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조회 수 21361 추천 수 1 2015.03.21 18:52:06

"엄마가 낳냐, 아빠가 낳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엄마가 낳냐, 아빠가 낳냐??"
(나눔바른고딕체를 썼습니다)
오랜만에 보기로 한 얼굴도 가물가물한 동갑내기 친척, '엄마의 사촌동생의 아들인데… 나하고는 몇 촌 관계지? 부모 자식 사이는 1촌 관계니까, 계산하면 6촌(1+4+1)…'

그런데 저녁 친척모임에 그 사촌이 감기에 걸려 못나온다고 '○톡'이 왔는데요. 답을 하다가 순간 움찔했습니다. 촌수 따지는 것처럼 막상 글로 쓸 때면 헷갈리는 말이 있는데요. '나아(낫다)/낳아(낳다)'도 그런 경우입니다. 지난 한글날 즈음 한 설문조사에선 '감기 빨리 낳으세요'(×)가 거슬리는 맞춤법 1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낫다[낟따]'는 '병 등이 고쳐지다'(예: 상처가 낫다) 또는 '~보다 더 호감이 가다, 상황이 앞서다'(예: 저 옷보다는 이게 더 낫다)의 뜻입니다.
'낳다[나타]'는 '(아이) 출산하다, 어떤 결과를 이루다'의 뜻이죠. "감기 낳으세요"(×)는 바이러스에게 하는 얘기가 아니라면 당황스러운 뜻이 됩니다.

두 낱말은 발음이 조금 다릅니다. 뜻은 정반대의 느낌일 정도로 다릅니다. 그런데 왜 헷갈릴까요? 모양이 비슷한 '낮다'는 별로 헷갈리지 않는데 말이죠.

첫 번째는 발음 때문일 텐데요. 특히 'ㅅ'이 빠지며 '낫다→나아'로 활용될 때는 '낳아'와 발음이 같아 혼동하기 쉽습니다. 게다가 있던 받침이 사라지는 게 어색하기도 합니다. 이렇다보니 "감기 빨리 나으세요"라는 글이 자연스레 안 나오게 됩니다.
'낫다→나아'에서 'ㅅ'이 빠지는 건 '부어(←붓다)', '저어(←젓다)' 등에서 보이는 '불규칙 활용' 현상인데요. 일부 지방에서는 '나아라' 대신에 '낫아라'라는 사투리가 쓰이기도 합니다. '낫아라'가 표준어였다면 '낳아라'와 구별하기 편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벗어(←벗다)', '솟아(←솟다)' 등에서는 불규칙 현상이 없습니다.

두 낱말이 혼동되는 다른 이유는 '좋다'의 영향으로 보이는데요. '낫다'와 비슷한 뜻의 말이지만 '좋다'의 'ㅎ' 받침이 언뜻 닮은꼴인 '낳다'와 헷갈리게끔 합니다. '낫다'는 상황에 따라서 '좋다'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엄마가 낳냐, 아빠가 낳냐??"
(서울한강체를 썼습니다.)
인터넷에선 '짜장면이 낳냐, 짬뽕이 낳냐'(×)처럼 일부러 맞춤법을 틀리는 '놀이'가 여전히 유행합니다. 어떻게 이런 걸 틀리냐는 생각에서 놀이로 이어졌을 텐데요. 하지만 이런 장난이 어린 학생의 맞춤법 실력에 악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놀이는 재미를 '낳지만', 잘 알고서 즐기는 것이 '낫습니다'.

이번 주 문제입니다. 다음 ' ' 표시된 말 중 맞춤법에 어긋난 것은 어떤 것일까요?

1. 황금알을 '낳은' 거위
2. 좀 무리를 했더니 병이 '났어'
3. 일 그만하고 얼른 병 '나으세요'
4. 이번 여행 장소는 중국이 '낮을까?' 일본이 '낮을까?'

정답은 4번입니다. '나을까'로 써야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114 문체 웹관리자 2014-09-21 7965  
11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14  
112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76  
111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73  
110 바람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13407 1
109 아름다운 우리말, 비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8032 1
108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45 1
107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7 1
106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226 1
105 높임말의 올바른 사용법 강정실 2015-03-21 10668 1
104 우리말, 알아도 틀리게 쓰는 말 '바라/바래' 강정실 2015-03-21 5502 1
103 우리말, '뭐'/'머', 구어적 표현이 표준어가 된 사례 강정실 2015-03-21 7398 1
102 우리말, 아라비아 숫자를 읽고 쓰는 법 강정실 2015-03-21 11395 1
» 우리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강정실 2015-03-21 21361 1
100 우리말, "취직하려면… 입문계가 좋아요? 시럽계가 좋아요?" 강정실 2015-03-21 3511 1
99 우리말, '내거'와 '내꺼' 강정실 2015-03-21 9451 1
98 우리말, 사귀다/피우다… 애매한 소리 '우' 강정실 2015-03-21 8987 1
97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25 1
96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65 1
95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