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록파 시인

조회 수 13383 추천 수 0 2015.03.08 13:46:45

청록파시기

광복과 함께 사회운동 재개. 박목월,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 활동에도 앞장섰다.

세계시인대회에 참석한 조지훈

광복과 함께 사회활동 재개

광복이 되자 지훈은 잠시 영양군으로 가서 초등학교 교재를 엮어서 등사판을 밀고 주실마을 청년들과 함께 신사를 붙태웠다.
이후 1945년 10월, 다시 서울로 울라와서 조선어학회의 「중등국어교본」편찬원으로 위촉받고, 같은 해 11월에는 진단학회의 「국사교본」편찬원이 되었다. 조선문화건설협의회 회원으로 활동하였고, 중앙문화협의회의 일을 도우며, 반탁운동을 비롯하여 모든 민중운동ㆍ문화운동 등 다방면에 걸쳐 활동을 하였다.

사회활동에도 적극 참여하는 한편 시인으로서 창작도 활발히 해 나갔고 교육자로서의 삶도 시작하였다. 경기여고 교사, 서울여의대 교수를 거쳐 평생의 직장인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청록집 출판

정지용의 추천으로 「문장」지를 통하여 등단한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은 광복 후 함께 합동 시집 「청록집」을 냈다. 1946년 일이다. 이를 계기로 이들 세 사람을 '청록파'라고 부르게 되었다. 합동 시집의 간행을 을유문화사로 부터 요청을 받은 세 시인은 어느 눈 오는 날 밤 지훈의 성북동 집에서 시집에 실릴 원고를 서로 골랐고, 목월이 「청록집」이라 이름을 붙였다.

이렇게 해서 출판된 「청록집」은 현대 문학사에서 본격적으로 자연을 노래한 시집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즉, 청록파의 시풍은 당시 유행하던 도시적 서정이나 정치적 목적성과는 달리, 자연으로 돌아가는 고전 정신의 부활과 순수 서정시 세계로 요약할 수 있다.


조지훈ㆍ박목월ㆍ박두진의 서로 다른 모습

청록파 시인 셋이 걸어 갈 때면 항상 지훈이 가운데서 걷고 두진과 목월이 양 옆에서 걷곤 했는데, 지훈은 성큼성큼 걸어 앞섰으며, 두진은 매번 뒤쳐졌고 그 둘 사이엔 목월이 있었다고 한다. 또한 걸을 때 모습을 보면, 지훈은 항상 하늘을 향해 고개를 치켜들고 걷고, 두진은 직선적인 자세로 정면을 응시한 채 걸었으며, 목월은 고개를 숙이고 땅을 쳐다보며 걸었다고 한다. 이렇듯 걷는 모습이 다르듯이 이들의 성격이나 시세계 또한 달았다. 지훈은 고전미와 선미(禪味)를 드러냈고, 두진은 자연에 대한 친화와 사랑을 그리스도교적 신앙을 바탕으로 읊었으며, 목월은 향토적 서정으로 한국인의 전통적인 삶의 의식을 민요풍으로 노래하였다.

 

조지훈ㆍ박목월ㆍ박두진

청록파의 활동

광복 직후 조선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 한 좌파들이 문단을 주도해 가자, 청록파는 이에 맞서 우익계의 전국문필가 협회에 참여했고, 특히 젊은 문인들을 중심으로 한 청년문학가협회에 적극 가담하여 '순수문학'을 옹호하였다. 일제 암흑기에 저명한 문인이라면 대부분 일제의 강요나 사상 전향으로 '친일문학'을 할 수 밖에 없었을 때 청록파 시인들은 붓을 꺾고 낙향했었다. 그들은 신예들이어서 일제의 강요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도 있었지만, 그 바탕에는 시의 순수성과 시인의 명예를 지키기 위한 굳건한 의식이 내재해 있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그 때문에 광복 후에 청록파는 어떠한 정신적인 부담감도 없이 활동할 수 있었다.


이훤

2015.03.08 18:55:35
*.152.236.83

존경하는 박목월 시인!
세 분 다 멋지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41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7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6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35 인내 file 정순옥 2022-07-23 333 1
2034 열심히 노래를 부르자고 file 유진왕 2022-07-14 261 1
2033 나는 시를 잘 알지 못합니다 유진왕 2022-07-05 501 1
2032 아름다운 간호사의 손 file [2] 정순옥 2022-06-20 552 1
2031 아프리카엔 흑인이 없더이다 유진왕 2022-06-05 215 1
2030 집이란 내겐 file 유진왕 2022-06-03 180 2
2029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는 어떻게 한국인의 애송시가 됐나 file 배원주 2022-05-06 405 3
2028 -시-서녘 바닷가에서의 사유 오애숙 2022-04-28 160 1
2027 아프리카의 聖者 슈바이처, 의사 이전에 탁월한 바흐 연주가였다 file [1] 배원주 2022-04-26 243 1
2026 지구상 단 한 마리…환상의 흰고래 미갈루 올해 첫 포착 file 배원주 2022-04-25 208 1
2025 인간의 다면성---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file 배원주 2022-04-20 235 1
2024 차이콥스키 콩쿠르, 국제 무대서 퇴출 file 배원주 2022-04-20 266 1
2023 신낙균 사진사 file 배원주 2022-04-19 292 1
2022 술에 열심이었던 헤밍웨이, 벼락같이 그가 이해됐다 file 배원주 2022-04-15 186 2
2021 정보라 '저주 토끼' 美 대형 출판사 아셰트와 계약...15개국에 판권 판매 file 배원주 2022-04-14 179 1
2020 마지막 기도 유진왕 2022-04-08 188 1
2019 번개가 하늘로 친다 file [1] 배원주 2022-04-03 238 1
2018 그린란드 바이킹이 500년 만에 사라진 이유 file 배원주 2022-03-26 239 1
2017 ‘세기의 미남’ 佛 배우 알랭 드롱, 스위스서 안락사 예정 file 배원주 2022-03-22 205 1
2016 도시의 가을 [3] 이금자 2022-03-18 21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