견에도 설득력을 실어주고 있다.

김도형 연세대 사학과 교수는 "때아닌 애국가 작사자 논란이 불거지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특정 인물을 애국가 작사자라고 입증할 만한 자료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며 "애국가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탄생한 '합동 산물'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 애국가 작사자 논란 재점화 file 신성철 2015-02-25 8767 2
1954 13년 만에 담배값에 흡연 경고 그림 의무화 file 신성철 2015-02-25 21581 1
1953 인레호수의 진실과 허상 file 정덕수 2015-02-26 9590 1
1952 간통죄 62년만에 폐지 file 지상문 2015-02-26 5658 1
1951 푸르고 울창한 고봉 즐비 ‘원시림 비경’ file 석송 2015-02-27 6710 1
1950 "'민족의 꽃' 유관순 열사를 알자" file 신성철 2015-02-28 6084 1
1949 유학 가는 의친왕, 47세 흥선대원군 사진 발견 file 이병호 2015-03-01 10873 2
1948 시각장애인들의 위한 기적의 안경 [1] 이숙이 2015-03-01 10878 1
1947 칠레 화산 폭팔 file 석송 2015-03-04 21573  
1946 남가주 해변에도 눈이 file 석송 2015-03-04 7613  
1945 수퍼 박테리아 감염 비상 file 석송 2015-03-05 7866  
1944 설치미술가 서도호 아트 갈라 '올해의 작가'에 file 석송 2015-03-05 7397  
1943 비타민 D의 역활 정순옥 2015-03-05 5969  
1942 고래축제 안내 file 석송 2015-03-06 7634 2
1941 고연봉 줘도 싫다는 직업 ‘병아리 성 감별사’ file 김평화 2015-03-07 7057 1
1940 청록파 시인 [1] 석송 2015-03-08 13383  
1939 우유와 설탕의 관계·항암요리 강좌 석송 2015-03-09 6629  
1938 영아원서 자매처럼 자란 두 여성 알고 보니 친자매 file 석송 2015-03-09 6351  
1937 독도에서 골프공을 친다 [1] 강정실 2015-03-09 8299 5
1936 제29회 동요합창경연대회 석송 2015-03-10 6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